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하 (철학자)
보이기
박정하 | |
---|---|
출생 | 1961년 부산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철학자 |
박정하(부산, 1961년 ~ )는 대한민국의 철학자이다.[1][2]
생애
[편집]1961년 부산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EBS논술연구소 부소장을 지냈으며 성균관대학교 학부대학 교수 및 의사소통교육연구실장으로 근무하면서 '학술적 글쓰기'를 담당하였다. 주요 일간지에 논술에 대한 칼럼을 쓰고, 전국의 각종 학교, 교육기관, EBS 등에서 논술에 대한 강의를 했다. 2011년 12월, <한국사고와표현학회> 총회에서 회장으로 선출됐다. 인문학 포털 사이트 아트앤스터디에서도 교수진으로서 강의를 하였다. 아트앤스터디에서 이정우, 진중권 등과 함께 인기 강사진으로 꼽혔다.[3][4][5][6][7][8]
저서로는 《지식의 바다에서 헤엄치기》, 《삶과 철학》, 《동서양 고전 읽고 쓰고 생각하기》, 《삐딱한 소크라테스에게 말 걸기》, 《문화와 철학》, 《철학의 명저20》, 《실용논리학입문》 등이 있다.[6]
각주
[편집]- ↑ 박정하. "가장 확실한 것들을 의심하고, 해부하라!". 프레시안. 2013년 10월 11일.
- ↑ 봉아름. 창의력과 소통 중시, 토론·발표하며 능력 키워야. 중앙일보. 2014년 5월 21일.
- ↑ 박정하. 교과서 주관식 문제 한 두 문장 정도 답 쓰는 훈련을. 한겨레. 2006년 9월 25일.
- ↑ 박정하. (理知논술/대입논술 A∼Z)<16>결론 쓸 때 주의할 점. 동아일보. 2006년 9월 26일.
- ↑ <논술특집> ②채점교수 조언. 연합뉴스. 2006년 10월 15일.
- ↑ 가 나 강재순. 동래여고, 성균관대 박정하 교수 초청 논술특강. 뉴시스. 2009년 3월 13일.
- ↑ 박정하 성균관대 교수 한국사고와표현학회 회장 피선. 교수신문. 2011년 12월 19일.
- ↑ 엄주엽. “지식기반사회가 원하는 창의력 기능·처세술만 연마해선 한계”. 문화일보. 2007년 8월 2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