브로맨스


브로맨스(영어: bromance)는 두 명 이상의 남성 사이에서 형성되는 매우 친밀하면서도 성적이지 않은 관계를 말한다. 일반적인 우정을 넘어서는 매우 긴밀하고 애정 어린 동성사회적 남성 유대 관계이며,[2][3] 특히 높은 수준의 정서적 친밀감으로 인해 일반적인 우정과 구별된다.[4][5] 21세기 초부터 이 개념이 등장한 것은 이 주제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관심의 변화를 반영하는 것으로 여겨져 왔으며,[4][2][3] 21세기 서구 사회가 배타성의 제약을 재고하는 데 있어 점점 더 개방적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6] 브로맨스의 여성 버전은 워맨스라고 한다.
어원
[편집]브로맨스는 '브로(bro)' 또는 '브라더(brother)'와 '로맨스(romance)'의 혼성어다. 1990년대 스케이트보드 잡지 《빅 브라더》의 편집장이었던 데이브 카니가 이 용어를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내는 스케이터들 사이에서 발전하는 특유의 관계를 지칭하기 위해서였다.[4][7] 이 용어는 2005년경[4] 영화 산업에서 이러한 주제가 더욱 두드러지게 되면서야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4][5]
특징
[편집]브로맨스는 역사학, 담론분석, 사회 연구, 퀴어 이론 등의 관점에서 단행본 형태로 연구되어 왔다.[4][8] 지난 10년간 브로맨스가 하나의 주제로 부상한 것은 사회가 이 주제에 대한 인식과 관심을 집단적으로 변화시켜 온 것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4][2][3][5][8]
브로맨스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브로맨스는 전통적인 남성 간 사회적 관계를 훨씬 뛰어넘는 동성사회적 관계를 의미한다.[4] 이러한 친밀감의 증가는 단순한 친구 관계를 넘어서서 "동성애적이다/아니다"라는 개념의 경계선상에 있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깊은 유대감으로 발전한다.[4][5]
- 영화와 텔레비전 산업에서 하나의 독특한 개념적 장르이자 주제로 등장한 것은 "비이성애규범적 문화 표현에 대한 폭넓은 수용과 함께, 성적 지향성을 초월하는 동성 간의 친밀감이라는 가능성"을 반영한다.[4]
- 동성결혼의 평등을 위한 투쟁과 그 성취를 포함한 현대의 문화적 상황, 그리고 영화와 텔레비전에서 브로맨스를 묘사하는 구체적인 요소들은 이를 버디 영화나 다른 사회적 구성을 반영하는 역사적 로맨틱 우정과 구별 짓는다.[4][3][5][8][9][10][11]
첸에 따르면, 사회는 남성 간 우정에 대한 전통적 제약을 재검토하고 성별, 성애, 친밀감이라는 구성 개념을 재형성하는 데 집단적 관심을 보여왔다.[6] 브로맨스는 "21세기 미국에서 법과 그 너머에서 작동하는 성별, 성애, 배타성의 제약에 대한 사례 연구를 제공한다. 이러한 제약은 이 유형의 관계에 내재된 특권과 종속성을 나타내며, 다른 유형의 관계에도 시사하는 바가 있다."[6] 이는 20세기 역사학계에서 사용된 용어인 '로맨틱 우정'의 함의와는 구별된다. 로맨틱 우정이라는 용어는 19세기 후반 비성적 파트너 간의 잠재적 신체적 친밀감이 불안의 대상으로 여겨지면서 덜 흔해진 친밀한 동성사회적 관계를 소급적으로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다.[12]
한편으로는 이 주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영화 산업을 이끌어왔고, 이것이 다시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면서 사람들의 사고방식을 탐구하고 "다른 유형의 관계"에 대한 수용을 다루게 되었다고 본다.[13] 다른 한편으로는 플라토닉한 사랑을 강조하는 것을 동성애적(호모에로틱) 성향의 거부로 보거나, 의도적으로 동성사회적 관계와 동성애적(호모에로틱) 관계를 혼동하는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14]
브로맨스는 또한 더 큰 "담론적 표현성"의 반영으로도 여겨졌다.[4] 1970년대부터 더 개방적인 양육 방식의 영향으로, 우정과 남성성의 경험은 감정적으로 더 개방적이고 표현력이 증가하는 추세를 반영한다.[2][8][15][16] 사회학자 피터 나르디에 따르면, "남성들은 동성애자로 인식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줄어들었다. 그들이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더 수용 가능해졌다."[17] 남성들은 결혼을 늦게 하거나 아예 하지 않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남성 간의 유대 관계에 영향을 미친다.[17][18] 2010년 미국 인구조사에 따르면, 남성의 평균 초혼 연령은 1960년의 23세에서 28세로 증가했으며, 교육 수준이 높은 남성들은 30대가 되어서야 결혼한다.
