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타네정
| 미타네정 三種町 みたねちょう | |||||
|---|---|---|---|---|---|
| |||||
| 국가 | |||||
| 지방 | 도호쿠 지방 | ||||
| 도도부현 | 아키타현 | ||||
| 군 | 야마모토군 | ||||
| 시정촌코드 | 05348-1 | ||||
| 면적 | 247.98 km2 | ||||
| 인구 | 13,157명 [편집] (추계인구, 2025년 10월 1일) | ||||
| 인구 밀도 | 53.1명/km2 | ||||
| 정목 | 삼나무 | ||||
| 정화 | 벚꽃 | ||||
| 정조 | 백조 | ||||
| 정장 | 다가와 마사유키 (田川 政幸) | ||||
| 정사무소 소재지 | 〒018-2401 아키타현 야마모토군 미타네정 우카와 이와야코 8 북위 40° 6′ 5.8″ 동경 140° 0′ 18″ / 북위 40.101611° 동경 140.00500° | ||||
| 웹사이트 | 미타네정 | ||||
미타네정 (미타네초)(일본어: 三種町)은 일본 아키타현 북서부에 있는 야마모토군의 정이다.
군 남부의 고토오카정(琴丘町), 야마모토정(山本町), 하치류정(八竜町)이 합병해 2006년 3월 20일에 성립했다. 정명인 '미타네'는 이 지역을 흐르는 미타네강에서 유래한 것이다. 야마모토 지역의 순채 생산량은 일본에서 가장 많다.
개요
[편집]‘시라카미시’ 구상이 무산된 후, 야마모토군의 고토오카정, 야마모토정, 하치류정 세 정이 통합을 표명하고 새로 합병협의회를 설치하였다. 당초에는 후타쓰이정에도 참여를 요청했으나, 이 정은 고토오카정·야마모토정과 경계를 접하고 있긴 하지만 그 경계가 산악지대에 위치해 있고, 세 정과 후타쓰이정의 중심부가 멀리 떨어져 있어 현실적이지 않다는 이유로 거절하였다. 후타츠이정은 노시로시와의 합병과 단독 존속 두 방안을 모색했으나, 이후 노시로시와의 합병을 선택하였다. ‘미타네(三種)’라는 정명은 세 정을 흐르는 미타네가와(三種川)에서 유래하였다.
미타네강과의 유래는 옛날 순국하던 고승이 강의 원류에서 백발의 노인을 만나 그에게 강의 이름을 묻자 ‘미타네강’이라고 답했다는 이야기에서 비롯된다. 이 이야기는 호주산의 연기를 기록한 『호주산 옛이야기(房住山昔物語)』[1][2]에 기록되어 있다.
합병 후의 정청은 구 하치류정청에 설치되었으나, 교통과 경제의 중심은 구 고토오카정의 시카와타리(鹿渡) 지구이다. 고토오카 지역의 중심은 시카와타리, 야마모토 지역의 중심은 모리타케이며, 하치류 지역의 중심은 우카와와 하마구치(지명으로는 ‘하마다(浜田)’와 ‘오오쿠치(大口)’에서 각각 한 글자씩 따서 ‘하마구치(浜口)’ 지구라 부름) 두 인접 지구로 되어 있다. 각 지역에는 구 정청(현 정청과 고토오카 지역 거점센터 및 야마모토 종합지소)과 인구 집중이 나타나 있으며, 대체로 시카와타리 지구가 교통·경제의 중심, 모리타케 지구가 관광의 중심, 우카와·하마구치 지구가 행정의 중심으로 구분되어 있다.
순채(ジュンサイ) 생산은 일본 국내 생산량의 약 90%를 차지하는 전국 제1의 산지이다[3][4]. 생산의 중심은 구 야마모토정으로, 1986년에는 약 270톤이었으나[5]1987년부터 3년에 걸쳐 전작 작물로서 장려 사업을 실시한 결과 급속히 증가하였고[5] 1991년에는 약 1,260톤에 달하였다[5]. 그러나 그 후 감소세로 전환되어 2016년에는 약 440톤으로 크게 줄어들었다[5].
지리
[편집]인접한 자치체
[편집]역사
[편집]- 2006년 3월 20일 - 야마모토군 고토오카정, 야마모토정, 하치류정 등 3정이 합병해 탄생했다.
- 2009년
- 2013년 9월 17일 - 고토오카 지역거점센터 개설에 따라 고토오카종합지소와 고토오카공민관을 폐지하였다.
- 2022년 8월 10일 - 집중호우로 인해 미타네가와가 범람하였다. 모리타케에서 가미이와카와에 이르는 약 14km 구간의 하천 주변이 침수 피해를 입었다[6].
- 2023년 7월 15일 - 집중호우(레이와 5년 7월 14일부터의 장마전선에 의한 폭우)로 인해 미타네가와가 범람하였다[7].
- 2025년 9월 2일 - 집중호우로 인해 미타네가와가 범람하였다. 야마모토중학교에서는 교직원과 학생들이 고립되어 보트로 구조되었다[8].
