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관계
말레이시아 |
인도네시아 |
|---|---|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는 1957년 8월 31일에 외교 관계를 수립하였다.[1] 이는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중요한 양자 관계 중 하나이다.[2]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는 여러 측면에서 유사성을 공유하는 인접 국가이다.[3] 양국은 역사, 문화, 종교에서 공통적인 기준틀을 가지고 있으며, 별개의 독립국임에도 깊이 자리 잡은 유사성이 존재한다.[4] 말레이시아어와 인도네시아어는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상당 부분 상호 이해가 가능하다. 양국은 모두 무슬림 다수 국가이자 ASEAN과 APEC의 창립 회원국이며, 비동맹 운동, 개발도상 8개국, 유엔, 이슬람 협력 기구의 회원국이기도 하다.
양국은 수 세기에 걸친 공통의 종교, 언어, 지리적 근접성, 문화적 유산으로 묶여 있지만, 관계는 종종 우호적이지 못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외교적 마찰을 자주 겪었다.[5] 독립 이후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는 사회, 경제, 정치 발전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나아갔으며, 이는 종종 심각한 양자 간 긴장으로 이어졌다.[2] 최근 수십 년 동안 두 나라의 민주화 속도 차이도 관계를 점점 더 어렵게 만들었다. 말레이시아의 정부 통제 언론은 인도네시아와 관련된 민감한 사안 보도를 자제한 반면, 인도네시아의 자유로운 대중 언론은 긴장을 고조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2]
말레이시아는 자카르타에 대사관을 두고 있으며, 메단, 페칸바루, 폰티아낙에 총영사관을 두고 있다.[6] 인도네시아는 쿠알라룸푸르에 대사관을 두고 있으며, 페낭, 조호르바루, 코타키나발루, 쿠칭, 타와우에 총영사관을 두고 있다.[7]
상세
[편집]본래 이 지역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말레이족, 그리고 인도인들이 그들의 대륙으로부터 이주하여 살던 지역이었다.[8][9][10] 두 나라가 근대적 의미에서 외교 관계를 맺은 것은 인도네시아가 네덜란드로부터 독립하고, 말레이시아의 전신 국가인 말라야 연방이 대영 제국으로부터 독립을 한 20세기 중반부터다.[11] 두 국가는 1957년 8월 31일에 외교 관계 수립에 합의하였다.[12]
문화 및 언어에 있어서 두 나라는 상당히 많은 유사성을 공유하고 있다. 그러나 1960년대 초 두 국가의 관계는 부정적이었다.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대치는 당시 신생국이었던 두 국가의 갈등을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당시 인도네시아의 지도자인 수카르노는 말레이시아의 탄생을 영국의 신식민주의로 인식하고, 이를 저지하고자 하였다.[13] 이는 콘프론타시(Confrontasi)로 잘 알려져 있으며, 인도네시아는 말레이시아에 대해 선전포고 없이 비공식적으로 전쟁을 벌였다.[14][15] 특히 인도네시아는 사바섬과 사라왁주에 대하여 인도네시아가 문화적으로 더 가깝다고 주장하였다. 이 과정에서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는 말레이시아에 군사적 지원을 하였다.[16] 이후 수하르토가 쿠테타를 일으켜 권력을 잡고, 기존 공산주의 성향에서 친서방주의로 노선을 바꾸면서 갈등을 일단락되고, 두 국가는 자카르타 협정으로 알려져 있는평화 협정을 맺었다. 이는 1966년에 체결되었으며, 이후 두 국가 간 무력 충돌은 잦아들게 되었다. 그러나 육상에서는 술라웨시섬, 사라왁주, 사바주의 일부 지역의 국경선들이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고, 보르네오해의 해상 영역에 대한 국경 갈등이 존재한다.
방위 협력
[편집]신질서 시대인 1966년 3월 12일, 정부 포고령이 발령되면서, 인도네시아는 공산주의 확산과 관련 단체들을 금지하였다. 당시 서칼리만탄주와 사라왁주에는 북칼리만탄 공산당(NKCP)이라는 공산주의 운동이 존재하였다. 이 시기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는 공산주의자들을 공동의 적으로 간주하고, 이를 제거하기 위해 협력하였다.[3]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Bilateral Cooperation – Malaysia”. Ministry of Foreign Affairs, Indonesia. 2016년 1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0월 29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Clark, Marshall; Pietsch, Juliet (2014년 3월 18일). 《Indonesia-Malaysia Relations: Cultural Heritage, Politics and Labour Migration (Media, Culture and Social Change in Asia Series)》. Routledge. 11쪽. ISBN 978-0-415687-52-2.
- ↑ 가 나 Emmanuel C. Alozie (2016년 3월 23일). 《Advertising in Developing and Emerging Countries: The Economic, Political and Social Context》. CRC Press. 142–쪽. ISBN 978-1-317-18498-0.
- ↑ Jennifer Sidharta (2016년 7월 24일). “Here is Why Indonesia is Alike Malaysia, and Vice Versa”. Global Indonesian Voices. 2019년 9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7일에 확인함.
- ↑ Luke Hunt (2010년 10월 6일). “Love Thy Neighbour?”. The Diplomat. 2011년 6월 18일에 확인함.
- ↑ “Official Website of Embassy of Malaysia, Jakarta”. Ministry of Foreign Affairs, Malaysia. 2017년 9월 8일에 확인함.
· “Official Website of Consulate of Malaysia, Medan”. Ministry of Foreign Affairs, Malaysia. 2017년 9월 8일에 확인함.
· “Official Website of Consulate of Malaysia, Pekan Baru”. Ministry of Foreign Affairs, Malaysia. 2018년 7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8일에 확인함.
· “Official Website of Consulate of Malaysia, Pontiana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Malaysia. 2017년 9월 8일에 확인함. - ↑ “Official Website of Indonesia Foreign Affair Ministry”. Ministry of Foreign Affairs, Indonesia. 2024년 9월 28일에 확인함.
- ↑ Kahin, George McT. (1964). “Malaysia and Indonesia”. 《Pacific Affairs》 37 (3): 253–270. doi:10.2307/2754974. ISSN 0030-851X.
- ↑ “History of Indonesia | People, Culture, Language, & Facts | Britannica” (영어). 2025년 4월 4일에 확인함.
- ↑ Curtis, Robert (1964년 12월 1일). “Malaysia and Indonesia” (PDF). 《New Left Review》 (I/28): 5–32.
- ↑ Post, The Jakarta. “Malaysia and Indonesia, 63 years of kinship - Opinion” (영어). 2025년 4월 4일에 확인함.
- ↑ Diphda, Bintang Corvi (2025년 1월 31일). “Indonesia and Malaysia: An Emerging Magnitude for ASEAN Leadership?” (미국 영어). 2025년 4월 4일에 확인함.
- ↑ “Indonesian Confrontation, 1963–66 | Australian War Memorial”. 2025년 4월 4일에 확인함.
- ↑ “Konfrontasi: Indonesia’s Undeclared War on Malaysia” (영어). 2023년 8월 15일. 2025년 4월 4일에 확인함.
- ↑ “NZ and Confrontation in Borneo”. 2025년 4월 4일에 확인함.
- ↑ “Confrontation with Indonesia - Overview - ANZAC Day Commemoration Committee”. 2025년 4월 4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