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물고기자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물고기자리
학명:
물고기자리 성도
약자Psc
소유격Piscium
발음/ˈpsz/; genitive /ˈpɪʃiəm/
상징물고기
적경1h
적위+15°
사분면NQ1
넓이889 평방도 (14th위)
주요 항성 갯수18개
바이어/플램스티드
천체
86개
3.00m 이상의 항성0개
10.00 pc (32.62 ly) 이내 항성8개
가장 밝은 항성η Psc (알페르그) (3.62m)
메시에 천체1
유성우피스키드 유성우
이웃 별자리
위도 +90°에서 −65°사이 지역에서 관측 가능.
11월 21:00 (9 p.m.)에서 최적의 관측 가능.

물고기자리(Pisces)는 황도대 별자리이다. 그 거대한 크기(대부분의 유럽 문화권에서 그리스-로마 시대부터 정점 하나로 연결된 각각의 끈에 묶인 한 쌍의 물고기로 간주되었다)는 북천구에 있는 별자리이다. 전통적인 점성술의 상징은 (♓︎)이다. 이름은 라틴어로 "물고기"을 의미한다. 남서쪽으로는 비슷한 크기의 물병자리, 동쪽으로는 더 작은 양자리가 있다. 황도천구적도는 이 별자리와 처녀자리에서 교차한다. 태양은 평균적으로 이 지점에서 춘분에 적도 위를 직접 지나간다.

적경/적위 00은 물고기자리 경계 내에 위치한다.

특징

[편집]
육안으로 볼 수 있는 물고기자리

춘분은 현재 물고기자리 오메가(ω Psc) 바로 남쪽에 있으며, 세차 운동으로 인해 점차 서쪽으로 이동하여 서쪽 물고기 아래로 내려가 물병자리 쪽으로 움직이고 있다.

항성

[편집]

물고기자리는 큰 별자리이지만, 4등급보다 밝은 별은 두 개뿐이다. 또한 황도대 별자리 중 두 번째로 어둡다.

이 별들의 희미함 때문에, 이 별자리는 광공해의 영향을 받는 주요 도시 안쪽이나 근처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심원천체

[편집]

M74는 물고기자리에 있는 느슨하게 감긴(Sc형) 나선 은하로, 3천만 광년(적색편이 0.0022) 거리에 있다. 이 은하에는 많은 젊은 별들과 그에 따른 성운들이 있으며, 광범위한 항성 형성 영역을 보여준다. 프랑스의 천문학자 피에르 메섕이 1780년에 발견했다. 2003년 6월 로버트 에번스가 M74의 외곽에서 II형 초신성이 발견되었고, 초신성이 발생한 별은 나중에 8 태양질량적색초거성으로 확인되었다.[19] M74 성단의 가장 밝은 구성원이다.[20][21][22]

NGC 488은 고립된 정면을 향한 원형 나선 은하이다.[23] 이 은하에서는 두 개의 초신성이 관측되었다.[24]

NGC 520은 1억 5백만 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충돌하는 은하 쌍이다.[25]

CL 0024+1654는 거대한 은하단으로, 뒤에 있는 은하를 중력 렌즈 현상으로 휘게 하여 배경 은하의 호 모양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이 은하단은 주로 노란색 타원 은하와 나선 은하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구로부터 36억 광년(적색편이 0.4) 떨어져 있고, 배경 은하는 57억 광년(적색편이 1.67) 떨어져 있어 은하단 거리의 절반이다.[19] [26]

3C 31페르세우스자리에 있는 활동 은하이자 전파원으로, 지구에서 2억 3천 7백만 광년(적색편이 0.0173) 떨어져 있다. 중심의 초대질량 블랙홀로 인해 발생하는 제트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수백만 광년 뻗어 있어, 우주에서 가장 큰 천체 중 하나이다.

