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박남규 (화학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박남규
2020년 카오스재단에서 제작한 유튜브 영상에 출연한 박남규 성균관대학교 교수
2020년 카오스재단에서 제작한 유튜브 영상에 출연한 박남규 성균관대학교 교수
출생 1960년 9월 3일(1960-09-03)(64세)
대한민국 경상남도 마산시
(현재의 경상남도 창원시)
성별 남성
국적 대한민국
분야 화학공학

박남규(朴南圭, 1960년 9월 3일[1] ~ )는 대한민국화학공학자이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12년에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를 처음으로 보고함으로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연구의 시작을 알렸고 실용적인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의 선구자로 불린다.[2][3][4]

생애

[편집]
외부 동영상
[강연] 미래신재생에너지 _ by김민수, 박남규 | 2020 봄 카오스강연 '첨단기술의 과학' 2강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주최 제25회 석학 커리어 디시전스 강연 《우연한 발견은 없다》 - 박남규 성균관대학교 석좌교수(이학부 정회원)

경상남도 마산시(현재의 창원시) 출신이다. 청소년 시절에는 미술가, 건축가가 되기를 원했으나 음악을 담당하던 담임 교사의 반대 때문에 이루지 못했다.[5] 1981년에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에 입학하자마자 육군 제9보병사단(속칭 백마부대)에 입대하여 2년 7개월간 복무했다.[6] 1984년에 제대와 함께 서울대학교에 복학하여 무기화학을 전공했고 1988년에 학사 학위를 받으면서 졸업했다.

1988년 1월부터 당시 비디오테이프·콤팩트 디스크·플로피 디스크 제조 업체로 이름을 알렸던 SKC(옛 이름 선경화학) 천안공장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나 1990년 2월에 퇴사했다.[7][8] 그 뒤 서울대학교 대학원 화학과에 입학하여 최진호 교수의 제자가 되었다. 처음에는 초전도체 연구를 원했으나 교수의 제안에 따라 페로브스카이트 연구로 방향을 바꿨다. 1992년 2월에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무기화학 석사 학위를 받았고 1995년 2월에 《2차원 무기 고체 화합물과 그 층간 삽입 화합물의 합성 및 물리화학적 성질에 관한 연구》라는 논문을 통해 무기화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9]

1996년 3월부터 1997년 5월까지 프랑스 페사크에 위치한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CNRS) 산하 보르도 응집물질화학연구소(ICMCB)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근무하면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그 뒤 1997년 6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미국 콜로라도주 골든에 위치한 국립재생에너지연구소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근무했다.[8] 2000년 1월에 대한민국으로 돌아온 뒤부터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책임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5년 12월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으로 자리를 옮겨 태양전지연구센터장, 에너지재료연구단 책임연구원으로 근무했다.[8][10] 그러나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경제적이기는 하나 에너지 변환 효율성에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던 중에 2007년에 스위스에서 열린 태양전지 관련 학회에서 미야사카 쓰토무 일본 도인 요코하마 대학 교수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에 관한 발표를 진행하는 모습을 목격하게 된다.[11][12] 미야사카 쓰토무는 2009년에 발표한 논문을 통해 페로브스카이트 구조 물질을 적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모델을 처음 제시했지만 액체 상태로 구현되어 안정성이 떨어지는 데다가 효율이 3.8%에 불과하여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했다.[13][14]

2009년 7월에 성균관대학교 교수로 부임하면서 페로브스카이트에 관한 연구를 진행했고[2] 페로브스카이트 구조 화합물이 부도체, 반도체, 도체의 성질과 함께 초전도 현상을 갖고 있어서 빛을 잘 흡수하는 특성을 가졌다는 사실에 주목하게 된다.[15][16] 그 뒤 2012년 8월에 미하엘 그레첼 스위스 로잔 연방 공과대학교 교수와 함께 고체형 페로브스카이트로 만든 태양전지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17][18] 그가 개발한 고체형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당시 최고 효율이었던 9.7%를 기록했으며 500시간 이상 실외에 노출되어도 효율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특징이었다.[19] 네이처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츠》에 게재된 이 논문은[20] 안정적이고 고효율적인 고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에 대한 최초의 논문으로 여겨졌다.[21] 그 뒤 세계 각지에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았다.[22][23] 그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연구 성과는 2022년 영국 랭크상 광전자공학 부문 수상,[24] 2024년 이탈리아 에니상 에너지 프런티어 부문 수상으로 이어지면서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다.[25] 2023년에는 대한민국 출신 과학기술인으로는 유일하게 스웨덴 왕립 과학한림원에서 주최한 노벨 심포지움에 초청되어 고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에 대한 발표를 진행하기도 했다.[26]

수상

[편집]
  • 2008년 9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 2008년 10월 행정안전부의 경향 전기에너지대상
  • 2010년 제8회 듀폰과학기술상
  • 2016년 제10회 덕명한림공학상
  • 2017년 클래리베이트 인용상 (노벨 화학상 수상 가능성이 있는 후보자 명단 등재)
  • 2018년 제28회 호암 공학상
  • 2018년 올해의 과학자상
  • 2019년 싱가포르 《아시안 사이언티스트》 선정 아시아 100대 과학기술인[27]
  • 2022년 영국 랭크상 광전자공학 부문
  • 2024년 한국공학한림원 대상
  • 2024년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 2024년 이탈리아 에니상 에너지 프런티어 부문

