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미라클 미네랄 서플먼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미라클 미네랄 서플먼트(Miracle Mineral Supplement), MMS 또는 CD 프로토콜[1]은 산업용 표백제이산화 염소 수용액에 대한 브랜드 이름이다. 이 제품은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 , 감기를 포함한 질병을 치료하는 것으로 거짓으로 홍보되어 왔다. 이는 수용성 아염소산 나트륨을 산(예: 귤속 과일 주스 또는 식초)과 혼합하여 만든다. 이 과정에서 독성 화학 물질인 이산화 염소가 생성되는데, 이는 구역질, 구토, 설사를 유발할 수 있으며, 탈수로 인해 생명을 위협하는 저혈압을 초래할 수 있다.[2]

이산화 염소의 주요 전구체인 아염소산 나트륨 자체도 섭취 시 독성이 있다.[3][4] 고용량에서는 급성 콩팥 기능상실을 유발한다.[5] 더 낮은 용량(~1 그램)은 구역질, 구토, 장 염증(소위 "로프 웜" 생성), 심지어 포도당 6-인산 탈수소효소 결핍증 환자에게 생명을 위협하는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

미국 환경보호청은 음용수 중 이산화 염소의 최대 허용치를 0.8 mg/L로 설정했다.[6] 호주 뉴사우스웨일스주 독극물 정보 센터 소장인 나렌 군자(Naren Gunja)는 이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농축된 표백제를 마시는 것과 비슷하다"고 말했으며, 사용자들은 구토, 복통, 설사 등 부식성 손상과 일치하는 증상을 보였다고 밝혔다.[7][8]

이 이름은 전 사이언톨로지 신자[9] 짐 험블이 2006년 자가 출판한 책 《21세기의 기적의 미네랄 용액》에서 만들었다.[10] 험블은 이 화학 물질이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 말라리아, 바이러스성 간염, H1N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기, 자폐, 여드름, 및 기타 질병을 치료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을 시험하기 위한 임상 시험은 없었으며, 단지 일화적인 보고와 험블의 책에만 근거하고 있다.[11][12] 2010년 1월, 시드니 모닝 헤럴드는 한 판매자가 의약품으로 사용하는 것을 막는 규제를 피하기 위해 험블의 주장을 서면으로 반복하지 않는다고 인정했다고 보도했다.[13] 판매자들은 때때로 MMS를 정수기로 묘사하여 의료 규제를 피한다.[7] 국제 적십자사·적신월사 연맹은 MMS 홍보자들이 말라리아 퇴치를 위해 이 제품을 사용했다는 보고를 "강력히 부정"했다.[14] 2016년, 험블은 MMS가 "아무것도 치료하지 않는다"고 말했다.[15] 2019년 8월, 미국 식품의약국은 2010년 MMS 제품 사용에 대한 경고를 다시 반복하며 "표백제를 마시는 것과 같다"고 묘사했다.[2]

안전 및 법적 문제

[편집]

가디언은 MMS를 "극히 불쾌한 물질이며, 이 제품을 가진 사람은 즉시 사용을 중단하고 버려야 한다는 의학적 조언이 있었다. 캐나다에서는 생명을 위협하는 반응을 일으킨 후 금지되었다"고 묘사했다.[10] 2009년 8월, 바누아투에서 요트를 타고 미국인 남편과 여행하던 멕시코 여성이 말라리아를 예방하기 위해 MMS를 복용했다. 그녀는 15분 이내에 병에 걸렸고, 12시간 이내에 사망했다. 섬나라의 공공 검사인 케이린 타보아(Kayleen Tavoa)는 MMS 수입을 금지하는 특정 법률이 없었기 때문에 어떠한 혐의도 제기하지 않았지만, "모든 사례는 그 자체의 장점으로 평가되지만, 앞으로 바누아투에서 MMS를 오용하는 사람은 잠재적으로 심각한 형사 범죄로 기소될 수 있음을 조언한다. 아무도 자신이 마시는 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혼합물을 마시기로 결정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건강 위험을 알려주지 않고 다른 사람에게 MMS를 주어서는 안 된다"고 조언했다.[16][17]

2008년, 60세 캐나다 남성이 MMS에 대한 생명을 위협하는 반응으로 입원했다.[18] 2010년 5월, MMS가 아염소산 나트륨의 허용치를 200배 초과한다는 자문이 있은 후,[19] 캘거리에 본사를 둔 공급업체는 잠시 유통을 중단했다. 2012년 2월의 경고로 인해 한 웹사이트가 폐쇄되었는데, 이 경고는 "캐나다에서 인간이 경구 섭취하도록 승인된 아염소산 나트륨을 포함하는 치료 제품은 없다"고 권고했다.[20][21] 영국에서는 헬스 캐나다미국 식품의약국의 초기 경고에 이어 영국 식품기준청이 경고를 발표했는데, "MMS는 산업용 표백제와 동일한 28% 아염소산 나트륨 용액이다. 지시대로 복용할 경우 심각한 구역질, 구토, 설사를 유발하여 잠재적으로 탈수저혈압을 초래할 수 있다. 용액을 지시된 것보다 덜 희석하면 장과 적혈구에 손상을 입혀 잠재적으로 호흡부전을 유발할 수 있다"고 밝혔다.[22][23] 더 묽은 버전도 해를 입힐 가능성이 있지만, 그럴 가능성은 낮다. 이후 식품기준청은 MMS에 대한 경고를 다시 강조하고 CDS까지 확대했다.[24][25]