역사와 신화

[편집]
우라니아의 거울 (1824)에서

물고기자리는 현재 서쪽 물고기자리의 일부인 바빌로니아 별자리 Šinunutu4(시누누투, "큰 제비")와 북쪽 물고기의 위치에 있는 아누니툼(Anunitum, "하늘의 여인")의 어떤 조합에서 유래한다. 천문 일지로 알려진 기원전 첫 천년기 문헌에서는 별자리의 일부가 DU.NU.NU(리키스누미, "물고기 끈 또는 리본")라고도 불렸다.[27]

그리스-로마 시대

[편집]

물고기자리는 아프로디테와 그녀의 아들 에로스가 괴물 티폰을 피해 물고기 형태로 변신했거나, 두 마리의 물고기에게 구출되었다는 그리스 신화와 관련이 있다.

가이우스 율리우스 히기누스에 따르면 그리스 버전에서 아프로디테와 에로스는 시리아를 방문하던 중 괴물 티폰으로부터 도망치기 위해 유프라테스강으로 뛰어들어 물고기로 변신했다(디오그네투스 에리트라이우스를 인용한 《포에티콘 아스트로노미콘》 2.30).[28] 로마 버전의 이야기에서는 베누스쿠피도(아프로디테와 에로스의 로마 신화 대응자)가 두 물고기의 등에 실려 이 위험에서 벗어났다(오비디우스 《파스티》 2.457ff).[29][30]

히기누스가 다른 작품에 보존한 또 다른 기원 이야기도 있다. 이에 따르면, 알 하나가 유프라테스강에 굴러들어갔고, 몇 마리의 물고기가 이를 강변으로 밀어냈으며, 그 후 비둘기들이 알 위에 앉아 아프로디테(이후 시리아 여신이라고 불림)가 부화할 때까지 있었다. 그 후 물고기들은 하늘에 별자리로 놓여짐으로써 보상받았다(파불라에 197).[31][32] 이 이야기는 제3차 바티칸 신화학자에 의해서도 기록되었다.[33]

현대 시대

[편집]
요하네스 헤벨리우스의 지도(1690)에 있는 물고기자리. 모든 헤벨리우스의 그림과 마찬가지로 이것은 지구본에서 본 것처럼 보이므로 하늘과 비교했을 때 거울상으로 나타난다.

1690년, 천문학자 요하네스 헤벨리우스는 그의 《천체도 Sobiescianum》에서 물고기자리를 네 개의 하위 구분으로 구성된 것으로 간주했다.[34][35]

  • Piscis Boreus (북쪽물고기): σ – 68 – 65 – 67 – ψ1 – ψ2 – ψ3 – χ – φ – υ – 91 – τ – 82 – 78 Psc.
  • Linum Boreum (북쪽끈):[34] χ – ρ,94 – VX(97) – η – π – ο – α Psc.
  • Linum Austrinum (남 끈):[34] α – ξ – ν – μ – ζ – ε – δ – 41 – 35 – ω Psc.
  • Piscis Austrinus (남쪽물고기):[34] ω – ι – θ – 7 – β – 5 – κ,9 – λ – TX(19) Psc.

"남쪽물고기자리"는 현재 그 자체로 별개의 별자리를 의미하며, 헤벨리우스와 보데는 이를 Piscis Notius라고 불렀다.

1754년, 식물학자이자 작가인 존 힐은 물고기자리의 남쪽 영역을 거북자리(Testudo)로 분리할 것을 제안했다.[36] 24 – 27 – YY(30) – 33 – 29 Psc.,[37] 이 별자리는 별 20 Psc가 거북의 머리가 되는 자연스럽지만 매우 희미한 성군을 포함할 예정이었다. 스미스 제독이 이 제안을 언급했지만,[38] 다른 천문학자에게는 대체로 무시되었고, 현재는 폐기되었다.[37]

서양 민속

[편집]

