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요론
보이기

입자 물리학에서 마요론(majoron)은 이론적으로만 존재하는 가상의 골드스톤 보존이다. 초대칭 현상론 모형 등에서 등장한다. 과학자 에토레 마요라나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다음과 같은 고에너지 충돌에서 일어나는 경입자수 보존 및 B - L 보존을 깨뜨리는 뉴트리노 질량을 설명한다.
참고 문헌
[편집]- Balysh, A.; 외. (1996). “Bounds on new Majoron models from the Heidelberg-Moscow experiment”. 《Physical Review D》 54 (5): 3641–3644. arXiv:nucl-ex/9511001. Bibcode:1996PhRvD..54.3641G. doi:10.1103/PhysRevD.54.3641.
- Mohapatra, R. N.; Pérez-Lorenzana, A.; de S. Pires, C. A. (2000). “Neutrino mass, bulk majoron and neutrinoless double beta decay”. 《Physics Letters B》 491 (1–2): 143–147. arXiv:hep-ph/0008158. Bibcode:2000PhLB..491..143M. doi:10.1016/S0370-2693(00)01031-5.
- Carone, C. D.; Conroy, J. M.; Kwee, H. J. (2002). “Bulk majorons at colliders”. 《Physics Letters B》 538 (1–2): 115–120. arXiv:hep-ph/0204045. Bibcode:2002PhLB..538..115C. doi:10.1016/S0370-2693(02)01943-3.
- Frampton, P. H.; Oh, M. C.; Yoshikawa, T. (2002). “Majoron mass zeros from Higgs triplet vacuum expectation values without a Majoron problem”. 《Physical Review D》 66 (3): 033007. arXiv:hep-ph/0204273. Bibcode:2002PhRvD..66c3007F. doi:10.1103/PhysRevD.66.033007.
- Grossman, Y.; Haber, H. E. (2003). “The would-be Majoron in R-parity-violating supersymmetry”. 《Physical Review D》 67 (3): 036002. arXiv:hep-ph/0210273. Bibcode:2003PhRvD..67c6002G. doi:10.1103/PhysRevD.67.036002.
- de S. Pires, C. A.; Rodrigues da Silva, P. S. (2004). “Spontaneous breaking of the lepton number and invisible majoron in a 3-3-1 model”. 《European Physical Journal C》 36: 397–403. arXiv:hep-ph/0307253. Bibcode:2004EPJC...36..397D. doi:10.1140/epjc/s2004-01949-3.
![]() |
이 글은 물리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