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바단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바단조
{ \magnifyStaff #3/2 \omit Score.TimeSignature \key f \minor s16 \clef F \key f \minor s^"" }
다른 언어 이름
영어F minor
독일어F-moll
프랑스어Fa mineur
이탈리아어Fa minore
관계조
나란한조내림가장조
같은으뜸조바장조
딸림조다단조
버금딸림조내림나단조
구성음
F, G, A, B, C, D, E

바단조(-短調)는 (F) 음을 으뜸음으로 하는 단음계조성이다. 음계는 기본적으로 F, G, A♭, B♭, C, D♭, E♭로 되어있다.

음계와 화음 종류

[편집]

자연단음계, 화성단음계, 가락단음계는 다음과 같다.


\header { tagline = ##f }
scale = \relative c' { \key f \minor \omit Score.TimeSignature
  f^"바단조 자연 단음계" g aes bes c des es f es des c bes aes g f2 \clef F \key f \minor }
\score { { << \cadenzaOn \scale \context NoteNames \scale >> } \layout { } \midi { } }

\header { tagline = ##f }
scale = \relative c' { \key f \minor \omit Score.TimeSignature
  f^"바단조 화성 단음계" g aes bes c des e f e! des c bes aes g f2 }
\score { { << \cadenzaOn \scale \context NoteNames \scale >> } \layout { } \midi { } }

\header { tagline = ##f }
scale = \relative c' { \key f \minor \omit Score.TimeSignature
  f^"바단조 가락 단음계" g aes bes c d e f es? des? c bes aes g f2 }
\score { { << \cadenzaOn \scale \context NoteNames \scale >> } \layout { } \midi { } }

이 조성의 음악

[편집]

바단조의 유명한 작품으로는 베토벤의 열정 소나타, 쇼팽의 피아노 협주곡 2번, 발라드 4번, 하이든의 교향곡 49번, 라 파시오네, 차이코프스키의 교향곡 4번 등이 있다.

글렌 굴드(Glenn Gould)는 자신이 어떤 조성이라도 될 수 있다면 바단조가 될 것이라고 말한 적이 있다. 왜냐하면 "복잡함과 안정감의 중간, 직립과 음탕함, 회색과 진한 색조 사이... 어느 정도 경사가 있다"는 것 때문이다.[1]

헤르만 폰 헬름홀츠(Hermann von Helmholtz)는 바단조를 비참하고 우울하다고 묘사한 적이 있다. 크리스티안 슈바르트(Christian Schubart)는 이 조성을 "깊은 우울증, 장례적 애도, 비참한 신음, 무덤에 대한 그리움"으로 묘사했다.[2]

유명 작품

[편집]

그 외

[편집]

바로 아래 문단조성, 표기가 보다 복잡한 올림마단조의 이명동조로써 그 조성을 대체할 경우에도 바단조가 사용될 수 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바로 아래 문단 참고 바람.

올림마단조

[편집]

올림마단조(-短調)는 올림마(E♯) 음을 으뜸음으로 하는 이론적의 조성 중 하나로, 기본적으로 E♯, Fdouble sharp, G♯, A♯, B♯, C♯, D♯로 되어있는 단음계이다. (나란한조올림사장조와도 더불어,) 조표에는 총 8개의 올림표가 있으며, 이는 겹올림표 1개와 단일 올림표 6개로 되어있다. 이 조성은 조표에 총 7개의 올림표를 지닌 올림가단조에서 바로 딸림조이다. 올림마단조의 이명동조로는 바단조가 있으며, 바단조와 서로 이명동조 관계다. 다만, 일반적으로 표기가 간단한 이명동조인 바단조로 대체한다. 이명동조인 바단조는 총 4개의 내림표만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올림마단조보다 선호된다.

올림마단조
{ \magnifyStaff #3/2 \omit Score.TimeSignature \key gis \major s16 \clef F \key eis \minor s^"" }

대체 표기법
{ \magnifyStaff #3/2 \omit Score.TimeSignature \set Staff.keyAlterations = #`((3 . ,SHARP)(0 . ,SHARP)(4 . ,SHARP)(1 . ,SHARP)(-2 . ,SHARP)(2 . ,SHARP)(-1 . ,SHARP)(3 . ,DOUBLE-SHARP)) s^"" }
다른 언어 이름
영어E-sharp minor
독일어Eis-moll
프랑스어Mi dièse mineur
관계조
나란한조올림사장조 (이론적)
이명동조: 내림가장조
같은으뜸조올림마장조 (이론적)
이명동조: 바장조
딸림조올림나단조 (이론적)
이명동조: 다단조
버금딸림조올림가단조
이명동조바단조
구성음
E, Fdouble sharp, G, A, B, C, D

올림마단조의 자연단음계, 화성단음계, 가락단음계는 다음과 같다.


\header { tagline = ##f }
scale = \relative c' { \key eis \minor \omit Score.TimeSignature
  eis^"올림마단조 자연 단음계" fisis gis ais bis cis dis eis dis cis bis ais gis fisis eis2 }
\score { { << \cadenzaOn \scale \context NoteNames \scale >> } \layout { } \midi { } }

\header { tagline = ##f }
scale = \relative c' { \key eis \minor \omit Score.TimeSignature
  eis^"올림마단조 화성 단음계" fisis gis ais bis cis disis eis disis! cis bis ais gis fisis eis2 }
\score { { << \cadenzaOn \scale \context NoteNames \scale >> } \layout { } \midi { } }

\header { tagline = ##f }
scale = \relative c' { \accidentalStyle modern \key eis \minor \omit Score.TimeSignature
  eis^"올림마단조 가락 단음계" fisis gis ais bis cisis disis eis dis? cis? bis ais gis fisis eis2 }
\score { { << \cadenzaOn \scale \context NoteNames \scale >> } \layout { } \midi { } }

올림마단조 음계의 화음 종류는 다음과 같다.

올림마단조는 일반적으로 표기가 보다 단순한 이명동조인 바단조로 대체 사용되긴 하나 이명동조인 바단조를 사용하지 않고도 다음처럼 올림마단조로 임시로 쓰일 수도 있다. 바흐의 전주곡과 푸가 3번의 17~22마디에서 일시적으로 사용되었다. 다만, 이는 직접적인 조표 형태는 아니었고 임시표 형태로 사용된 것이다.

한편, 19-TET, 31-TET의 경우처럼 E과 F가 서로 다른 음을 내어 올림마단조와 바단조가 서로 이명동조 관계에서 벗어나는 음률에선 이 조성이 그대로 사용되어야 할 수 있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Cathering Meng, Tonight's the Night (Apostrophe Books, 2007): 21
  2. “Musical Key Characteri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