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모터스포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양한 종류의 모터스포츠

모터스포츠(motorsport, motor sports)는 자동차, 모터사이클, 모터보트동력 비행기를 이용하는 스포츠, 경주 등의 활동이다. 사용하는 차량에 따라서 오토모빌 스포츠(automobile sport), 모터사이클 경주, 파워보팅(power boating), 항공 스포츠 등으로 불리거나 주관 단체들에 의해 명명된다.

모터스포츠는 각기 다른 목표와 규정에 따라 서킷 레이싱, 랠리, 트라이얼 등으로 다양하게 분류된다. 이러한 분류는 주관 주체에 의해 규정으로서 정의되지만 자주 사용하는 차량, 노면의 종류 등을 통해 관례적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분류의 예로는 포뮬러 자동차 경주, 투어링 카 경주, 스포츠카 경주 등이 있다.[1]

역사

[편집]

1867년 8월 30일 새벽 4시 30분, 잉글랜드 북서부에서 두 대의 자체 동력 도로 차량 간 사전에 합의된 경주가 열렸다. 경주 구간은 애쉬턴언더라인과 맨체스터의 올드 트래포드 사이 8마일(약 12.9km)이었다.

아이작 와트 볼턴의 기관차가 이 경주에서 우승했다. 볼턴에 따르면 이 기관차는 그가 운행해온 여섯 대 중 한 대이며, 당시 22세였던 그의 아들 제임스 W.가 운전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상대 차량은 다니엘 애덤슨 (Daniel Adamson)의 마차였는데, 이는 슈미트 (Mr. Schmidt) 를 위해 제작되었고 그가 직접 운전했을 가능성이 높다. 당시 두 운전자 모두 전면 시행 중이던 '적기법 (Red Flag Act) '을 위반했기 때문에, 기록에 공식적인 운전자는 남아있지 않다. 볼턴의 기관차는 폐기된 존 브리지 애덤스의 경량 철도 차량을 개조한 고체 연료 증기 마차였다. 이 사건과 차량의 세부 정보는 당시대의 언론인 《디 엔지니어(The Engineer)》와 플레처의 서적에 기록되어 있다.

1875년, 미국 위스콘신 주 의회는 최초의 미국 자동차 경주에 상당한 상금을 제공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이 경주는 그린베이(Green Bay)에서 출발해 애플턴(Appleton), 오슈코시(Oshkosh), 와우폰(Waupon), 워터타운(Watertown), 포트앳킨슨(Fort Atkinson), 제인즈빌(Janesville)을 거쳐 북쪽으로 방향을 틀어 매디슨(Madison)에서 끝나는 약 200마일(약 320km) 코스로, 1878년 7월 16일 진행되었. 실제로는 오슈코시(Oshkosh)와 그린베이(Green Bay)에서 제작된 두 대만 출전하였다. 이 경주는 《팜 콜렉터(Farm Collector)》 2004년 5·6월호 리처드 배커스(Richard Backus)의 글 「The Great Race of 1878」에서 상세히 묘사되어 있다.[2]

1894년, 프랑스 신문 《르 프티 주르날(Le Petit Journal)》은 파리에서 루앙(Rouen)까지 이어지는 마차 없는 자동차 경주를 개최하였다. 이는 세계 최초의 모터스포츠 대회로 널리 인정되며, 훗날 ‘자동차’라 불리게 되는 탈것이 처음으로 참가한 대회였다. 이어 1895년 11월 28일, 미국에서는 시카고에서 에번스턴(Evanston)까지 왕복하는 약 60마일(약 97km) 구간에서 시카고 타임스-헤럴드 경주(Chicago Times-Herald race)가 열렸다. 이는 미국 최초의 모터스포츠 대회로 알려져 있다.[3] 이후 1900년에는 고든 베넷 컵이 제정되었다.

