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너드 루프
보이기
바너드 루프 | |
관측 정보 | |
---|---|
물리적 성질 | |
메시에 천체 목록 NGC 천체 목록 |
바너드 루프(Barnard's Loop, 카탈로그 부호 Sh 2 -276 )는 오리온 자리에 있는 발광 성운이다. 이는 어두운 말머리 성운과 밝은 오리온 성운을 포함하는 오리온 분자운 복합체의 일부로, 대략 오리온 성운에 중심을 둔 큰 곡선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오리온 성운 내부의 별들은 루프를 이온화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 루프는 지구에서 볼 때 약 600 각분 이상으로 확장되어 오리온자리의 대부분을 덮고 있으며, 매우 어두운 하늘 아래에 있는 관측자는 육안으로도 볼 수 있지만 장시간 노출 사진에서 잘 보인다.
최근의 추정에 따르면 159 pc (518 광년 )[1] 또는 440 pc(1434 ly)[2]의 거리에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그 크기가 각각 약 100 광년 또는 300 광년 크기에 해당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루프는 약 200만년 전의 초신성 폭발에서 시작된 것으로 생각되는데, 이 폭발에 의하여 마차부자리 AE, 비둘기 자리 Mu 및 양 자리 53을 포함하는 여러 개의 알려져 있는 폭주 별을 생성하였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러한 폭주 별들은 하나의 구성 천체가 초신성으로 폭발한 다중 항성계의 일부이었던 것으로 믿어지고 있다.[3]
이 희미한 성운은 초기의 천문학자들에 의해 관찰되었던 것이 확실하지만, 1894년에 이 성운을 촬영하여 설명한 선구적인 천체 사진가인 에드워드 에머슨 바너드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4]
-
적색 채널이 흑백 반전된 바너드 루프 성운의 상부 영상
-
이온화된 수소(H-알파)가 붉은 구름으로 보이는 오리온자리의 장시간 노출 사진. 왼쪽의 큰 활 모양이 바너드 루프이다.
-
배경으로 오리온 자리의 주요 별과 성운이 보이는 바너드 루프
참조
[편집]- ↑ Wilson, B.A.; Dame, T.M.; Masheder, M.R.W.; Thaddeus, P. (2005). “A uniform CO survey of the molecular clouds in Orion and Monoceros”. 《Astronomy and Astrophysics》 430 (2): 523–539. arXiv:astro-ph/0411089v1. Bibcode:2005A&A...430..523W. doi:10.1051/0004-6361:20035943.
- ↑ O'Dell, C.R.; Ferland, G.J.; Porter, R.L.; van Hoof, P.A.M. (2011). “Physical Conditions in Barnard's Loop, Components of the Orion-eridanus Bubble, and Implications for the Warm Ionized Medium Component of the Interstellar Medium”. 《The Astrophysical Journal》 733 (1): 9. arXiv:1103.2789. Bibcode:2011ApJ...733....9O. doi:10.1088/0004-637X/733/1/9.
- ↑ “The Internet Encyclopedia of Science: Barnard's Loop (Sh 2-276)”. David Darling. 2008년 3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4월 22일에 확인함.
- ↑ Barnard, E. E. (1894). “The great photographic nebula of Orion, encircling the belt and theta nebula”. 《Popular Astronomy》 2: 151–154. Bibcode:1894PA......2..151B. doi:10.1086/102137.
- Gaylard, M. J. (1984), “Detection of the H 142-alpha line from the Barnard Loop”,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211: 149–153, doi:10.1093/mnras/211.1.149
- Reynolds, R. J.; Ogden, P. M. (1979), “Optical evidence for a very large, expanding shell associated with the I Orion OB association, Barnard's loop, and the high galactic latitude H-alpha filaments in Eridanus”, 《Astrophysical Journal》 229: 942–953, Bibcode:1979ApJ...229..942R, doi:10.1086/157028
외부 링크
[편집]- 오리온의 여러 성운을 볼 수 있는 사진
- 《우주 생물학, 천문학 및 우주 비행 백과사전》
- 우주의 규모 ( 오늘의 천문학 사진 2012년 3월 1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