물고기는 독일 전설의 안텐테와 관련이 있다. 안텐테는 두 마리의 마법 물고기를 만났을 때 욕조와 거친 오두막집만 소유하고 있었다. 그들은 그에게 소원을 빌라고 제안했지만, 그는 거절했다. 그러나 그의 아내는 물고기에게 돌아가 아름답게 꾸며진 집을 요청하라고 간청했다. 이 소원은 이루어졌지만, 그녀의 욕망은 만족되지 않았다. 그녀는 여왕이 되고 궁전을 갖기를 요청했지만, 여신이 되기를 요청하자 물고기들은 화가 나서 궁전과 집을 빼앗고 부부에게 다시 욕조와 오두막집만 남겼다. 이 욕조는 때때로 가을의 대사각형으로 인식된다.[39]

비서양 천문학에서

[편집]

물고기자리의 별들은 중국의 천문학에서 여러 별자리에 편입되었다. 외평(Wai-ping, "바깥 울타리")은 돼지 사육자가 늪에 빠지는 것을 막고 돼지를 제자리에 있도록 하는 울타리였다. 이것은 물고기자리 알파, 델타, 엡실론, 제타, 뮤, 뉴, 크시 별로 대표되었다. 늪은 고래자리 파이 네 별로 대표되었다. 물고기자리의 북쪽 물고기는 구이시우(Koui-siou)의 샌들 하우스의 일부였다.[40]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Wraight, K. T.; Fossati, L.; Netopil, M.; Paunzen, E.; Rode-Paunzen, M.; Bewsher, D.; Norton, A. J.; White, Glenn J. (2012). 《A photometric study of chemically peculiar stars with the STEREO satellites - I. Magnetic chemically peculiar star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20. 757쪽. arXiv:1110.6283. Bibcode:2012MNRAS.420..757W. doi:10.1111/j.1365-2966.2011.20090.x. S2CID 14811051. 
  2. Meyer, C. 외 (1995), “Observations of lunar occultations at Observatoire de la Cote d'Azur”, 《Astronomy and Astrophysics Supplement》 110: 107, Bibcode:1995A&AS..110..107M. 
  3. Teng, Huan-Yu; Sato, Bun'ei; Takarada, Takuya; Omiya, Masashi; Harakawa, Hiroki; Izumiura, Hideyuki; Kambe, Eiji; Takeda, Yoichi; Yoshida, Michitoshi; Itoh, Yoichi; Ando, Hiroyasu; Kokubo, Eiichiro (2022), “Regular radial velocity variations in nine G- and K-type giant stars: Eight planets and one planet candidate”, 《Publications of the Astronomical Society of Japan》 74: 92–127, arXiv:2112.07169, doi:10.1093/pasj/psab112 
  4. “Naming Stars”. IAU.org. 2018년 8월 8일에 확인함. 
  5. Eggleton, P. P.; Tokovinin, A. A. (September 2008), “A catalogue of multiplicity among bright stellar systems”, 《왕립천문학회 월간 공지389 (2): 869–879, arXiv:0806.2878, Bibcode:2008MNRAS.389..869E, doi:10.1111/j.1365-2966.2008.13596.x, S2CID 14878976. 
  6. Cvetković, Z.; Novaković, B. (March 2010), “Eight new and three recalculated orbits for binaries”, 《Astronomische Nachrichten》 331 (3): 304, Bibcode:2010AN....331..304C, doi:10.1002/asna.200911250. 
  7. Aurière, M.; Konstantinova-Antova, R.; Charbonnel, C.; Wade, G. A.; Tsvetkova, S.; Petit, P.; Dintrans, B.; Drake, N. A.; Decressin, T.; Lagarde, N.; Donati, J. F.; Roudier, T.; Lignières, F.; Schröder, K. P.; Landstreet, J. D.; Lèbre, A.; Weiss, W. W.; Zahn, J. P. (February 2015), “The magnetic fields at the surface of active single G-K giants”, 《Astronomy & Astrophysics》 574: 30, arXiv:1411.6230, Bibcode:2015A&A...574A..90A, doi:10.1051/0004-6361/201424579, S2CID 118504829, A90. 