모터스포츠는 1900년 하계 올림픽에서 시범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에서는 폐쇄된 코스를 활용한 그랑프리 경주가 조직적으로 개최되었으며, 미국에서는 더트 트랙 경주가 인기를 얻었다.[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그랑프리 대회가 더욱 체계적으로 조직되었고, 미국에서는 스톡카 레이싱과 드래그 레이싱이 확고히 자리 잡았다.[4]

자동차 경주

[편집]

주관 기관

[편집]

1904년에 설립된 국제 자동차 연맹(FIA)은 가장 오래되고 저명한 자동차 경주 주관 기관이다. 국제 자동차 연맹은 본 기구가 자동차와 바퀴가 4개 이상인 육상 이동 수단에 대한 유일한 국제 모터스포츠 기관이라고 주장하는 동시에, 바퀴가 1개에서 3개인 차량에 대한 스포츠인 모터사이클 스포츠는 국제 모터사이클 연맹(FIM)의 관할임을 인정하고 있다.[5][6]

FIA와 FIM은 모두 국제 올림픽 위원회에 의해 국제 스포츠 연맹으로 공인되었다.[7][8]

FIA의 구조 안에서, 각국의 국가별 자동차 경기 단체(ASN, National Sporting Authority)는 해당 국가에서 유일한 권한 기관으로 인정된다. FIA 규정에 따른 대회를 개최하려면 해당 ASN의 허가를 받아야 하며, 참가자는 그들의 면허를 소지해야 한다. ASN의 운영 방식은 국가마다 다르다. 예를 들어, 영국의 모터스포츠 UK(Motorsport UK)는 민간 회사 형태이고, 프랑스의 FFSA는 국가의 지원을 받는다. 미국의 경우에는 ACCUS가 여러 공인 단체의 협의체로서 FIA 회의에서 국가 대표 역할을 수행한다.[9][10][11]

ASN, 그 산하 클럽, 또는 독립적인 상업적 프로모터가 모터스포츠 경기를 주관하며, 여기에는 대회(competition)가 포함되는 경우가 많다. 여러 대회의 집합은 시리즈(series)라 불리며, 이 시리즈는 챔피언십(Championship), 컵(Cup), 트로피(Trophy)의 기반이 되기도 한다.

국제자동차연맹(FIA)의 위계 구조 (일부 국가 사례)
국가별 자동차 경기 단체 (ASN) 회원/협력 단체 등
FIA 크로아티아 자동차 클럽(Croatian Auto Club)
독일 모터스포츠 연맹 (Deutscher Motor Sport Bund)
브라질 자동차 연맹 (Brazilian Automobile Confederation)
모터스포츠 UK (Motorsport UK) BRDC (영국 GP), BARC (BTCC), BRSCC (영국 GT), …
모터스포츠 오스트레일리아 (Motorsport Australia) Regional associations of motor clubs, motor/driver/racing clubs
모터스포츠 뉴질랜드 (MotorSport New Zealand)
모터스포츠 아일랜드 (Motorsport Ireland)
스포츠 개발 그룹 (Sports Development Group)
FFSA ACO (르망 24시) …
ACCUS IMSA, 인디카, 나스카, NHRA, SCCA, USAC

모든 국가가 FIA에 가맹된 자동차 경기 단체(ASN)를 보유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일부 종목은 FIA의 관리 범주에 속하지 않을 수 있으며, 또는 단체들이 타 기관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기로 선택할 수도 있다. 예로, 영국의 뱅거 레이싱과 스톡카 레이싱은 FIA 가맹 ASN인 모터스포츠 UK가 “영국 내 모든 4륜 모터스포츠의 관리 기구”임을 주장함에도 불구하고[12], 오벌 레이싱 카운슬(Oval Racing Council)과 내셔널 스톡카 어소시에이션(National Stock Car Association)이 각각 권한을 주장하고 있다.[13][14]

또한 미국의 SCORE 인터내셔널(SCORE International), 내셔널 오토 스포츠 어소시에이션(National Auto Sport Association), 내셔널 오프로드 레이싱 어소시에이션(National Off-Road Racing Association) 등도 FIA 가맹 체계의 회원은 아니지만, 국제적인 사안에서는 회원 단체와 협력할 수 있다.[15]

경주

[편집]

영어 사전들은 ‘경주(race)’의 정의를 반드시 직접 맞붙는 경쟁(head-to-head)으로 한정하지는 않지만,[16][17][18] FIA는 그 국제 스포츠 규정(International Sporting Code)에서 경주(racing)를 “두 대 이상의 자동차가 동시에 동일한 코스를 달리며 경쟁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19].