각주

[편집]
  1. “한국과학기술한림원 - 회원 - 회원소개”. 《한국과학기술한림원》. 2025년 3월 10일에 확인함. 
  2. “박남규 (朴南圭, Nam-Gyu Park)” (PDF). 《Sungkyunkwan University》 (영어). 2025년 2월 24일에 확인함. 
  3. “Biography - Nam-Gyu Park” (PDF). 《ENI》 (영어). 2025년 2월 24일에 확인함. 
  4. “Research - Nam-Gyu Park” (PDF). 《ENI》 (영어). 2025년 2월 24일에 확인함. 
  5. '죽을 때까지 연구해 보시죠!' 과학자에게 무한 기회 준 대학”. 《한국일보》. 2024년 11월 5일. 2025년 3월 10일에 확인함. 
  6.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주최 제25회 석학 커리어 디시전스 강연 《우연한 발견은 없다》 참조
  7. “노벨상 유력 연구의 비결...박남규 교수 “모두가 외면해도 가능성 믿었다””. 《동아사이언스》. 2017년 9월 25일. 2025년 3월 10일에 확인함. 
  8. “Nam-Gyu Park, Ph.D.” (PDF). 《Carnegie Mellon University》 (영어). 2025년 3월 10일에 확인함. 
  9. “SNU Open Repository and Archive: Synthesi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2-dimensional inorganic solids and their intercalation compounds”. 《S-Space》. 2015년 3월 10일에 확인함. 
  10. “국산 '유리창 발전기' 상품화된다”. 《연합뉴스》. 2008년 7월 17일. 2025년 3월 10일에 확인함. 
  11. “20년간 변함없는 연구…3세대 태양전지 상용화 눈앞”. 《한겨레》. 2018년 11월 26일. 2025년 3월 10일에 확인함. 
  12. “태양전지 분야 세계적 석학 박남규 교수,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 선정”. 《서울신문》. 2024년 7월 7일. 2025년 3월 10일에 확인함. 
  13. “특집 - 에너지 기술 -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 이진욱, 박남규” (PDF). 《한국진공학회》. 2014년 12월. 2025년 3월 31일에 확인함. 
  14. “韓 주도하는 페로브스카이트 차세대 태양전지로 `우뚝`”. 《매일경제》. 2016년 9월 2일. 2025년 3월 31일에 확인함. 
  15. “박남규 성균관대 교수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고효율 원인 규명”. 《아주경제》. 2013년 8월 7일. 2025년 3월 10일에 확인함. 
  16. “올해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에 박남규 성균관대 교수”. 《연합뉴스》. 2024년 7월 5일. 2025년 3월 10일에 확인함. 
  17. ““노벨상 받기 위한 연구를 해라” 젊은 연구자들 만난 석학의 조언”. 《조선일보》. 2023년 6월 8일. 2025년 3월 10일에 확인함. 
  18. “태양전지 석학 박남규 교수 "노벨상 목표로 연구하라". 《연합뉴스》. 2023년 6월 8일. 2025년 3월 10일에 확인함. 
  19. “반도체 염료로 박막 태양전지 효율 2배 올려”. 《연합뉴스》. 2012년 8월 25일. 2025년 3월 10일에 확인함. 
  20. “Lead Iodide Perovskite Sensitized All-Solid-State Submicron Thin Film Mesoscopic Solar Cell with Efficiency Exceeding 9%”. 《Scientific Reports》 (영어). 2012년 8월 21일. 2025년 3월 10일에 확인함. 
  21. “[노벨 로드] 박남규 성균관대 교수 “태양전지 너머 세상에 없는 물질을 찾아서””. 《조선일보》. 2023년 7월 3일. 2025년 3월 10일에 확인함. 
  22. "아, 한국도!" 박남규 교수 노벨상 유력 후보 선정...페로브스카트 태양전지 연구”. 《조선일보》. 2017년 9월 20일. 2025년 3월 10일에 확인함. 
  23. ““1839년 발견된 독특한 결정구조에 주목… 태양전지 게임체인저 개발”[M 인터뷰]”. 《문화일보》. 2025년 1월 24일. 2025년 3월 10일에 확인함. 
  24. “성균관대 박남규 교수, 페르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개척으로 2022년 랭크상 수상”. 《교수신문》. 2021년 9월 29일. 2025년 3월 10일에 확인함. 
  25. “성균관대 박남규 교수 2024 Eni Award 수상”. 《베리타스알파》. 2024년 10월 15일. 2025년 3월 10일에 확인함. 
  26. '페로브스카이트 아버지' 박남규 교수, 28회 한국공학한림원 대상 수상”. 《전자신문》. 2024년 1월 25일. 2025년 3월 10일에 확인함. 
  27. “The Asian Scientist 100”. 《Asian Scientist》 (영어). 2025년 3월 13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