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크-로컬 주소
컴퓨터 망에서 링크-로컬 주소(Link-local address)는 로컬 링크, 즉 호스트가 연결된 서브네트워크 내의 통신에만 유효한 네트워크 주소이다. 링크-로컬 주소는 일반적으로 링크-로컬 주소 자동 구성[1]으로 알려진 프로세스를 통해 자동으로 할당되며, 이는 자동 IP, 자동 사설 IP 주소 지정 (APIPA, IPv4에 특화), 및 무상태 주소 자동 구성 (SLAAC, IPv6에 특화)으로도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링크-로컬 주소는 유니캐스트이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ff02: (ff02::/16)로 시작하는 IPv6 주소와 224.0.0. (224.0.0.0/24)로 시작하는 IPv4 주소는 링크-로컬인 멀티캐스트 주소이다.
링크-로컬 주소는 네트워크 세그먼트를 넘어 고유성이 보장되지 않는다. 따라서 라우터는 링크-로컬 소스 또는 목적지 주소를 가진 데이터 패킷을 전달하지 않는다.
IPv4 링크-로컬 유니캐스트 주소는 주소 블록 169.254.0.0/16 (169.254.0.0부터 169.254.255.255까지)에서 할당된다. IPv6에서는 유니캐스트 링크-로컬 주소가 블록 fe80::/10에서 할당된다.[2]:2.4[3]
주소 할당
[편집]링크-로컬 주소는 관리자가 수동으로 할당하거나 자동 운영체제 절차에 의해 할당될 수 있다. 인터넷 프로토콜 (IP) 네트워크에서는 대개 무상태 주소 자동 구성을 사용하여 할당되며, 이 프로세스는 종종 추계학적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링크-로컬 주소의 값을 선택하고, 각 세션에 대해 다른 의사 무작위 주소를 할당한다. 그러나 IPv6에서는 개인 정보 보호 및 보안상의 이유로 더 이상 사용되지 않지만,[4] 인터페이스 MAC 주소에서 규칙 기반 방식으로 링크-로컬 주소를 파생할 수도 있다.[2]
IPv4에서는 링크-로컬 주소가 일반적으로 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 (DHCP)과 같은 외부의 상태 유지 주소 구성 메커니즘이 없거나, 다른 주요 구성 방법이 실패했을 때만 사용된다.[1] IPv6에서는 링크-로컬 주소가 다른 범위의 주소와 함께 항상 할당되며, 다양한 프로토콜 구성 요소의 내부 기능에 필요하다.[2]
IPv4
[편집]국제 인터넷 표준화 기구 (IETF)는 링크-로컬 주소 지정을 위해 IPv4 주소 블록 169.254.0.0/16 (169.254.0.0 – 169.254.255.255)을 예약했다.[1] 이 범위 전체가 이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첫 256개와 마지막 256개 주소 (169.254.0.0/24 및 169.254.255.0/24)는 미래 사용을 위해 예약되어 있으며 이 동적 구성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호스트에 의해 선택되어서는 안 된다.[1](p. 2.1) 링크-로컬 주소는 다른 주소 할당 수단이 없는 경우 호스트 내부, 즉 무상태 주소 자동 구성을 통해 인터페이스에 할당된다.
동일한 인터페이스에서 링크-로컬 주소와 전역적으로 라우팅 가능한 주소와 같이 다른 범위의 IPv4 주소를 동시에 사용하면 혼란과 복잡성이 증가할 수 있다.[1](p. 1.9) 따라서 호스트는 링크-로컬 주소를 할당하기 전에 네트워크에서 DHCP 서버를 찾는다.