서킷 레이싱

[편집]

서킷 레이싱은 포장된 노면의 오토드롬과 같은 상설 경기장이나 임시로 마련된 시가지 서킷에서 열린다. 참가자들은 정해진 랩 수를 돌며 가장 먼저 결승선을 통과하는 선수가 우승하거나, 일정한 시간 동안 가장 많은 랩을 완주한 선수가 우승자로 기록된다. 이후 나머지 선수들은 순위에 따라 분류된다.

서킷 레이싱은 모터스포츠 초창기부터 행해진 도시 간(시티 투 시티) 구간 경주를 대체하였다. 이는 관중의 흥미를 끌고, 안전상의 이유로 경기 규제가 도입되면서 폐쇄된 도로 위에 통제 요원과 경찰을 배치해 경기를 진행해야 했기 때문이다. 1906년 호주 애스펜데일 경마장(Aspendale Racecourse)은 세계 최초의 자동차 경주 전용 트랙이었으며[4], 이후 상설 오토드롬이 점차 일반 도로 서킷을 대체하게 되었다.

북아메리카에서는 로드 레이싱(road racing)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며, 이는 공공 고속도로에서 시작된 레이싱 및 서킷을 뜻한다. 이는 오벌 레이싱과 구분되는데, 오벌 레이싱은 콘크리트 혹은 목재 보드를 사용한 전용 스피드웨이에서 발전하였다.

싱글시터 오픈 휠 레이싱카
메르세데스 W11 (포뮬러 원 차량)
포뮬러 E 차량 (2020년, 펠리페 마사)
  • 싱글시터 레이싱은 최소한의 섀시와 차체 구조로 제작되며, 운전자와 필수 기계 장치만 탑재할 수 있는 자동차를 사용한다. 바퀴가 차체 밖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본격적인 레이스카는 오픈 휠(Open-wheel) 차량이라고도 불린다.
    • 포뮬러 레이싱은 특정한 기술 규정을 바탕으로 설계된 경주차를 사용하는 시리즈들의 비공식적 집이다. 대표적인 국제 시리즈로는 포뮬러 원, 포뮬러 투가 있으며, 그 외에 포뮬러 3, 포뮬러 포드, 포뮬러 르노, 포뮬러 파머 오디, 포뮬러 4 등이 있다. 과거에는 포뮬러 5000, GP2, GP3 시리즈도 존재했다.
    • 포뮬러 원은 FIA가 관할하는 국제 선수권 대회이며, 현재 민간 기업인 포뮬러 원 그룹(Formla One Group)이 주관하고 있다. 규정은 차량의 출력, 중량, 크기, 설계에 대한 엄격한 제한을 포함하지만, 일부 영역에서는 변형이 허용된다.[20]
    • 포뮬러 E는 오직 전기차만 사용하는 오픈 휠 선수권 대회이다. 2012년에 구상되었고, 2014년 9월 13일 베이징에서 첫 시즌이 개막했다.[21] FIA의 공인을 받으며, 규정된 섀시/배터리 조합을 사용하지만 제조사는 독자적인 전기 파워트레인을 개발할 수 있다.
    • 인디카 시리즈는 1909년 6월 12일 미국 오리건주 포틀랜드에서 시작되었다.[22] 같은 해 인디애나폴리스 모터 스피드웨이가 개장하여 50~200마일(80~322km) 규모의 경주가 열렸다. 이 대회의 대표 레이스는 인디애나폴리스 500으로, 1911년 5월 11일 처음 개최되었다. 현재 인디카 시리즈는 20개 이상의 팀과 40여 명의 드라이버가 참가하고 있다.
      클로즈드 휠 레이싱카
      글리켄하우스 르망용 프로토타입
      트럭 레이싱
  • 스포츠카 경주는 두 가지 범주로 나뉜다. 하나는 양산형 그랜드 투어링 카스포츠카 기반 차량이며, 다른 하나는 레이스 전용으로 설계된 프로토타입 차량이다. 후자는 차체로 바퀴가 모두 덮인 형태의 본격적인 레이스카이며, 역사적으로는 ‘2인승’과 일정 폭 이상을 요구하는 스포츠카 규정에서 기원했다. 대표적인 경기는 매년 6월 프랑스에서 개최되는 르망 24시로, FIA 세계 내구 선수권 대회(FIA World Endurance Championship)의 일부이다.
  • 스톡카 레이싱은 본래 양산차(stock car)를 사용했으나, 현재는 전용 프로토타입 스포츠카 혹은 싱글시터에 가깝다. 미국, 캐나다, 브라질 등지에서 NASCAR가 주관하는 주요 시리즈에서는 양산차의 외형을 본뜬 차체를 유지한다. 영국과 뉴질랜드의 스톡카 레이싱 시리즈에서는 차체가 최소화된 오픈 휠 싱글시터 차량이 사용되기도 한다.
  • 투어링카 레이스는 도로용 양산차를 개조한 차량으로 치러진다. FIA 규정상 투어링카는 최소 생산 대수가 충족되어야 하며 좌석이 최소 4개여야 하지만, 실제 차량은 크게 개조된다. 일부 국가 협회에서는 2인승 차량도 투어링카로 인정한다.[23]
  • 트럭 레이싱은 개조된 대형 화물차의 트랙터 유닛을 이용해 진행된다.