인구
[편집]| 미타네정의 전국의 연령별 인구 분포(2005년) | 미타네정의 연령·남녀별 인구 분포(2005년) | ||
■자주색 ― 미타네정
■녹색 ― 일본전국 |
■파랑색 ― 남자
■빨간색 ― 여자 | ||
미타네정(에 해당되는 지역)의 인구추이 | |||
| 일본 총무성 통계국 국세조사 결과 | |||
지역
[편집]경찰
[편집]- 야마모토 주재소
- 가나오카 주재소
- 하치류 주재소
- 하마다 주재소
- 고토오카 주재소
소방
[편집]- 미타네 소방서
- 가미이와카와 분서
우체국
[편집]- 고토오카 우체국(집배국) - 018-21xx
- 하치류 우체국(집배국) - 018-24xx
- 모리타케 우체국(집배국) - 018-23xx
- 가미이와카와 우체국
- 시모이와카와 우체국
- 가나오카 우체국
- 하마구치 우체국
- 코이카와 간이우체국
- 모리타케온천 간이우체국
- 야마모토나카지마 간이우체국
- 하치류오오마가리 간이우체국
- 아시자키 간이우체국
금융기관
[편집]- 아키타은행 시카와타리 지점(지정 금융기관)
- 우고신용금고
- 하치류 지점
- 모리타케 지점
- 아키타야마모토 농업협동조합
- 본점 금융부(고토오카 지점 계정)
- 호쿠토은행 야마모토 지점 및 미타네 지점은 노시로시의 노시로 지점 내에 위치해 있다.
발전소
[편집]- 해상풍력발전소(명칭 미정) - 미타네정 앞바다는 노시로시, 오가시 등과 함께 국가에 의해 해상풍력발전 정비를 우선적으로 추진하는 촉진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2021년에 미쓰비시상사와 주부전력의 자회사 등이 참여한 공동사업체가 사업자로 결정되었으나[9] 2025년 8월에 주간사인 미쓰비시상사가 철수를 표명하면서 사업의 전망이 불투명해졌다[10].
교육
[편집]- 미타네정립 고토오카 초등학교(구 시카와타리 초등학교 건물을 활용하여 2009년 4월에 새로 설립)
- 미타네정립 모리타케 초등학교
- 미타네정립 가나오카 초등학교
- 미타네정립 하마구치 초등학교
- 미타네정립 고호쿠 초등학교
- 미타네정립 고토오카 중학교
- 미타네정립 야마모토 중학교
- 미타네정립 하치류 중학교
교통
[편집]철도
[편집]버스
[편집]- 슈호쿠 버스 - 노시로시 중심부와 산주정청을 연결하는 노선을 운행.
- 노시로 후생의료센터 - 노시로 버스정류장 - 노시로역 앞 - 아사우치 - 오오마가리 - 하치류 후레아이센터
- 산주정 후레아이버스·순환버스
도로
[편집]외부 링크
[편집]- (일본어) 미타네정
- 공식 웹사이트
- ↑ 아키타총서 별집 제2권 (스가에 마스미집 제2권) 호주산 옛이야기
- ↑ 소목곡총서 아키타의 옛날 제1권 보주산 옛이야기, 범자우산흥립기
- ↑ 후쿠도메 쓰네토모 (2016년 6월 14일). “은혜의 수면, 수확 철 – 아키타현 미타네, 순채 수확 한창”. 《아사히신문》 (아사히신문사). 석간 10면면.
- ↑ 다케하나 데쓰로 (2017년 6월 27일). “늪의 보물찾기 – 순채 채취 체험 인기, 아키타현 미타네정”. 《아사히신문》 (아사히신문사). 석간 13면면.
- ↑ 가 나 다 라 오가타 무기 (2017년 6월 13일). “순채 따기, 즐거운 ‘보물찾기’ – 미타네 농원의 늪, 신입 기자의 수확 체험”. 《아사히신문》 (아사히신문사). 조간 아키타 전현판면.
- ↑ “미타네가와 범람으로 14km 침수, 아키타의 폭우 피해”. 아사히신문 DIGITAL. 2022년 8월 13일. 2023년 7월 16일에 확인함. 다음 글자 무시됨: ‘和書’ (도움말)
- ↑ “아키타시에서 관측 사상 최대 폭우, 현내 7개 하천 범람, 4명 부상”. 산케이신문. 2023년 7월 15일. 2023년 7월 16일에 확인함. 다음 글자 무시됨: ‘和書’ (도움말)
- ↑ “아키타현에 폭우, 6개 하천 범람으로 12채 침수… 미타네정에서는 중학교에 고립된 학생들을 보트로 구조”. 요미우리신문. 2025년 9월 2일. 2025년 9월 2일에 확인함.
- ↑ “해상풍력 촉진 3구역, 미쓰비시상사·주부전력계가 낙찰, 도쿄전력은 탈락”. 아사히신문. 2021년 12월 24일. 2021년 12월 24일에 확인함. 다음 글자 무시됨: ‘和書’ (도움말)
- ↑ “미쓰비시상사, 국내 3해역 해상풍력 철수 표명 — 비용 상승으로 수익성 확보 어려워”. 아사히신문. 2025년 8월 27일. 2025년 10월 26일에 확인함. 다음 글자 무시됨: ‘和書’ (도움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