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기남
| ||||||
---|---|---|---|---|---|---|
개인 정보 | ||||||
로마자 표기 | Mun Ki-Nam | |||||
출생일 | 1948년 월 일 | |||||
출생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북도 정주군 | |||||
키 | 173cm | |||||
포지션 | 감독 (과거 공격수) | |||||
구단 기록* | ||||||
연도 | 구단 | 출전 | (득점) | |||
로동자체육단 은파산체육단 | ||||||
국가대표팀 기록‡ | ||||||
1965 1974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U-2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지도자 기록 | ||||||
1990 1991 1999-2000 2005-2009 2010- |
은파산체육단 (선수 겸 감독)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U-20 (코치) 코리아 U-20 (트레이너)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연맹 (기술위원) 울산대학교 울산과학대학교 여자 (고문) | |||||
* 구단의 출전횟수와 득점기록은 정규 리그의 공식 리그 경기 기록만 집계함. 또한 출전횟수와 득점기록은 2003년 1월 1일 기준임. ‡ 국가대표팀의 출전횟수와 득점기록은 2003년 1월 1일 기준임. |
문기남(文基男, 1948년 ~ )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전 축구 선수이자 축구 감독이며, 2003년 탈북해 2004년 대한민국으로 귀순하였다. 선수 시절 100m를 11초대에 주파하는 빠른 발을 앞세워 상대 진영을 돌파하는 플레이에 강점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1] 감독으로서는 선이 굵고 깊이가 있으며 세계적인 흐름을 지향하는 공격 축구를 선호했던 것으로 평가되었다.[2][3]
생애
[편집]1948년 평안북도 정주군 출신으로, 1950년 광산업을 하던 아버지가 월남하자 외가가 있는 평양직할시로 피신하였다.[4] 그리고 평양연극영화대학을 재학했으며, 1965년 로동자체육단에 입단해 공격수로 활약하였다. 또한 1965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U-20 국가대표팀에 선발된 이후 1974년 아시안 게임 당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참가했으나,[5] 1976년 판문점 도끼 살인 사건 이후 불순세력으로 몰려 량강도로 추방되었다. 하지만 장성택의 비호를 받아 복권되어 조선로동당 입당 및 조선인민군 직위를 수여받았으며, 1981년 국가보위부 5국 소령 및 은파산체육단의 선수 겸 감독이 되었다.[6]
이후 1990년 열린 아시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에 출전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U-20 국가대표팀의 코치를 맡아 안세욱 감독을 보좌하며 대회 준우승을 이끌어 1991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으며,[7][8] 대회 종료 이후 대회 우승을 차지한 대한민국 U-20 대표팀과의 남북 단일팀 논의가 본격화되어 1991년에 벌어진 남북 단일팀 구성을 위한 평가전에 출전할 대표팀에 코치로 참여하였다.[9] 또한 남북 단일팀이 확정되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측의 임원으로 합류했으며,[10] 대회 본선에서 남북 단일팀이 아르헨티나를 꺾는 등의 이변을 일으키며 1승 1무 1패로 8강 토너먼트에 진출하는 등 좋은 성과를 거두는 데 일조하였다.[11][12] 그리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부임해 1993년 AFC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팀을 대회 준우승으로 이끌었으며, 이후 1999년부터 2000년까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임명되어 킹스컵 및 2000년 AFC 아시안컵 예선을 지휘하였다. 하지만 태국에 밀려 2000년 AFC 아시안컵 본선 진출에 실패하며 좋지 않은 성과를 내었으며, 결국 그 해 9월 리정만과 교체된 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연맹의 기술위원으로 활동하였다.[13][14]
그 뒤 2003년 개인의 신변에 변화를 사유로 가족들과 함께 탈북한 뒤 중화인민공화국을 거쳐 2004년 1월 대한민국으로 귀순했으며,[15] 2005년 정몽준의 추천으로 울산대학교 감독으로 선임되었다.[16] 그리고 그 해 전국체육대회에서 팀의 준우승에 기여한 뒤 지도자상을 수상했으며,[17] [18][19] 2009년까지 지휘봉을 잡은 뒤 2010년 울산과학대학교 여자 축구부의 고문으로 위촉되었다.[20][21][22][23] 또한 2008년 '경평 OB 대항축구전'에 '평양 OB팀'의 일원으로 참가하였다.[24]
기타
[편집]1998년 탈북해 1999년 대한민국으로 귀순한 윤명찬과는 절친 사이이며,[25] 최만희와는 1991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당시 남북 단일팀의 트레이너 신분으로 참가해 인연을 쌓으며 서로 의형제를 맺기도 했다.[26] 이외에 손광호, 오길남, 윤정수, 김광민 등과 친분이 있다.[27]
1950년 한국 전쟁 당시 아버지가 월남해 이별했으며, 이후 2004년 문기남이 대한민국으로 귀순해 생사를 확인했지만 끝내 찾지 못했다.[28]
장남인 문성민 또한 축구인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활동했으며, 대한민국으로 귀순한 이후 대한축구협회 3급 심판 및 3급 지도자 과정을 이수하였다.[29][30] 또한 차남인 문경근은 성남 일화 천마에서 입단 테스트를 받기도 했다.[31]
1991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당시 자신이 입었던 유니폼을 2001년 축구 자료 수집가 이재형이 수집하였고, 2003년 이를 수원월드컵경기장 측에 기증해 이후 '수원월드컵기념관'에 전시되었다.[32]
선수 시절 코뼈가 부러지는 사고를 당했으며, 대한민국으로 귀순한 이후 성형 수술을 받았다.[33]
각주
[편집]- ↑ “北축구대표팀 이끌었던 문기남 울산대 감독”. 동아일보. 2005년 7월 16일.