오프로드 레이싱

[편집]

오프로드 레이싱은 포장되지 않은 지면이나 열린 지형에서 이루어지는 모터스포츠의 한 형태이다. 경기장은 아스팔트콘크리트와 같은 포장 노면이 아닌 흙, 모래, 자갈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정한 주행 경로가 없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인 오프로드 경기로는 SCORE 인터내셔널이 주관하는 바하 1000 사막 레이스가 있다.[24] 국제자동차연맹은 전기 오프로드 시리즈인 익스트림 E(Extreme E)를 공인하였으며, 주최 측은 2025년부터 수소 연료 기반 시리즈인 익스트림 H(Extreme H)를 시작할 예정이라고 발표하였다.[25]

오프로드 레이싱의 세부 종목과 시리즈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랠리크로스 – 투어링카를 사용하여 아스팔트와 비포장 노면이 혼합된 소형 서킷에서 단거리 스프린트 경주를 치르는 종목이다. 1967년 영국에서 RAC 랠리가 취소되자 일부 참가자들이 자신의 랠리카로 텔레비전 중계용 경주를 벌인 것이 시작으로 알려져 있다.[26]

잔디깎이 레이싱(Lawn mower racing) – 탑승형 잔디깎이를 이용하여 비포장 서킷이나 크로스컨트리 코스에서 경주하는 종목이다. 영국 잔디깎이 레이싱 협회(British Lawn Mower Racing Association)가 매년 단일 이벤트로 구성된 세계선수권 대회를 주관한다[27]

오토그래스– 전국 오토그래스 스포츠 협회(National Autograss Sport Association)가 공인한 영국의 오프로드 레이싱 시리즈이다. 10개의 차량 클래스가 있으며, 각 클래스의 경주는 보통 4~10바퀴로 진행되며 최대 8대가 동시에 경쟁한다.[28]

드래그 레이싱

[편집]

드래그 레이싱은 정지 상태에서 출발하여 짧고 직선적인 구간을 가장 빠르게 주행하는 가속 경주이다. 다양한 종류의 차량이 출전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두 대가 한 조로 경주한다. 승자는 먼저 결승선을 통과하거나 가장 빠른 기록을 세운 차량으로 결정되며, 대회에 따라 예선전이나 시리즈전 형식으로 운영되기도 한다.

카트 레이싱

[편집]

카트 레이싱은 고카트라 불리는 매우 작고 낮은 차량을 이용하는 서킷 레이싱의 한 형태이다. 국제자동차연맹 산하 국제카트위원회가 종목을 관리하며, 8세 이상이면 공식 라이선스를 취득하고 대회에 참가할 수 있다.

