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노 다 피에솔레
|
Mino da Fiesole | |
|---|---|
미노 다 피에솔레의 초상화. 파란빛 회색 바탕지 위에 흰 과슈로 덧칠한 메탈포인트 기법으로, 타원형으로 잘려 있으며, 채츠워스 하우스에 소장되어 있다. 이 초상은 조르조 바사리의 《미술가 열전》에 실린 목판화 삽화와의 유사성에 근거해 동일 인물로 확인되었으며, 그 삽화의 원본일 가능성이 높다. 미술사학자 알프레드 샤르프(Alfred Scharf)에 의해 필리피노 리피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 |
|
신상정보
| |
| 출생 | 1429년경 8월 이탈리아, 스티아 |
| 사망 | 1484년 7월 11일 피렌체 |
| 직업 | 조각가 |
| 성별 | 남성 |
|
주요 작품
| |
|
영향
| |
| 묘소 | 피렌체, 산탐브로조 교회 |
미노 다 피에솔레(이탈리아어: Mino da Fiesole, 1429년경 8월~1484년 7월 11일)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기 토스카나 포피 출신의 조각가로, 미노 디 조반니(이탈리아어: Mino di Giovanni)로도 알려져 있다. 특히 인물 흉상 조각으로 유명하다.
경력
[편집]미노의 작품은 그의 스승 데시데리오 다 세티냐노와 안토니오 로셀리노의 영향을 받았으며, 날카롭고 각이 진 옷주름 표현이 특징이다. 당시 피렌체의 다른 조각가들과는 달리, 미노는 1459년경부터 1464년경까지, 그리고 1473/1474년경부터 1480년경까지 두 차례에 걸쳐 로마에 머물렀다.
미노는 데시데리오 다 세티냐노, 마테오 치비탈리와 친구이자 동료 조각가였으며, 세 사람은 거의 같은 또래였다. 미노의 조각은 세밀한 마감과 섬세한 표현, 그리고 영적인 감수성과 강렬한 신앙심으로 주목받는다.[1]

미노의 초기 작품 중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알려진 것은 피에솔레의 피에솔레 대성당에 있는 제단화와 레오나르도 살루타티(Leonardo Salutati, 1466년 사망) 주교의 무덤이다.[1]

그의 가장 어렵고 복잡한 의뢰작은 피렌체의 베네딕토회 수도원 교회, 즉 바디아로 알려진 곳을 위한 제단과 무덤들로, 그의 지적·예술적 본질을 드러내는 작품들이다. (이 기념비들은 재건된 교회에 다시 설치되었다.) 첫 번째 작품은 약 1468년에 완성되었으며, 피렌체의 법학자 베르나르도 주니(Bernardo Giugni)의 개인 의뢰작이었다. 두 번째 작품은 수도승들이 직접 의뢰했으며 1481년에 완성되었는데, 10세기 토스카나의 백작이자 수도원의 창립자인 우고(Ugo)를 기리는 것이었다. 이 벽면 기념비들은 미노의 기술을 한껏 발휘하게 했다. 인물 흉상과 부조가 복잡한 구조의 건축적 제단형 틀 안에 배치되어 있으며, 장식 몰딩은 매우 독창적이고 세련됐다. 미술사가들은 미노가 이 무덤들에서 동원한 고대 및 현대적 요소들의 놀라운 다양성에 감탄해왔으며, 이는 15세기 중엽 피렌체에서 활동하던 다른 조각가들과 구별된다.
그가 안토니오 로셀리노와 함께 작업한 프라토 대성당의 설교단은 1473년에 완성되었으며, 매우 섬세하게 조각된 세밀한 부조가 특징이지만, 디자인은 다소 약한 편이다.[1]
1473년에 그는 로마로 떠나 약 6년 정도 머물렀다. 로마에는 산타 마리아 소프라 미네르바 성당의 피렌체 출신 프란체스코 토르나부오니(Francesco Tornabuoni)의 무덤, 성 베드로 대성전 지하 납골당에 있는 교황 바오로 2세의 기념비 유적, 그리고 산타 마리아 인 트라스테베레(Santa Maria in Trastevere)의 성유를 위한 아름다운 작은 대리석 감실(거기에 “Opus Mini”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다) 등 모두 그가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작품들이 있다.
산타 마리아 델 포폴로 성당에 있는 몇몇 기념비들도 한때 미노의 작품으로 여겨졌는데, 교황 알렉산데르 6세가 기증한 대리석 제단화가 그 예다. 그러나 살레르노 대주교 피에트로 굴리엘모 로카(Pietro Guglielmo Rocca, 1482년 사망)와 부르고스 주교 오르테가 고미엘(Ortega Gomiel, 1514년 사망)의 기념비들은 안드레아 브레뇨(Andrea Bregno) 학파의 작품으로도 여겨진다.
피렌체의 바르젤로 미술관에는 미노의 여러 초상 흉상과 인물 부조가 소장되어 있다. 이 조각품들은 생동감과 표현력이 풍부하지만, 베로키오 등 동시대 조각가들의 극사실주의에는 미치지 않는다.[1]
미노의 작품은 프랑스 파리의 루브르 박물관, 미국 매사추세츠주의 보스턴 미술관, 앨라배마주의 버밍햄 미술관, 워싱턴 D.C.의 내셔널 갤러리 오브 아트 등 세계 여러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조르조 바사리는 《미술가 열전》에서 미노 다 피에솔레를 그의 스승 데시데리오 다 세티냐노의 단순한 추종자로 평가절하했다.
작품
[편집]- 니콜로 스트로치의 초상 흉상(1454년)
- 아스토르지오 만프레디의 흉상 (1455년)
- 로마 산타마리아 마조레 대성전 주제단 위의 성합
- 자선 과 신앙 을 주제로 한 한 쌍의 작품(1475/1480년경), 벽면 무덤을 위해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
1453년에 미노 다 피에솔레가 제작한 피에로 데 메디치의 흉상은 르네상스 시대에 제작 시기가 명확히 밝혀진 가장 이른 초상 흉상으로 알려져 있다.
-
피에로 데 메디치의 고문이었던 디오티살비 네로니의 흉상, 1464년, 루브르 박물관
-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 1460-1465년경, 필라델피아 미술관
-
수태고지의 성모(Virgin Annunciate), 1455-1460년경, 내셔널 갤러리 오브 아트
-
수태고지의 성모(Virgin Annunciate), 루브르 박물관
-
세례자 요한(Saint John the Baptist), 리옹 미술관
-
성모자상, 슈농소성 소장
-
성모자상, 루브르 박물관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Chisholm 1911.
참고 문헌
[편집]
본 문서에는 현재 퍼블릭 도메인에 속한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제11판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Cambridge University Press.
Handley, M. L. (1913). 〈Mino di Giovanni〉. 《가톨릭 백과사전》. 뉴욕: 로버트 애플턴 사.
외부 링크
[편집]- 미노 다 피에솔레의 작품
위키미디어 공용에 미노 다 피에솔레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