판매자들은 구토, 메스꺼움, 설사가 제품의 효과 때문이라고 주장하지만, 실제로는 제품의 독성 때문이다.[26]

2009년 12월, 벨기에 독극물 통제 센터에서 유럽 독극물 센터 및 임상 독성학 협회에 경고가 발행되었다. 이에 대한 응답으로, 2010년 3월 프랑스 독성 감시 조정 위원회(Comité de Coordination de Toxicovigilance)에서 평가를 수행했으며, 용량 의존적 자극 및 가능한 독성 효과에 대해 경고했다. 그들은 또한 심각한 질병에 걸린 환자들이 이 사기성 치료를 위해 기존 치료를 중단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27]

2010년 7월 미국 식품의약국은 유사한 통지를 발표하며, 아염소산 나트륨 용액과 산 (화학)(예: 귤속 과일 주스)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MMS가 "직물 탈색 및 산업 폐수 처리에 사용되는 강력한 표백제"인 이산화 염소를 생성한다고 경고했다. MMS 섭취 후 심각한 구역질, 구토, 탈수로 인한 위험한 저혈압을 포함한 보고가 있었기 때문에, FDA는 소비자들에게 제품 사용을 중단하고 즉시 폐기할 것을 권고했다.[28] FDA는 2019년 8월, MMS 섭취로 인한 질병 보고를 계속 받고 있다고 말하며 또 다른 경고를 발표했다.[8]

MMS는 어떤 질병의 치료에도 승인되지 않았으며, 미국 환경보호청에 따르면 소량의 이산화 염소에 만성적으로 노출되면 생식 및 신경 발달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29] 인간에게 미치는 이산화 염소의 영향에 대한 연구는 드물지만, 동물 대상 연구는 더 흔하다. 이산화 염소는 6개월 후 그리벳원숭이의 갑상선 기능을 손상시키고 CD4+ 도움 T세포 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30] 한 연구에서는 음용수 중 이산화 염소 농도 100 mg/L에 노출된 쥐에서 3개월 후 적혈구 수 감소가 발견되었다.[31] 미국 노동부는 직업적으로 이산화 염소 흡입 노출을 0.1 ppm으로 제한하고 있는데, 이는 10 ppm 농도에서 쥐가 10일 후 사망했고, 19 ppm에 우발적으로 노출된 작업자가 사망했기 때문이다.[32] 같은 기관에 따르면, "이산화 염소는 인간에게 심각한 호흡기 및 눈 자극제"이다.[32]

코로나19

[편집]

코로나19 범유행 기간 동안, 다른 질병에 대해 MMS를 홍보했던 QAnon 지지자 조던 새더(Jordan Sather)와 건강 및 치유를 위한 제네시스 II 교회(Genesis II Church of Health and Healing)와 같은 많은 이전 홍보자들은 MMS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치료제로 선전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MMS가 코로나19 또는 다른 질병을 치료할 수 있다는 주장은 어떠한 과학적 증거에도 근거하지 않는다.[33][34] 미국 플로리다 남부 지방 검찰청은 익명의 증언과 음모론에 호소하여 MMS를 코로나19의 치료제로 명시적으로 판매하던 교회의 다른 지부에 대한 예비 가처분 명령을 신청하여 승인받았다.[35][36] 그해 7월, 법원은 MMS를 판매하는 모든 웹사이트를 폐쇄하고, 교회가 새로운 웹사이트를 만들지 못하게 하며, MMS 제조에 사용된 모든 물질을 압수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여러 기관이 50갤런의 염산, 8,300파운드의 아염소산 나트륨, 그리고 22갤런의 완제품 압수에 참여했다. 교회는 또한 제품 유통이 불법적이었다는 사실을 고객들에게 통보하도록 지시받았다.[37] 마크 그레논(Mark Grenon)과 그의 아들 조나단 그레논(Jonathan Grenon), 조던 그레논(Jordan Grenon), 조셉 그레논(Joseph Grenon)은 미국을 사취하려 공모하고, 연방 식품, 의약품, 화장품법을 위반하려 공모하며, 형사상 모욕죄로 기소되었다.[38][39] 마크와 조셉 그레논은 2020년 8월 콜롬비아에서 체포되었고 미국으로 송환되었다.[40][41] 2023년 7월 21일, 그들은 미국을 사취하고, 승인되지 않은 약물을 유통하며, 잘못된 라벨이 부착된 약물을 유통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2023년 10월, 마크와 조셉 그레논은 60개월 형을 선고받았고, 조나단과 조던 그레논도 법정 모독죄로 유죄 판결을 받아 151개월 형을 선고받았다.[42][43][44]