카트 레이싱은 4륜 모터스포츠 중 가장 경제적인 종목으로 평가받는다. 또한 여가 활동으로서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으며, 인도어 카트장은 비교적 적은 공간에서도 운영이 가능하므로 일반 소비자도 특별한 자격이나 훈련 없이 접근할 수 있다.

힐클라임, 타임 트라이얼 및 스프린트

[편집]

경쟁이 아닌 속도 대회는 여러 명칭으로 불리지만, 참가자들이 각자 코스를 주행하여 가장 짧은 시간이나 가장 높은 평균 속도를 기록하는 것이 공통적인 규칙이다. 이러한 형태의 모터스포츠는 레저 목적일 수도 있고, 경쟁일 경우 여러 번의 주행 시간의 합계, 최고 기록, 또는 여러 코스의 평균 속도를 기준으로 순위를 결정하는 등 규칙이 다소 다를 수 있다.

서킷 레이스의 예선 세션이나 랠리의 스페셜 스테이지도 일반적으로 타임 트라이얼과 스프린트의 형태를 따른다.

힐클라임

[편집]
프레스콧 힐클라임(Prescott Hillclimb), 영국

힐클라임은 FIA가 국제 대회와 공인을 시행하는 유일한 타임 트라이얼/스프린트 형태로, 가장 널리 알려진 타임 트라이얼이다. 그 기원은 모터스포츠 초기에, 초기 자동차가 언덕길을 오를 수 있는 능력을 시험하던 대회에서 비롯되었다. 참가자는 오르막 코스를 개별적으로 주행하며, 최단 시간 혹은 가장 낮은 평균/총 시간을 기록한 사람이 우승한다. 힐클라임 이벤트는 종종 차량의 종류나 연식에 따른 여러 클래스가 존재하여 굿우드 스피드 페스티벌과 같은 자동차 쇼나 축제의 일부로 진행되기도 한다. 코스의 길이는 1마일 미만의 단거리부터, 미국 콜로라도주에 있는 12.42마일의 파이크스 피크 인터내셔널 힐클라임까지 다양하다.

스프린트, 타임 트라이얼 및 타임 어택

[편집]

스프린트는 영국, 아일랜드, 호주 등에서 FIA 회원 ASN(국가 자동차 연맹)이 주관한다. 주로 언덕이 없는 폐쇄 도로나 사설 도로에서 개최되며, 예를 들어 오토테스트보다 더 높은 속도와 긴 거리를 달릴 수 있다.

타임 어택(Time attack)은 경쟁자들이 서로 직접 레이스를 하는 대신, 서킷에서 가장 빠른 랩타임을 기록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스프린트 형식의 대회를 가리킨다.[29][30]

타임 트라이얼 대회는 스포츠카 클럽 오브 아메리카(SCCA) 등에서도 주최한다.[31]

랠리스프린트

[편집]

랠리스프린트는 주로 유럽 대륙에서 개최된다. 기본적으로는 다른 타임 트라이얼 스프린트와 유사하지만, 랠리의 스페셜 스테이지 형식을 기반으로 하며, 내비게이션이나 일정 관리 요소가 제거되어 있다. 또한 페이스노트를 읽어주는 부조종수(co-driver)가 필수적이지 않다.

랠리

[편집]
2010 핀란드 랠리에서 주행 중인 포드 피에스타 S2000

랠리는 정해진 일정표에 따라 지정된 경로를 주행하며, 통제 지점에 정시로 도착하고 출발해야 한다. 경로를 벗어나거나 일찍/늦게 도착하면 벌점이 부과된다.

대부분의 랠리는 일반 도로를 포함하지만, 일부는 폐쇄된 스페셜 스테이지에서 시간을 측정해 순위를 결정한다. 이러한 방식은 세계 랠리 챔피언십(WRC) 등에서 사용되며, 흔히 “스테이지 랠리” 또는 “랠리 레이싱”이라 불린다. 반면, 스페셜 스테이지가 없는 랠리는 정규 랠리(Regularity rally)로 구분된다.