  8. Reffert, Sabine 외 (2015), “Precise radial velocities of giant stars. VII. Occurrence rate of giant extrasolar planets as a function of mass and metallicity”, 《Astronomy and Astrophysics》 574A (2): 116–129, arXiv:1412.4634, Bibcode:2015A&A...574A.116R, doi:10.1051/0004-6361/201322360, S2CID 59334290. 
  9. Abt, Helmut A. (2009), “MK Classifications of Spectroscopic Binaries”, 《The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180 (1): 117–18, Bibcode:2009ApJS..180..117A, doi:10.1088/0067-0049/180/1/117, S2CID 122811461. 
  10. Griffin, R. F.; Redman, R. O. (1960), “Photoelectric measurements of the λ4200 A CN band and the G band in G8-K5 spectra”,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120 (4): 287–316, Bibcode:1960MNRAS.120..287G, doi:10.1093/mnras/120.4.287. 
  11. Baines, Ellyn K. 외 (2018). 《Fundamental Parameters of 87 Stars from the Navy Precision Optical Interferometer》. 《The Astronomical Journal》 155. 30. arXiv:1712.08109. Bibcode:2018AJ....155...30B. doi:10.3847/1538-3881/aa9d8b. S2CID 119427037. 
  12. Burnham, Robert (1978), 《Burnham's celestial handbook: an observer's guide to the universe beyond the solar system》 2판, Dover books explaining science 3, Courier Dover Publications, 1474–1477쪽, ISBN 0-486-23673-0. 
  13. Sion, Edward M. 외 (June 2014), “The White Dwarfs within 25 pc of the Sun: Kinematics and Spectroscopic Subtypes”, 《The Astronomical Journal》 147 (6): 11, arXiv:1401.4989, Bibcode:2014AJ....147..129S, doi:10.1088/0004-625/147/6/129, S2CID 119184859, 129. 
  14. Limoges, M. -M. 외 (August 2015), “Physical Properties of the Current Census of Northern White Dwarfs within 40 pc of the Sun”, 《The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Series》 219 (2): 35, arXiv:1505.02297, Bibcode:2015ApJS..219...19L, doi:10.1088/0067-0049/219/2/19, S2CID 118494290, 19. 
  15. Giammichele, N. 외 (April 2012), “Know Your Neighborhood: A Detailed Model Atmosphere Analysis of Nearby White Dwarfs”, 《The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199 (2): 29, arXiv:1202.5581, Bibcode:2012ApJS..199...29G, doi:10.1088/0067-0049/199/2/29, S2CID 118304737.  Based on log L/L = −3.77.
  16. Sion, Edward M. 외 (December 2009), “The White Dwarfs Within 20 Parsecs of the Sun: Kinematics and Statistics”, 《The Astronomical Journal》 138 (6): 1681–1689, arXiv:0910.1288, Bibcode:2009AJ....138.1681S, doi:10.1088/0004-6256/138/6/1681, S2CID 119284418. 
  17. Holberg, J. B. (May 2009), “The Discovery of the Existence of White Dwarf Stars: 1862 to 1930”, 《Journal for the History of Astronomy》 40 (2): 137–154, Bibcode:2009JHA....40..137H, doi:10.1177/002182860904000201, S2CID 117939625. 
  18. van Maanen, A. (December 1917), “Two Faint Stars with Large Proper Motion”, 《Publications of the Astronomical Society of the Pacific》 29 (172): 258–259, Bibcode:1917PASP...29..258V, doi:10.1086/122654. 