볼리비아

[편집]

볼리비아코차밤바 관리들은 MMS를 코로나19 치료제로 홍보했으며, 의회는 "코로나바이러스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이산화 염소 용액의 제조, 마케팅, 공급 및 사용"을 승인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그 결과 최소 15명이 중독되었다.[45]

조사

[편집]

2015년, BBC 런던은 MMS에 대한 비밀 수사를 진행했으며, 기자가 자폐 환자의 가족 구성원으로 위장했다. BBC 기자는 미국의 제네시스 II 교회와 연관된 "목사"라고 자칭하는 레온 에드워즈(Leon Edwards)로부터 아염소산 나트륨염산이 담긴 두 병을 구매했다. 에드워즈는 기자에게 이 용액이 ,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 말라리아, 자폐, 알츠하이머병을 포함한 거의 모든 질병과 상태를 치료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아기에게 하루에 27방울을 권했다. 나중에 실험실 분석 결과 두 병의 용액 농도가 광고된 것보다 훨씬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에드워즈는 기자에게 다음과 같이 말했다.[46]

"저는 눈, 코, 귀에 넣고, 그걸로 목욕하고, 마시고, 폐로 들이쉬었어요. 엉덩이에 주사도 맞았죠."

ABC 뉴스KABC-TV는 2016년에 MMS 현상을 조사하여 남부 캘리포니아를 중심으로 암, 파킨슨병 및 소아 자폐를 포함한 질병 치료제로 이 물질을 홍보하는 "지하 네트워크"를 밝혀냈다.[9]

2018년 1월, 영국에서 MMS 사용에 대한 최소 6개 경찰 병력이 조사에 착수했으며, MMS는 계속 유통되고 있는 것으로 보도되었다. 영국의 의약품 및 건강 관리 제품 규제 기관영국 식품기준청 대변인은 이러한 제품 사용의 위험성에 대해 거듭 경고했다.[9][47]

2019년 가디언지에 보도된 바에 따르면, 우간다 정부는 국내 MMS 투여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48]

2019년, 스페인 법무부 장관은 독일 시민 안드레아스 칼커가 공중 보건에 대한 범죄로 기소된 사건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는데,[49][50][51] 이는 스페인 보건부가 2018년 10월에 제기한 소송에서 "아염소산 나트륨"의 인터넷 "출판 및 판매"에 대해 경고한 것이 발단이 되었다.[51]

2019년 여름, "제네시스 II 건강 및 치유 교회(Genesis II Church of Health and Healing)"는 칠레, 에콰도르, 남아프리카 공화국, 뉴질랜드에서 MMS를 홍보하기 위한 세미나를 개최했다. 미국 뉴욕주에서도 또 다른 세미나가 예정되어 있었는데, 이는 FDA가 해당 제품에 대해 경고한 지 일주일 만이었다.[52]

판결

[편집]

현재 멕시코에 거주하는 전 시카고 주민 일리노이주 법무장관의 요구에 따라 염소 이산화물 또는 "CD"의 독성 사용을 더 이상 일리노이주에서 홍보하지 않겠다는 문서에 서명해야 했다.[53] 리베라가 서명한 이 합의문에는 "응답자 [리베라]는 염소 이산화물자폐 치료에 사용하는 것과 관련하여 입증되지 않은 건강 및 의료 주장을 한다. 실제로 응답자는 염소 이산화물자폐를 치료할 수 있다는 주장을 뒷받침할 유능하고 신뢰할 수 있는 과학적 증거가 부족하다. 응답자가 염소 이산화물자폐 치료에 사용하는 것과 관련하여 입증되지 않은 건강 및 의료 주장을 홍보하는 행위는 소비자 사기법 제2조 위반에 해당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이 합의는 리베라가 세미나에서 연설하고 염소 이산화물 또는 이와 유사한 물질을 자폐 치료용으로 판매하는 것을 계속 금지했다. 그러나 리베라는 위험한 MMS 관장자폐 치료법으로 홍보하고, 어린이의 장 내벽에서 기생충("로프 웜")을 배출한다고 주장하는 웹사이트[54]를 통해 – 거짓 개념“Warning Against Chlorine Dioxide Use”. 《자폐 연구소》. 2019년 3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9월 24일에 확인함. </ref>를 유포하고 있다. 리사 매디건(Lisa Madigan) 법무장관은 이 사건에 대해 "완전한 돌팔이들이 어린 아이들에게 매우 위험한 화학 물질을 투여하도록 홍보하는 상황이다... 독성 화학 물질인 표백제를 섭취하는 것은 자녀를 치료하지 못할 것이다"라고 말했다.[55] 리베라는 유아와 어린아이들, 그리고 나이 많은 아이들에게 이산화 염소 관장을 할 것을 주장하며, 아이들이 용액을 마시고 목욕도 해야 한다고 요구했다.[1] 독일에서 리베라는 MMS를 코로나19 치료제로 홍보했다.[56]