- ↑ “前 북한축구대표팀 감독 망명…中거쳐 올1월 입국”. 동아일보. 2004년 3월 11일.
- ↑ “문기남 前북한대표팀 감독, 울산大 감독 취임”. 동아일보. 2005년 2월 11일.
- ↑ “지난해 脫北한 前북한축구대표팀감독 문기남씨”. 동아일보. 2004년 6월 15일.
- ↑ “북괴선수 명단 밝혀져 제7회 아주경기대회”. 중앙일보. 1974년 8월 24일.
- ↑ “"남북 모두 내가 발탁한 선수 활약해 흐뭇"”. 조선일보. 2010년 6월 4일.
- ↑ “북측축구선수 지난해와 대동소이”. 연합뉴스. 1991년 4월 12일.[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南(남)최만희北(북)문기남"우리는 축구義兄弟(의형제)"”. 동아일보. 1991년 3월 15일.
- ↑ “청소년축구 북측선수단 명단통보”. 연합뉴스. 1991년 4월 12일.[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청소년 축구 단일대표팀 출범”. 연합뉴스. 1991년 5월 13일.[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세계청소년축구선수권-”. 연합뉴스. 1991년 6월 21일.
- ↑ “-청소년 축구-”. 연합뉴스. 1991년 6월 23일.
- ↑ “망명한 北 문기남 전 감독은?”. 연합뉴스. 2004년 3월 10일.[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북한축구 `젊은 군단`이 몰려온다”. 일간스포츠. 2002년 2월 1일.
- ↑ “북 축구팀 감독 가족 6명 1월 입국”. 연합뉴스. 2004년 3월 10일.[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문기남 전 북한축구대표팀 감독, 울산대 지휘봉 잡아”. 조이뉴스24. 2005년 2월 11일. 2019년 10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0월 17일에 확인함.
- ↑ “경기도 4연패..7일간 열전 마감”. 연합뉴스. 2005년 10월 20일.[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북한 축구 이끌었던 문기남 울산대 감독”. 연합뉴스. 2005년 10월 20일.[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체전 공로자에 '2005년 체육상'”. 연합뉴스. 2006년 1월 24일.[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제주, 울산대 꺾고 16강 진출”. 스포탈코리아. 2007년 6월 12일.[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울산대-후쿠오카대 친선축구경기”. 뉴시스. 2008년 5월 2일.[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탈북 축구 선수도 남북전 응원”. 연합뉴스. 2009년 3월 31일.[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북한에도 '월드컵 열풍'… TV중계 땐 인적 끊기고 김정일 현지 지도 뜸해져”. 조선일보. 2010년 6월 19일.
- ↑ “서울.평양 OB축구대회 3일 파주서 개최”. 연합뉴스. 2008년 10월 2일.
- ↑ “윤명찬 “동무 기남아! 날레 보자우””. 경향신문. 2004년 3월 11일.
- ↑ “문기남 북한축구대표팀 감독 귀순”. 일간스포츠. 2004년 3월 10일.
- ↑ “김정일 후계자 당시 “공 잘 차면 되지 무슨 마르크스주의””. 서울신문. 2014년 9월 18일.
- ↑ “"탈북 문기남씨, 끝내 아버지 못찾아"”. 연합뉴스. 2004년 3월 21일.[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탈북자 1호' 축구심판 문성민씨”. 연합뉴스. 2008년 4월 22일.[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北 축구 국가대표 출신 탈북자 문성민 씨 “통일되면 평양서 한국축구 전파””. 동아일보. 2010년 3월 25일.
- ↑ “탈북한 문기남 전 북한 대표팀 감독”. 중앙일보. 2005년 2월 11일.
- ↑ “귀순 문기남씨 유니폼 월드컵기념관 전시”. 문화일보. 2004년 3월 18일.
- ↑ “前 북한축구대표팀감독, 울산대 사령탑 맡는다”. 조선일보. 2005년 2월 1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