오프로드 구간을 포함하는 랠리는 “랠리 레이드” 또는 “크로스컨트리 랠리”로도 불리며, 대표적인 예로 다카르 랠리가 있다. 미국에서는 내셔널 오프로드 레이싱 어소시에이션(NORRA)이 1967년에 설립되어 바하 1000을 개최했다. 1990년대 이후 이 대회는 SCORE 인터내셔널이 주관하게 되었으며, NORRA는 FIA 규정에 더 가까운 포맷의 크로스컨트리 랠리를 운영하고 있다. 단, NORRA는 미국의 FIA 회원인 ACCUS에 소속되어 있지 않다.[32]

드리프트

[편집]

드리프트는 운전자가 고의로 코너에서 오버스티어를 일으켜 구동 바퀴의 접지력을 잃게 만들되, 스로틀 조절·클러치 조작·보정 조향으로 차량의 진행 방향을 유지하는 경기이다. 경기에서는 심사위원이 예술성 및 차량 제어 능력을 기준으로 점수를 부여하며, 두 대의 차량이 선행·추격 역할로 맞붙는 토너먼트 형식이 일반적이다.

독일의 오토크로스 레이스
캐나다의 임시 코스에서 열린 오토크로스 주행
스페인에서 열린 짐카나 경기 중 ‘도넛’ 기술 시연

오토크로스

[편집]

오토크로스는 사용하는 국가에 따라 여러 의미로 쓰인다.

  • 유럽 대륙 및 FIA 규정에 따르면, 비포장 단거리 서킷에서 열리는 오프로드 레이스를 말한다. 주로 폐쇄형 싱글시터 차량(버기), 투어링카 또는 파이프 섀시 구조의 크로스카가 사용된다.
  • 영국과 아일랜드에서는 비포장 단거리 임시 코스에서 진행되는 타임 트라이얼 형태다. 여러 차량이 동시에 코스 위에 있을 수 있으나, 직접적인 레이스는 하지 않는다.[33][34]
  •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오토테스팅과 유사한 저속 타임 트라이얼 경기로, 짧고 재구성 가능한 임시 코스에서 여러 경로를 반복 주행하는 형식이다.[35][36]

오토테스팅 / 짐카나

[편집]

이 종목은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오토크로스, 유럽 대륙에서는 오토슬라럼(Autoslalom)으로도 알려져 있다. 영국, 아일랜드, 호주, 뉴질랜드 등에서 개최되며, 정밀한 차량 제어를 중심으로 한 매우 짧은 코스에서 진행된다. 고속 경기보다는 드리프트, 도넛, 핸드브레이크 턴, 후진 등 차량 조종 기술을 평가하는 종목이다.[37]

기타

[편집]

다른 자동차 경기 종목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모터사이클 스포츠

[편집]

국제 올림픽 위원회가 인정한 국제 모터사이클 스포츠 관리기구는 국제 모터사이클 연맹(FIM)이다.

종목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모터보트

[편집]

국제 올림픽 위원회가 인정한 국제 파워보트 관리기구는 국제 모터보트 연맹(UIM)이며, 1922년에 설립되었다.

항공 스포츠

[편집]

국제 올림픽 위원회가 인정한 국제 항공스포츠 관리기구는 국제항공연맹(FAI)이다. FAI는 글라이딩, 열기구 등 비동력 항공 스포츠도 관리하지만, 그중 모터스포츠에 해당하는 종목은 다음과 같다:

기타 모터스포츠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Types of Motorsport”. 《Motorsport UK》. 2024년 8월 18일에 확인함. 
  2. “THE GREAT RACE OF 1878”. 2016년 7월 27일에 확인함. 
  3. Sturmey, Henry (1895년 12월 14일). “The American Autocar Contest”. 《The Autocar》 (London, UK.). 80–81쪽. 
  4. Gifford, Clive (2006). 《Racing : the ultimate motorsports encyclopedia》. New York : Kingfisher/Houghton Mifflin Co. ISBN 978-0-7534-6040-5. 
  5. 〈ARTICLE 1.1 INTERNATIONAL REGULATIONS OF MOTOR SPORT〉. 《2025 FIA International Sporting Code》 (PDF). 국제 자동차 연맹. 2025.  2025년 9월 28일에 확인함.
  6. 《STATUTES AND BY-LAWS, FINANCIAL REGULATIONS, SPORTING CODE, DISCIPLINARY AND ARBITRATION CODE》 (PDF). 국제 모터사이클 연맹. 2025.  2025년 9월 28일에 확인함.
  7. “International Motorcycling Federation – Recognised Federation”. 
  8. “International Automobile Federation”. 
  9. Næss, Hans Erik (2020). 《A History of Organizational Change: The Case of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L'Automobile (FIA), 1946-2020》. Cham: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AG. ISBN 978-3-030-48270-1. 
  10. “Competition Licences - Motorsport UK - The beating heart of motorsport” (영국 영어). 2025년 10월 4일에 확인함. 
  11. “NASA Rally Sport and the FIA | NASA Rally Sport”. 2025년 10월 4일에 확인함. 
  12. “FAQ - Motorsport UK - The beating heart of UK motorsport” (영국 영어). 2025년 10월 4일에 확인함. 
  13. “ORCi | History-of-the-orci”. 2025년 10월 4일에 확인함. 
  14. association, the national stock car. “the national stock car association” (영국 영어). 2025년 10월 4일에 확인함. 
  15. “NASA Rally Sport and the FIA | NASA Rally Sport”. 2025년 10월 4일에 확인함. 
  16. “Meaning of race in English”. 《Cambridge Dictionary》. 
  17. “Definition of 'race'. 《Collins Dictionary》. 
  18. “Definition of RACE” (영어). 《www.merriam-webster.com》. 2023년 11월 3일. 2023년 11월 11일에 확인함. 
  19. 〈Definitions〉. 《2023 INTERNATIONAL SPORTING CODE》 (PDF). FIA. 2023. 
  20. Jonathan Noble; Mark Hughes. 〈Discovering What Makes Formula One, Formula One〉. 《Formula One Racing For Dummies》. 2015년 8월 10일에 확인함. 
  21. Telegraph Sport (2014년 9월 13일). “Formula E opens with spectacular crash involving Nick Heidfeld and Nicolas Prost as Lucas di Grassi claims win”. 《Daily Telegraph》. 2022년 1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9월 13일에 확인함. 
  22. Benthem, Haiko; Straver, Patrick. “OpenWheelWorld.Net >> Indy Car historie”. 《www.openwheelworld.net》. 2018년 4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4월 18일에 확인함. 
  23. “Car Facts | Pirelli World Challenge”. 《www.World-Challenge.com》. 2015년 10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0월 9일에 확인함. 
  24. “Off-Road Racer: The Grandfather of Off-Road Racing: BAJA 1000 - race-deZert.com”. 《race-dezert.com》. 2014년 12월 21일. 2018년 4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4월 18일에 확인함. 
  25. Baldwin, Alan (2023년 9월 7일). “Extreme E plans switch to hydrogen as Extreme H from 2025” (영어). 《Reuters》. 2023년 10월 19일에 확인함. 
  26. “What is Rallycross?”. 
  27. “Championships” (영어). 《BLMRA》. 2023년 10월 22일에 확인함. 
  28. “ABOUT” (영어). 《National Autograss》. 2023년 10월 22일에 확인함. 
  29. “About – Global Time Attack” (미국 영어). 2023년 11월 11일에 확인함. 
  30. “About Time Attack – Time Attack® – It's not racing… It's Time Attack!!” (영국 영어). 2023년 11월 11일에 확인함. 
  31. “Main – PHILOSOPHY” (영어). 《SCCA Time Trials》. 2023년 11월 11일에 확인함. 
  32. 《2023 General Rules Version 4.0》 (PDF). NORRA. 2023. 
  33. “Autocross” (영국 영어). 《Motorsport UK》. 2023년 10월 27일에 확인함. 
  34. “Autocross” (영어). 《motorsportireland.com》. 2023년 10월 27일에 확인함. 
  35. “About Autocross”. 《rdscc.ca》. 2023년 10월 27일에 확인함. 
  36. “What is SOLO?”. 《Atlanta Region SCCA》. 2017년 6월 22일. 2017년 6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0월 27일에 확인함. 
  37. “Autotest” (영국 영어). 《Motorsport UK》. 2023년 10월 27일에 확인함. 

틀:Motors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