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허리토끼왈라비
보이기
![]() | ||
---|---|---|
![]() 오스트레일리아 포유류 권2의 붉은허리토끼왈라비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포유강 | |
목: | 캥거루목 | |
아목: | 캥거루아목 | |
과: | 캥거루과 | |
속: | 토끼왈라비속 | |
종: | 붉은허리토끼왈라비 (L. hirsutus) | |
학명 | ||
Lagorchestes hirsutus | ||
Gould, 1844 | ||
아종 | ||
| ||
붉은허리토끼왈라비[1]의 분포 지역 | ||
![]() 붉은허리토끼왈라비의 분포 지역 (청색: 토착종, 적색: 도입종) | ||
보전상태 | ||
|
붉은허리토끼왈라비(Lagorchestes hirsutus)는 캥거루과에 속하며,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발견되는 작은 유대류의 일종이다. 말라(mala)로도 알려져 있다. 이전에는 대륙 서반부에 걸쳐 널리 분포했지만, 현재는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 연안의 베르니어 섬과 도레 섬에서만 제한적으로 분포한다.[3] 현재, 멸종취약종(VU, vulnerable species)으로 분류하고 있다.[2] 붉은허리토끼왈라비는 털이 붉은 갈색을 띠며, 토끼왈라비 중에서 가장 작다. 무리를 짓지 않고 홀로 생활하며 야행성, 초식성 동물로 풀과 나무 잎 그리고 씨앗을 먹는다. 현재 오스트레일리아 대륙 본토, 특히 노던 준주의 타나미 사막에 재도입되었다.[3]
분류
[편집]1844년 굴드(John Gould)가 "오스트레일리아의 포유류"(The Mammals of Australia)라는 책에서 처음 기술했다. 구별되는 4곳의 아개체군은 특히 보전 상태에서 아종으로 기술되어 왔다. 세 군데 섬 개체군의 개체수는 1994년 조사에서 4,300마리부터 6,700마리 사이로 추산되었지만, 환경 조건에 따라 총 개체수는 유동적이다.
- Lagorchestes hirsutus hirsutus - 절멸된 개체군(사우스웨스트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에 제한적으로 분포했던 개체군), 1844년 굴드(John Gould)가 이 종을 처음 기술할 때의 표본으로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 요크(York) 근처에서 수집했다.[2]
아종으로 추정되는 2종은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주 근처 섬의 제한적인 분포 지역에서 발견된다.
- Lagorchestes hirsutus bernieri - 베르니어 섬에서만 발견된다. 이 이름은 다른 아종과 구별되지 않을지라도 우선권을 갖고 있다.
- Lagorchestes hirsutus dorreae - 도레 섬에서만 발견된다.
4번째는 이름없는 아종으로 재배치되어 보호되고 있다.
- Lagorchestes hirsutus ssp. - 원래는 타나미 사막에서 발견되었고, 한때는 오스트레일리아 중부 건조 지대에 걸쳐 널리 분포했다.
각주
[편집]- ↑ Groves, C.P. (2005). Wilson, D.E.; Reeder, D.M., 편집.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63쪽. ISBN 0-801-88221-4. OCLC 62265494.
- ↑ 가 나 다 “Lagorchestes hirsutu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08. 2008년 12월 28일에 확인함.
- ↑ 가 나 Menkhorst, Peter (2001). 《A Field Guide to the Mammals of Australia》. Oxford University Press. 108쪽.
외부 링크
[편집]위키미디어 공용에 붉은허리토끼왈라비 관련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위키생물종에 Lagorchestes hirsutus 관련 자료가 있습니다.
- Animal Info – Rufous Hare Wallaby
- Australian Fauna – Rufous Hare Wallaby (includes photo)
- Mala Reintroduction Factshe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