  19. Wilkins, Jamie; Dunn, Robert (2006). 《300 Astronomical Objects: A Visual Reference to the Universe》 1판. 버팔로, 뉴욕: Firefly Books. ISBN 978-1-55407-175-3. 
  20. R. B. Tully (1988). 《Nearby Galaxies Catalog》.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ISBN 978-0-521-35299-4. 
  21. A. Garcia (1993). 《General study of group membership. II – Determination of nearby groups》.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 보충판100. 47–90쪽. Bibcode:1993A&AS..100...47G. 
  22. G. Giuricin; C. Marinoni; L. Ceriani; A. Pisani (2000). 《Nearby Optical Galaxies: Selection of the Sample and Identification of Groups》. 《천체물리학 저널543. 178–194쪽. arXiv:astro-ph/0001140. Bibcode:2000ApJ...543..178G. doi:10.1086/317070. S2CID 9618325. 
  23. Sil'chenko, O. K. (March 1999). 《Chemically decoupled nucleus and the structure of the nuclear region in the spiral galaxy NGC 488》. 《Astronomy Letters》 25. 140–8쪽. Bibcode:1999AstL...25..140S. 2015년 12월 29일에 확인함. 
  24. 초신성 목록 IAU 중앙 천문 전보국. 2015년 12월 29일 접속.
  25. Cappellari, Michele 외 (May 2011). 《The ATLAS3D project - I. A volume-limited sample of 260 nearby early-type galaxies: science goals and selection criteria》.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13. 813–836쪽. arXiv:1012.1551. Bibcode:2011MNRAS.413..813C. doi:10.1111/j.1365-2966.2010.18174.x. S2CID 15391206. 
  26. Wilkins, Jamie; Dunn, Robert (2006). 《300 Astronomical Objects: A Visual Reference to the Universe》 1판. 버팔로, 뉴욕: Firefly Books. ISBN 978-1-55407-175-3. 
  27. 고대 별자리의 기원: I. 메소포타미아 전통 J. H. 로저스, 1998, 19페이지 19페이지(표 3, 2-3행) 및 27페이지
  28. Hard (2015), 84–85쪽.
  29. Hard (2015), 85–86쪽.
  30. 푸블리우스 오비디우스 나소 (1995). 《오비디우스의 파스티: 로마 휴일》. 번역 베티 로즈 내글. 인디애나 대학교 출판부. 69–70, 182쪽. ISBN 9-780-25320-933-7. 
  31. Rigoglioso, Marguerite (2009). 《고대 그리스의 신성한 탄생 숭배》. Springer. 248쪽. ISBN 978-0-230-62091-9. 
  32. Ridpath (1988), 108쪽.
  33. Van Berg, Paul-Louis (1972). 《코르푸스 쿨투스 데아 시리아 - Ccds: 레 소르스 리테레르 - 레페르투아르 데 소르스 그레크 에 라틴 - 사우프 르 데 데아 시리아 -》 (프랑스어). Brill Archive. 37–38쪽. ISBN 9-789-00403-503-4. 
  34. 헤벨리우스, J., (1690) Firmamentum Sobiescianum, 라이프치히, Fig.NN
  35. “보데와 헤벨리우스가 묘사한 물고기자리”. 이안 리드패스의 스타 테일즈 (온라인 판). 2025년 5월 5일에 확인함. 
  36. Allen, R. H. (1963). 《별 이름: 그들의 전설과 의미판. 뉴욕, 뉴욕주: 도버 출판사 Inc. 163 342쪽. ISBN ((978-0-486-21079-7)) |isbn= 값 확인 필요: invalid character (도움말). 
  37. Ciofi, Claudio; Torre, Pietro, 소멸된 별자리 (1700~1800년에 생성): 천문 문화 연구 섹션
  38. Smyth, W. H., (1884) 베드포드 카탈로그, p. 23
  39. Staal (1988), 45–46쪽.
  40. Staal (1988), 45–47쪽.

참고 문헌

[편집]

외부 링크

[편집]

좌표: 하늘 지도 01h 00m 00s, +15° 00′ 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