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리소니아
![]() | ||
---|---|---|
화석 범위: 캄브리아기 제3절~오르도비스기 플로이아절 | ||
![]() Mollisonia plenovenatrix의 복원도 | ||
생물 분류ℹ️ | ||
역: | 진핵생물역 | |
계: | 동물계 | |
문: | 절지동물문 | |
아문: | 협각아문 | |
목: | †몰리소니아목 | |
과: | †몰리소니아과 | |
속: | †몰리소니아속 Walcott, 1912 | |
모식종 | ||
†Mollisonia symmetrica | ||
Walcott, 1912 | ||
학명이명 | ||
Houghtonites Raymond, 1931 | ||
종 | ||
|
몰리소니아(학명: Mollisonia)는 캄브리아기에 살았던 절지동물의 멸종한 한 분파이다. 북아메리카 및 중국에 서식했으며 총 4종이 속해 있다. 투구게와 거미가 속해있는 협각류의 초기 구성원으로 보는 연구가 여럿 있다.[1][2]
특징
[편집]
-
Mollisonia plenovenatrix의 측면을 담은 복원도
몰리소니아속은 캡슐 모양의 등쪽 외골격 (등판)이 특징이며, 7개의 가슴마디 앞뒤로 붙어있는 머리마디와 배끝마디의 크기가 거의 같다. 머리마디 아래에는 거대한 겹눈이 한 쌍이 있으며 여러 개의 걷는다리와 턱바닥(顎基)다리[a]가 각자 총 세 쌍씩 달린다. 몰리소니아는 머리 안쪽으로 집게발 형태의 구기[b]와 합쳐진 고리 모양의 머리 신경다발(동일신경절) 뿐만 아니라 몸통 부속지 밑에 있는 여러 겹의 책아가미 등에서 볼 수 있듯 현생 협각류에서 볼 수 있는 일부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1][2]
몰리소니아는 저서성 포식자로 해저 바닥을 여섯 개의 다리로 걸으면서 전방의 협각과 후방의 악기다리로 먹이를 먹어치웠다. 아가미를 갖춘 몸통 부속지는 오로지 호흡용으로만 쓰였을 가능성이 있다. 이 기능적 구분[c]은 초기 협각류인 하벨리아목[d]보다 좀 더 진협각류[e]에 가깝다.[1]
분포 및 분류
[편집]몰리소니아속에 속해 있는 이 세 종(P. symmetrica, P. gracilis, P. plenovenatrix)은 버지스 셰일에서 발견되었으며 2006년 기준 군집 전체의 0.1% 미만을 차지하는 21개의 표본이 그레이터 필로포드층(Greater Phyllopod bed)에서 발견되었다[3] 또한 랭스턴 지층, 북미의 휠러 혈암, 중국의 청지앙 생물군(P. sinica)에서도 발견되었다.[4] 몰리소니아속에 속해 있을 가능성이 있는 화석이 당시 오르도비스기에 속해 있던 모로코의 페주아타 지층(Fezouata Formation)과 그린란드의 뵈길드 피오르드 지층(Bøggild Fjord Formation)에서도 발굴되었다.[5]
몰리소니아의 분류적 특성은 2019년 협각 부위가 발견되기 전까지는 수수께끼에 싸여 있었다.[1] 후속 연구에 따르면 이 동물은 초기 협각류로, 하벨리아과의 구성원보다 진협각류 왕관군에 더 가깝다. 또한 코르코라니아(Corcorania) 및 우로코디아(Urokodia. 과거[6]), 몰리소니아목을 함께 구성하는 텔크시오페(Thelxiope)[1]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기도 한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내용주
[편집]참고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Aria, Cédric; Caron, Jean-Bernard (September 2019). “A middle Cambrian arthropod with chelicerae and proto-book gills”. 《Nature》 (영어) 573 (7775): 586–589. Bibcode:2019Natur.573..586A. doi:10.1038/s41586-019-1525-4. ISSN 0028-0836. PMID 31511691. S2CID 202550431.
- ↑ 가 나 Ortega-Hernández, Javier; Lerosey-Aubril, Rudy; Losso, Sarah R.; Weaver, James C. (2022년 1월 20일). “Neuroanatomy in a middle Cambrian mollisoniid and the ancestral nervous system organization of chelicerates”. 《Nature Communications》 (영어) 13 (1): 410. Bibcode:2022NatCo..13..410O. doi:10.1038/s41467-022-28054-9. ISSN 2041-1723. PMC 8776822. PMID 35058474.
- ↑ Caron, Jean-Bernard; Jackson, Donald A. (2006년 10월). “Taphonomy of the Greater Phyllopod Bed community, Burgess Shale”. 《PALAIOS》 21 (5): 451–65. Bibcode:2006Palai..21..451C. doi:10.2110/palo.2003.P05-070R. JSTOR 20173022. S2CID 53646959.
- ↑ Zhang, Xingliang; Zhao, Yuanlong; Yang, Ruidong; Shu, Degan (2002년 11월). “The Burgess Shale arthropod Mollisonia (M. sinica new species): new occurrence from the Middle Cambrian Kaili fauna of southwest China”. 《Journal of Paleontology》 (영어) 76 (6): 1106–1108. Bibcode:2002JPal...76.1106Z. doi:10.1017/S0022336000057917. ISSN 0022-3360. S2CID 130112985.
- ↑ Peel, John S.; Willman, Sebastian; Pedersen, Stig A. Schack (2020년 3월). “Unusual preservation of an Ordovician (Floian) arthropod from Peary Land, North Greenland (Laurentia)”. 《PalZ》 (영어) 94 (1): 41–51. Bibcode:2020PalZ...94...41P. doi:10.1007/s12542-019-00481-y. ISSN 0031-0220.
- ↑ Liu, Cong; Fu, Dongjing; Wu, Yu; Zhang, Xingliang (July 2024). “Cambrian euarthropod Urokodia aequalis sheds light on the origin of Artiopoda body plan”. 《iScience》 27 (8): 110443. Bibcode:2024iSci...27k0443L. doi:10.1016/j.isci.2024.110443. PMC 11325232
|pmc=
값 확인 필요 (도움말). PMID 39148713.
외부 링크
[편집]- “Mollisonia symmetrica”. 《Burgess Shale Fossil Gallery》. Virtual Museum of Canada.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