MMS는 시애틀 지역을 겨냥한 호주 부부가 선전한 치료법이었다. 그들은 가짜 증언, 사진, 시애틀 주소를 사용하여 웹사이트를 운영하며 비밀 치료법이 담긴 책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고 선전하고, "MMS 프로페셔널"이라는 브랜드 이름으로 "정수제"라고 표기된 병을 판매했다.[57] 워싱턴주 법무장관실은 소송을 제기했으며, 호주 경쟁 소비자 위원회(ACCC)와 협력하여 40,000달러 이상의 합의금을 확보했는데, 이는 주 법률 비용으로 약 25,000달러, 200명의 소비자에게 분배될 14,000달러였다.[58][59] ACCC 법적 조치에서 재판을 맡은 판사는 이 치료법을 돌팔이 의료라고 묘사하고 웹사이트의 주장이 "거짓, 오도 또는 기만적"이라고 판결했다.[57][60]

호주 퀸즐랜드 매카이 시의 한 여성이 자격 없이 MMS를 환자들에게 주입했으며, 최대 A$2,000를 청구했다. 그녀의 차고는 적절한 멸균 시설이 부족했으며, 심지어 "자신의 주장에 대한 과학적 근거 없이 불성실하게 이점을 홍보하면서" 어떤 사람에게는 화학 요법을 피하라고 조언하기까지 했다. 퀸즐랜드주 공정거래 사무소는 그녀에게 "암으로 고통받는 사람을 치료하거나 낫게 하거나 이롭게 할 수 있다는 어떠한 주장도 하지 말라"는 법원 명령을 내렸고, 그녀는 A$12,000의 소송 비용을 부과받았다.[61][62]

2015년 5월 28일, 미국 연방 배심원단은 루이 대니얼 스미스(Louis Daniel Smith)가 MMS 판매와 관련하여 공모, 밀수, 잘못된 라벨이 부착된 약물 판매, 미국 사기 혐의로 유죄 판결을 내렸다. 재판에서 제시된 증거에 따르면 스미스는 정부의 감시를 피하기 위해 가짜 "정수" 및 "폐수 처리" 사업을 만들어 아염소산 나트륨을 확보하고 미라클 미네랄 서플먼트를 배송했다.[63] 2015년 10월 28일, 스미스는 연방 교도소에서 4년 3개월 복역 후 3년의 보호 관찰을 선고받았다.[64] 스미스의 형량에도 불구하고, 제네시스 II 건강 및 치유 교회(Genesis II Church of Health & Healing)는 미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MMS 판매 및 사용을 계속 홍보하고 있다. 워싱턴 포스트 기사에서 제네시스 II 건강 및 치유 교회의 주교 플로이드 제러드(Floyd Jerred)는 MMS에 대해 "제가 그냥 말만 하는 한, 그것은 교육일 뿐입니다"라고 말했고, 스미스의 유죄 판결에 대해서는 "그리고 그들이 저를 가두더라도, 저는 유체이탈 여행 방법을 알고 있습니다. 저는 어디든 갈 수 있고, 무엇이든 보고 싶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라고 말했다.[65]

2016년 아일랜드에서 제네시스 II 교회 웹사이트에 "주교"로 등재된 패트릭 멀리언(Patrick Merlehan)은 승인되지 않은 의약품으로 MMS를 제조 및 공급한 혐의로 두 가지 혐의에 대해 유죄 판결을 받고 4,000유로의 벌금을 부과받았다.[66] 그의 항소는 2018년에 기각되었다.[67]

MMS 판매와 관련된 29가지 혐의 중 17가지에 대해 유죄를 인정한 후, 브리티시컬럼비아 법원은 2018년 스탠리 노박(Stanley Nowak)에게 6개월 가택 연금, 이후 18개월 통금, 그리고 2년의 보호 관찰을 선고했다. 이는 캐나다에서 첫 번째 유죄 판결이었다.[68]

2020년 5월, 호주 의료용품청은 제네시스 II 교회의 지부인 MMS 오스트레일리아에 여러 광고 위반 혐의로 A$151,000의 벌금을 부과했다.[69][70]

카메룬과 우간다에서의 사용

[편집]

카메룬

[편집]

2018년 독일 뒤셀도르프의 하인리히 하이네 대학교 에노 프라이(Enno Freye)가 수행한 연구에서 카메룬의 말라리아 환자 500명에게 이산화 염소를 투여한 결과 "말라리아 치료에 유망한 새로운 접근법"이라는 결론을 내렸다.[71] 2019년 5월 보도에 따르면 가디언지는 해당 대학에 연락했고, 대학 측은 이 연구가 검토 결과 "과학적으로 가치 없고, 모순적이며, 부분적으로 윤리적으로 문제가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고 밝혔다. 프라이는 "이 직함이 요구하는 존경과 신뢰를 심각하게 손상시켰다"는 이유로 아플 교수(Apl-Professor) 직함을 박탈당하고 대학에서 해고되었다.[48] 2019년 8월, 해당 연구는 출판되었던 저널에서 철회되었는데, 편집자들이 불만 제기 및 조사 후 해당 연구가 실제로 수행되지 않았다는 결론을 내렸기 때문이었다.[72]

