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머리티티
| 
 | |
|---|---|
| 생물 분류ℹ️ |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포유강 | 
| 목: | 영장목 | 
| 아목: | 직비원아목 | 
| 하목: | 원숭이하목 | 
| 소목: | 광비원소목 | 
| 과: | 사키원숭이과 | 
| 아과: | 티티원숭이아과 | 
| 속: | 케라케부스속 | 
| 종: | 붉은머리티티 (C. regulus)  | 
| 학명 | |
| Callicebus regulus | |
| Thomas, 1927 | |
학명이명  | |
| 
 Callicebus regulus Thomas, 1927  | |
| 붉은머리티티의 분포 | |
![]() 붉은머리티티의 분포 지역  | |
| 보전상태 | |
| 
 
  | |
붉은머리티티(Callicebus regulus)는 신세계원숭이에 속하는 티티원숭이의 일종이다. 브라질에서 발견된다. 1927년 처음에는 학명 Callicebus regulus로 기재되었다.[2] 이전에는 목도리티티의 아종으로 간주했다.
특징
[편집]붉은머리티티원숭이는 다른 티티원숭이와 마찬가지로 비교적 작은 영장류다. 털은 길고 촘촘하며, 등과 다리는 짙은 회색, 가슴과 배는 흑갈색이다. 꼬리는 몸보다 길고 털이 많으며, 검은색이어서 잡는 꼬리로 사용할 수 없다. 발은 어둡고 손은 주황색이다. 머리는 작고 둥글며, 윗부분은 밝은 빨간색이다. 흰색 또는 노란색의 깃 모양의 무늬가 목을 따라 양쪽 귀까지 이어져 있다.[3][4][5]
분포 및 서식지
[편집]붉은머리티티원숭이는 브라질 아마조나스주의 서부 아마존 분지에 서식한다. 서식지는 북쪽으로는 솔리모이스강, 서쪽으로는 하바리강, 동쪽과 남쪽으로는 주루아강과 접하고 있다.[3][4][5]
생활사
[편집]붉은머리티티원숭이의 생활사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다른 티티원숭이들과 유사할 가능성이 높다. 티티원숭이는 주행성 동물이자 수목형 동물로, 네 발로 걷거나 뛰어올라 나뭇가지 사이를 이동한다. 붉은머리티티는 일부일처제(종종 평생 함께 사는) 한 쌍과 그들의 새끼로 구성된 가족 집단을 이루어 생활한다. 이들은 영역 의식이 강하며, 쌍은 이중창을 부르며 다른 동물들에게 영역 표시를 한다. 주로 열매를 먹는다. 또한, 다른 식물이나 곤충도 소량 섭취한다. 모든 티티원숭이와 마찬가지로, 수컷은 새끼를 키우는 데 상당한 관여를 하는 것으로 보인다. 수컷은 주된 보살핌을 제공하며, 새끼를 어미에게 맡겨 젖을 먹일 뿐이다.[3][4][5]
각주
[편집]- ↑ Valença-Montenegro, M.M. (2018). “Cheracebus regulus”. 《IUCN 적색 목록》 (IUCN) 2018. doi:10.2305/IUCN.UK.2018-2.RLTS.T41566A17973395.en. 2025년 11월 3일에 확인함.
 - ↑ Groves, C.P. (2005). 〈SPECIES Callicebus (Torquatus) regulus〉 3판 (영어). Wilson, D.E.; Reeder, D.M. (편집). 《세계의 포유류 종: 분류학적 및 지리적 참고 자료》.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145쪽. ISBN 0-801-88221-4. OCLC 62265494.
 - ↑ 가 나 다 Thomas Geissmann (2003). 《Vergleichende Primatologie》 (독일어). 베를린: 스프링거 출판사. ISBN 3-540-43645-6.
 - ↑ 가 나 다 Marc G. M. van Roosmalen, Tomas van Roosmalen & Russell A. Mittermeier (2002). “브라질 아마존에서 발견된 두 신종 Callicebus bernhardi 및 Callicebus stepehnnashi에 대한 설명과 함께 티티원숭이속(Callicebus, Thomas 1903)에 대한 분류학적 고찰” (pdf). 《신열대구 영장류(Neotropical Primates)》 10: 1-52.
 - ↑ 가 나 다 Don E. Wilson, DeeAnn M. Reeder (2005). 《세계의 포유류 종. 분류학적 및 지리적 참고 자료》. 볼티모어: 존스홉킨스대학교 출판부. ISBN 0-8018-82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