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부정부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엔 부패 방지 협약

부정부패(不正腐敗, 영어: corruption)는 사회 구성원이 권한과 영향력을 부당하게 사용하여 사회질서에 반하는 사적 이익을 취하는 것을 말한다. 부패로 줄여서 부르기도 한다.

원인

[편집]

제임스 뷰캐넌은 부정부패의 원인을 정부의 지나친 경제 개입이라고 보았다. 그의 공공선택론에 따르면 유권자들은 쾌락을 선호하므로 유권자의 인기와 선택이 중요한 정치인들에게는 부정부패를 범할 유혹을 제공한다는 이유에서다.[1] 또는 부정부패의 원인을 높은 불평등에서 찾기도 한다. 부가 한 계층에 집중되어 다른 계층에 비해 많은 부를 가지고 있는 현상인 불평등으로 인해 부유한 계층이 다른 계층을 경제적으로 매수하기 쉬워진다는 이유에서다.[2]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민경국 (2014년 2월 14일). 《경제사상사 여행》. 21세기 북스. 340p쪽. ISBN 8950954427. 
  2. 유종성 (2016년 9월 28일). 《Democracy, Inequality and Corruption》 [동아시아 부패의 기원: 한국 타이완 필리핀 비교연구]. 동아시아. ISBN 9788962621594. 

외부 링크

[편집]
  • 위키미디어 공용에 부정부패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