우간다

[편집]

2019년 5월, 가디언지는 미국인 목사 로버트 볼드윈(Robert Baldwin)이 우간다에서 약 1,200명의 성직자들에게 MMS를 "기적의 치료제"로 배포하도록 "훈련"시켰다고 보도했다. 각 성직자는 약 50명의 교인에게 MMS를 투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뉴저지주 출신의 52세 볼드윈은 MMS의 구성 요소인 아염소산 나트륨과 시트르산을 대량으로 수입해 왔다. 볼드윈은 자신이 설립한 기독교 사역인 '글로벌 힐링(Global Healing)' 산하에서 활동하며, "전능하신 하나님의 능력으로 생명 손실을 크게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볼드윈은 성직자들에게 "기적의 치료제"를 전파하는 인센티브로 스마트폰을 제공한다. 가디언지가 볼드윈에게 연락했을 때 그는 "우리는 사람들을 돕기 위해 자연 치유 요법을 사용합니다. 그것은 기독교인들이 하는 일입니다"라고 말했다. 볼드윈은 가디언지가 아프리카에서 투여되는 표백제 용량에 대해 묻자 전화를 끊었다.[48]

가짜 의약품 반대 운동가 피오나 오리어리(Fiona O'Leary)는 가디언지에게 로버트 볼드윈의 주장하는 통화 녹음을 제공했는데, 그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MMS에 주의를 끌면 정부나 제약 회사와 문제에 휘말릴 위험이 있습니다. 은밀하게 해야 합니다. 그래서 제가 교회를 통해 이 일을 시작한 거죠... 미국과 유럽은 훨씬 더 엄격한 법률을 가지고 있어서 사람들이 자유롭게 치료받을 수 없습니다. [미국] FDA의 통제가 너무 심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저는 개발도상국에서 일하는 겁니다... 가난한 나라 사람들은 우리가 부유한 나라에서 가지고 있는 선택권이 없어요. 그들은 하나님께서 주신 축복을 받아들이는 데 훨씬 더 개방적입니다." 또한 볼드윈은 "저는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그것을 'MMS'라고 부르지 않고 '치유의 물'이라고 부릅니다... 페이스북에는 'MMS'를 인식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 있습니다"라고 말했다고 한다.[48]

샘 리틀(Sam Little)은 볼드윈의 네트워크에 부분적으로 자금을 지원했으며, 가디언지에게 MMS가 우간다 사람들을 "돕고 있다"고 말했다: "우리는 말라리아뿐만 아니라 암, HIV, 온갖 종류의 질병으로 수많은 사람들을 치료했습니다." 리틀은 MMS에 대한 그의 관심이 가족 중 한 명이 "MMS로 암이 완치되었을 때" 생겼다고 말했다: "온라인에서 더 많은 사람들이 치료되는 영상을 보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말라리아에 직접 시험해보기로 결정하고 아프리카로 여행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또한 "사람들을 임상 시험을 위한 기니피그로 사용하지 않는다"고 말했다.[48]

미국의 보수 정치 운동가 앨런 키스는 우간다에서 MMS 사용을 적극적으로 홍보했다.[73]

아르헨티나

[편집]

MMS는 스페인어로도 홍보되어 왔다.[74] 2019년, 안드레아스 칼커(Andreas Kalcker)는 부에노스아이레스의 두 호텔에서 MMS와 동일한 "CDS"라는 치료법을 홍보하는 프레젠테이션을 진행했다.[74] 이 제품은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 스페인어로 홍보되었으며 온라인에서도 판매되었다.[74]

2020년 8월, 아르헨티나에서 5세 소년이 "이산화 염소 중독과 일치하는 다발성 장기 부전"으로 사망했다.[75] 소년의 부모는 이 치료법이 코로나19를 막는 힘이 있다고 믿었다.[75] 이 아동의 사망과 치료법과 관련된 추가 사망에 대한 조사가 시작되었다.[75] 2021년 3월, 경찰은 화학 물질이 제조되고 판매되던 장소에 대한 급습을 실시했으며, 9월에는 추가 급습을 진행했다.[75]