비판
[편집]랜들 먼로를 비롯한 일부 사람들은[19] '브로맨스'라는 용어가 우정을 표현하는 불필요한 용어라고 비판해왔다. 여성들 사이에서는 이러한 관계가 정상적인 것으로 여겨지는데, 두 남성이 친밀한 친구 사이라는 것이 특이한 일인 것처럼 암시한다는 것이다. '친구'(friends), '절친한 친구'(close friends) 또는 '단짝 친구'(best friends)라는 표현이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는 정확하고 타당한 방식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이 용어는 암묵적으로 동성애 혐오적이라는 비판도 받아왔다.[20]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This Is Why the Obama-Biden Bromance Is Surprising”. 《Time》. 2017년 5월 22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Elder, John (2008년 10월 18일). “A fine bromance”. 《The Age》. 2008년 10월 28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Strudwick, Patrick. Sherlock Holmes: Boy Story Bromance. The Independent. 17 Dec 2013. [1]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DeAngelis M., 편집. (2014). 《Reading the Bromance Homosocial Relationships in Film and television》.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ISBN 978-0814338988.
- ↑ 가 나 다 라 마 San Filippo M. More than buddies. Wedding Crashers and the Bromance as Comedy of ReMarriage Equality in Timothy Shary (editor) Millennial Masculinity: Men in Contemporary American Cinema. Contemporary approaches to film and media series.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2012. ISBN 9780814338445
- ↑ 가 나 다 Chen, Elizabeth J. (Spring 2012). "Caught in a Bad Bromance". Texas Journal of Women and the Law (University of Texas Press) 21 (2): 242–266. [2] 보관됨 2018-06-20 - 웨이백 머신
- ↑ Elliott, Tim (2007년 8월 23일). “A grand bromance”. 《The Age》. 2008년 10월 28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Yalof JA. Contemporary Male Friendship: An Exploratory Study on Comradeship, Bromance and Casual Friendship. Massachusetts School of Professional Psychology. 2014. 157 pages
- ↑ Deresiewicz, William (2009년 12월 2일). “Faux Friendship”. 《The Chronicle of Higher Education》. 2010년 1월 5일에 확인함.
- ↑ Tenden, Per Aubrey Bugge (2007). 《Male Imitation: A Look at Gender Performance and the Representation of Masculinity in The OC.》. Oslo, Norway: Universitetet i Oslo. 2010년 1월 5일에 확인함.
- ↑ Knight, D. Why do guys find it 'weird' to embrace bromance? stuff.co.nz December 13, 2014. Fairfax New Zealand Limited. [3]
- ↑ Faderman, Lillian (1981). Surpassing the Love of Men: Romantic Friendship and Love Between Women from the Renaissance to the Present (1998 ed. ed.). New York: Harper Collins. ISBN 0688133304.
- ↑ Alberti, John. ""I Love You, Man": Bromances, the Construction of Masculinity, and the Continuing Evolution of the Romantic Comedy." Quarterly Review of Film and Video 30.2 (2013): 159-72. Taylor & Francis. Web. 28 Oct. 2014. http://www.tandfonline.com/doi/abs/10.1080/10509208.2011.575658#.VEqmlfnF-s0
- ↑ “Our romance with the "bromance" - The McGill Daily”. 2013년 1월 19일. 2019년 1월 1일에 확인함.
- ↑ Alberti, John. Masculinity in the Contemporary Romantic Comedy: Gender as Genre. Routledge Advances in Film Studies. Routledge. 2013. ISBN 9780415630658
- ↑ Jacey H. And the screenwriter created man: Male characterisation in bromance and bromedy. in Screenwriters and Screenwriting: Putting Practice Into Context, edited by Craig Batty. Palgrave Macmillan, 2014. ISBN 9781137338938
- ↑ 가 나 Bindley, Katherine (2008년 3월 24일). “Here's to 'bromance'”. Columbia News Service. 2010년 1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0월 28일에 확인함.
- ↑ “Badoo Corporate - Everything about Badoo”. 《badoo.com》. 2019년 1월 1일에 확인함.
- ↑ Munroe, Randall. “Friendship”. 《XKCD》. 2023년 6월 9일에 확인함.
- ↑ Xojane. “for the love of god, please stop saying "bromance"”. 《the good men project》. 2023년 6월 9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