2021년 1월, 92세의 코로나바이러스 환자가 사망했는데, 판사가 가족의 요청에 따라 병원에 이산화 염소를 투여하도록 명령한 후였다.[76]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Stefan Sirucek (2015년 3월 12일). “The Parents Who Give Their Children Bleach Enemas to 'Cure' Them of Autism”. 《VICE》. 2016년 9월 24일에 확인함. 
  2.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9년 8월 12일). “FDA warns consumers about the dangerous and potentially life threading side effects of Miracle Mineral Solution” (영어). 《fda.gov》. 2019년 8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8월 16일에 확인함. 
  3. “Sodium Chlorite - Summary Report of the European Agency for the Evaluation of Medicinal Products - Veterinary Medicines Evaluation Unit” (PDF). 유럽 의약품청. 2007년 7월 1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4. “Health risks associated with use of Miracle Mineral Solution”. 헬스 캐나다. 2010년 5월 12일. 2011년 2월 17일에 확인함. 
  5. Lin JL, Lim PS (1993). 《Acute sodium chlorite poisoning associated with renal failure》. 《Ren Fail》 15. 645–8쪽. doi:10.3109/08860229309069417. PMID 8290712. 
  6. “ATSDR - ToxFAQs™: Chlorine Dioxide & Chlorite”. 《www.atsdr.cdc.gov》. 2021년 1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4월 18일에 확인함. 
  7. Jensen, Erik (2010년 1월 9일). “Deadly chemical being sold as miracle cure”. 《The Sydney Morning Herald》. 2011년 2월 18일에 확인함. 
  8. Mole, Beth (2019년 8월 14일). “People are still drinking bleach—and vomiting and pooping their guts out”. 《Ars Technica》. 2019년 8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8월 16일에 확인함. 
  9. “Parents Are Making Their Children Drink Bleach to 'Cure' Them of Autism”. Newsweek/Yahoo News. 2018년 1월 28일. 
  10. Robbins, Martin (2010년 9월 15일). “The man who encourages the sick and dying to drink industrial bleach” (영국 영어). 《The Guardian》. ISSN 0261-3077. 2020년 7월 20일에 확인함. 
  11. “F.D.A. Warning letter”. 《미국 식품의약국》. 2009년 7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2. Calligeros, Marissa (2009년 4월 24일). “Backyard cancer 'healer' deceived patients”. 《브리즈번 타임스》. 2010년 8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2월 28일에 확인함. 
  13. Harvey, Sarah (2010년 1월 24일). 'Miracle' chemical dubbed a danger”. 《선데이 스타 타임스. 2012년 6월 12일에 확인함. 
  14. “IFRC strongly dissociates from the claim of a 'miracle' solution to defeat malaria” (보도 자료). 국제 적십자사·적신월사 연맹. 2013년 5월 15일. 2021년 2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0월 25일에 확인함. 
  15. Galli, Cindi (2016년 10월 29일). “Fringe 'Church' Founder on MMS: It's No Cure”. 《ABCNews.com》. 2019년 5월 21일에 확인함. 
  16. Gibson, Joel (2010년 1월 9일). “Death in paradise”. 《시드니 모닝 헤럴드》. ISSN 0312-6315. 2013년 12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2월 11일에 확인함. 
  17. “Prosecutor decides no charges can be laid in case of death linked to MMS”. 《Vanuatu Daily Post》 (The Trading Post). 2010년 11월 10일. 2013년 12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2월 11일에 확인함. 
  18. Gandia, Renato (2012년 2월 15일). “Sketchy supplements on Calgary website prompt Health Canada warning”. 《캘거리 선》. 2013년 11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2월 21일에 확인함. 
  19. “Health Risks Associated with Use of Miracle Mineral Solution”. 《healthycanadians.gc.ca》. 2019년 2월 25일에 확인함. 
  20. “Sodium chlorite solution not authorized for oral consumption by humans” (보도 자료). 헬스 캐나다. 2012년 2월 15일. 2012년 2월 21일에 확인함. 
  21. Tobin, Anne-Marie (2012년 2월 15일). 《Website shut down after selling product called MMS》. 《글로벌 캘거리》 (Shaw Media). 2012년 7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2월 21일에 확인함. 
  22. Food Standards Agency. “Warning against consumption of Miracle Mineral Solution”. 2012년 5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9월 24일에 확인함. 
  23. “Alert issued on danger supplement”. 《BBC News》. 2010년 9월 24일. 
  24. “Agency warning on chlorine solutions” (보도 자료). UK 영국 식품기준청. 2012년 7월 3일. 2012년 11월 11일에 확인함. 
  25. Smithers, Rebecca (2012년 7월 4일). “Bleach-based cure-all online remedies could kill, warns government”. 《The Guardian》. 
  26. “Product Warning: Miracle Mineral Solution”. Montserrat: Ministry of Health. 2013년 6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2월 9일에 확인함. 
  27. “Evaluation des risques liés à la consommation du produit dénommé "Solution Minérale Miracle" (MMS)” (PDF). Comité de coordination de Toxicovigilance. March 2010. 2019년 10월 2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0월 31일에 확인함. 
  28. “FDA Warns Consumers of Serious Harm from Drinking Miracle Mineral Solution (MMS)”. 미국 식품의약국. 2010년 8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30일에 확인함. 
  29. “Chlorite (sodium salt) (CASRN 7758-19-2) | IRIS | US EPA” (PDF). 《Epa.gov》.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16년 12월 28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5월 3일에 확인함. 
  30. Bercz JP, Jones L, Garner L, Murray D, Ludwig DA, Boston J (2010년 2월 25일). 《Subchronic toxicity of chlorine dioxide and related compounds in drinking water in the nonhuman primate》. 《Environ. Health Perspect.》 46. 47–55쪽. doi:10.1289/ehp.824647. PMC 1569048. PMID 7151767. 
  31. Abdel-Rahman, M. S.; Couri, D.; Bull, R. J. (July 1984). 《Toxicity of Chlorine Dioxide in Drinking Water》. 《International Journal of Toxicology》 3. 277–284쪽. doi:10.3109/10915818409009082. PMID 4067828. S2CID 23243725. 
  32. “Chlorine Dioxide” (PDF). U.S. 미국 산업안전보건청. 2010년 4월 7일에 확인함. 
  33. Sommer, Will (2020년 1월 28일). “QAnon-ers' Magic Cure for Coronavirus: Just Drink Bleach!”. 《데일리 비스트》. 2020년 2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2월 14일에 확인함. 
  34. Stieb, Matt (2020년 1월 28일). “QAnon Influencers Are Encouraging Their Followers to Drink Bleach to Stave Off Coronavirus”. New York Magazine. 
  35. Quinn, Melissa; Legare, Legare; Hymes, Clare (2020년 4월 17일), “Feds go after self-described church in Florida selling bleaching agent as cure for COVID-19”, 《CBS News》, 2020년 4월 20일에 확인함 
  36. Stockler, Asher (2020년 4월 18일), “Federal Judge halts sale of industrial bleach as Covid-19 cure from South Florida Church”, 《Newsweek》, 2020년 4월 20일에 확인함 
  37. “Federal agencies, hazmat crews respond to Florida church selling COVID-19 'miracle solution', 《mysuncoast.com》, 2020년 7월 8일, 2020년 7월 8일에 확인함 
  38. “Bradenton men charged, accused of selling toxic 'miracle' bleach to cure COVID-19”, 《wtsp.com》, 2020년 7월 8일, 2020년 7월 8일에 확인함 
  39. “The Family Behind the Covid Bleach Cure Was Making a Fortune”. 《Bloomberg.com》. 2021년 6월 29일. 2021년 7월 6일에 확인함. 
  40. Pilkington, Ed (2020년 8월 12일). 'Archbishop' of Florida church selling bleach 'miracle cure' arrested with son”. 《The Guardian》. 2020년 8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8월 13일에 확인함. 
  41. Butterfield, Michelle (2023년 7월 21일). 'Snake oil salesmen': Florida family convicted of selling bleach as fake COVID cure”. 《Global News》. 2023년 7월 22일에 확인함. 
  42. "Church of Bleach" family gets years in prison for deadly "miracle" solution”. 《Ars Technica》. 2023년 10월 9일. 
  43. “Leaders of "Genesis II Church of Health and Healing," who sold toxic bleach as fake "Miracle" cure for COVID-19 and other serious diseases, sentenced to more than 12 years in federal prison | United States Department of Justice” (영어). 《www.justice.gov》. 2023년 10월 6일. 2023년 10월 8일에 확인함. 
  44. Barr, Luke; Deliso, Meredith. “Florida family sentenced to federal prison for selling 'dangerous,' fake COVID-19 cure: DOJ” (영어). 《ABC News》. 2023년 10월 8일에 확인함. 
  45. Cochabamba, Associated Press in (2020년 7월 17일). “Desperate Bolivians seek out toxic bleach falsely touted as Covid-19 cure” (영어). 《The Guardian》. 2021년 2월 2일에 확인함. 
  46. 'Miracle autism cure' seller exposed by BBC investigation”. BBC News. 2015년 6월 11일. 
  47. “Desperate parents forcing kids to drink bleach as autistic children become victims of sick US cult”. The Mirror. 2018년 1월 27일. 
  48. Pilkington, Ed; Mwesigwa, Alon (2019년 5월 18일). “US pastor runs network giving 50,000 Ugandans bleach-based 'miracle cure'. 《가디언》. 2021년 3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5월 24일에 확인함. 
  49. “Las vacunas contra el covid-19 han demostrado eficacia, mientras que el dióxido de cloro no”. 《AFP》. 2021년 12월 6일. 2021년 12월 18일에 확인함. 
  50. “El dióxido de cloro es una sustancia potencialmente tóxica que no aporta oxígeno al cuerpo humano”. 《AFP》. 2020년 5월 19일. 2021년 12월 18일에 확인함. 
  51. Güell, Oriol (2019년 2월 20일). “La Fiscalía investiga a dos famosos curanderos por promover la lejía contra el sida y el cáncer” (스페인어). 《El Paais》. El País. ISSN 1134-6582. 2021년 12월 18일에 확인함. 
  52. Pilkington, Ed (2019년 8월 16일). “Group to tout bleach-based 'miracle cure' at upstate New York 'seminar'. 《The Guardian》. 2019년 8월 16일에 확인함. 
  53. “Assurance of Voluntary Compliance - Kerri Rivera” (PDF). 《NBC 시카고》. 2016년 4월 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9월 24일에 확인함. 
  54. “Home - CD Autism - Kerri Rivera - CDAUTISM.ORG”. 《cdautism.org》. 2021년 3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4월 18일에 확인함. 
  55. “State Takes Action Against "Miracle Treatment" for Children With Autism”. 《NBC Chicago》. 2015년 6월 25일. 
  56. 《Former Chicagoan Touts Coronavirus 'Rescue' Previously Barred in Illinois》, Chicago: NBC 5, 2020년 4월 27일, 2020년 4월 28일에 확인함 
  57. Australian Competition and Consumer Commission v Leanne Rita Vassallo and Aaron David Smith (FCA 954 20 August 2009). Text
  58. Pulkkinen, Levi (2009년 8월 3일). “Sexy stories, bogus cures lead to action by state AG”. seattlepi.com staff. 《SeattlePI.com》. OCLC 3734418. 2012년 2월 12일에 확인함. 
  59. “Washington Attorney General reels in refunds for consumers hooked by Aussies' quack medicine web sites” (보도 자료). Washington State Office of the Attorney General. 2010년 3월 8일. 2012년 2월 12일에 확인함. 
  60. 《Aussie net scammers stung after $1.2m haul》. 《ITnews for Australian Business》 (Haymarket Media). 2009년 8월 26일. 2012년 2월 12일에 확인함. 
  61. “Woman told to stop selling cancer 'miracle drug'. 《ABC News》. Australia. 2009년 4월 23일. 2012년 2월 12일에 확인함. 
  62. “Unregistered health provider ordered to stop misleading cancer patients” (보도 자료). Minister for Tourism and Fair Trading, The Honourable Peter Lawlor. 2009년 4월 23일. 2011년 4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2월 12일에 확인함. 
  63. “Seller of "Miracle Mineral Solution" Convicted for Marketing Toxic Chemical as a Miracle Cure”. 미국 법무부. 2015년 5월 30일에 확인함. 
  64. “Seller of "Miracle Mineral Solution" Sentenced to Prison for Marketing Toxic Chemical as a Miracle Cure”. 미국 법무부. 2018년 11월 11일에 확인함. 
  65. Zapotosky, Matt (2016년 3월 10일). “This church's cancer-curing elixir is really bleach, federal authorities say”. 《The Washington Post》. 2020년 6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11일에 확인함. 
  66. Galli, Cindy; Kreider, Randy; Ross, Brian (2016년 10월 28일), 《Hawkers of MMS 'Miracle Cure' Run Out of Luck in Ireland》, ABC News, 2020년 4월 20일에 확인함 
  67. O'Reilly, Rita (2018년 2월 15일), 《Appeal over 'miracle' bleach cure is struck out》, RTÉ News, 2020년 4월 20일에 확인함 
  68. Labby, Bryan (2018년 11월 29일), “B.C. man first person convicted for sale of so-called miracle tonic”, 《CBC News》, 2020년 4월 24일에 확인함 
  69. Davey, Melissa (2020년 5월 13일), “Australian arm of group that wrote to Trump peddling bleach as coronavirus cure fined $150,000”, 《The Guardian》, 2020년 5월 15일에 확인함 
  70. “US-linked Australian church fined US$98,000 for selling bleach as coronavirus 'miracle cure',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 Agence France-Presse, 2020년 5월 13일, 2020년 5월 15일에 확인함 
  71. Freye, Enno; Strobel, Hans-Peter; Weber, Olivia M. (2018). 《ATC Malachlorite® for treatment of patients with acute Plasmodium falciparum infection: A pilot study incorporating 500 patients in the rural area of Cameroon》. 《GSC Biological and Pharmaceutical Sciences》 2. 006–017쪽. doi:10.30574/gscbps.2018.2.2.0004. ISSN 2581-3250.  (Retracted, see doi:10.30574/gscbps.2019.8.1.0004)
  72. managingeditor (2019년 7월 21일). 《Retraction Notice: ATC Malachlorite® for treatment of patients with acute Plasmodium falciparum infection: A pilot study incorporating 500 patients in the rural area of Cameroon》 (영어). 《GSC Biological and Pharmaceutical Sciences》 8. 028쪽. doi:10.30574/gscbps.2019.8.1.0004. S2CID 208477481. 2019년 8월 5일에 확인함. 
  73. Weill, Kelly (2019년 12월 7일). “Alan Keyes Is Helping Sell a Toxic Bleach 'Cure' to the Vulnerable and Desperate”. 《The Daily Beast》. 
  74. White, Patricia (2021년 1월 1일). “Denunciaron al "descubridor" del dióxido de cloro como "solución milagrosa" contra el COVID y a quienes lo vendían”. 《인포바에》. 
  75. Porter, Tom (2021년 9월 4일). “A leader of a movement touting toxic bleach as a 'miracle' COVID-19 cure has been charged following a 5-year-old boy's death”. 
  76. Times/AFP (2021년 1월 15일). “Covid patient who took chlorine dioxide dies in hospital”. 《Buenos Aires Ti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