자동 주소 구성 프로세스에서 네트워크 호스트는 예약된 범위 내에서 무작위 후보 주소를 선택하고 주소 결정 프로토콜 (ARP) 프로브를 사용하여 네트워크에서 해당 주소가 사용 중이 아닌지 확인한다. ARP 프로브에 대한 회신이 수신되면 후보 IP 주소가 이미 사용 중임을 나타낸다. 새로운 무작위 후보 IP 주소가 생성되고 프로세스가 반복된다. ARP에 대한 회신이 없을 때 프로세스가 종료되며, 이는 후보 IP 주소를 사용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링크-로컬 주소가 할당된 후 전역적으로 라우팅 가능한 주소 또는 사설 IP 주소를 사용할 수 있게 되면, 일반적으로 새로운 연결에는 새로운 주소를 선호해야 하지만 링크-로컬 주소를 통한 통신은 여전히 가능하다.[1](p. 2.6.1)
마이크로소프트는 이 주소 자동 구성 방법을 자동 사설 IP 주소 지정 (APIPA)이라고 부른다.[5]
IPv6
[편집]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6 (IPv6)에서 주소 블록 fe80::/10은 링크-로컬 유니캐스트 주소 지정을 위해 예약되어 있다.[2](p. 2.4) 링크-로컬 주소의 네트워크 구성 요소 64비트 중 최상위 10비트 (1111111010)는 IANA가 링크-로컬 주소를 위해 예약한 "글로벌 라우팅 프리픽스"에 해당하며, "서브넷 ID" (나머지 54비트)는 0이다.[2](p. 2.5.6)
IPv4와 달리 IPv6는 라우팅 가능한 주소도 할당된 경우에도 IPv6 프로토콜이 활성화된 모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링크-로컬 주소가 필요하다.[2](p. 2.8) 결과적으로 IPv6 호스트는 일반적으로 IPv6가 활성화된 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둘 이상의 IPv6 주소가 할당되어 있다. 링크-로컬 주소는 이웃 탐색 프로토콜의 IPv6 서브레이어 작업과 DHCPv6와 같은 다른 IPv6 기반 프로토콜에 필요하다.
링크-로컬 IPv6 주소를 사용하여 호스트에 연결할 때, 패킷이 올바른 인터페이스로 전송될 수 있도록 주소에 영역 인덱스를 추가해야 한다.
IPv6에서는 주소가 무상태 (메모리 없음) 또는 상태 유지 (메모리 있음) 메커니즘에 의해 할당될 수 있다. IPv6 무상태 주소 자동 구성은 이웃 탐색 프로토콜 (NDP)의 구성 요소로 수행된다.[6] 주소는 라우팅 프리픽스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고유 식별자로부터 형성된다.
NDP 라우팅 프리픽스 광고를 통해 라우터 또는 서버 호스트는 모든 링크 연결 인터페이스에 구성 정보를 알릴 수 있으며, 이는 로컬 또는 전역 라우팅 목적을 위해 수신 인터페이스에 추가 IP 주소 할당을 유발한다. 이 프로세스는 프리픽스 서버가 호스트에 대한 개별 할당을 수신하거나 기록하지 않기 때문에 때때로 무상태로 간주된다. 고유성은 주소 선택 방법론에 의해 자동으로 보장된다. MAC 주소 기반일 수도 있고,[6] 무작위일 수도 있다.[7] 자동 중복 주소 감지 알고리즘은 할당 오류를 방지한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S. Cheshire; B. Aboba; E. Guttman (May 2005). Dynamic Configuration of IPv4 Link-Local Addresses. Network Working Group. RFC 3927. https://tools.ietf.org/html/rfc3927. Proposed Standard.
- ↑ 가 나 다 라 마 바 R. Hinden; S. Deering (February 2006). IP Version 6 Addressing Architecture. Network Working Group. RFC 4291. https://tools.ietf.org/html/rfc4291. Draft Standard. Obsoletes RFC 3513. Updated by RFC 5952, 6052, 7136, 7346, 7371 and 8064.
- ↑ “Definition of link-local address”. 《PCMag》.
- ↑ F. Gont; A. Cooper; D. Thaler; W. Liu (February 2017). Recommendation on Stable IPv6 Interface Identifiers. IETF. RFC 8064. https://tools.ietf.org/html/rfc8064. Proposed Standard. Updates RFC 2464, 2467, 2470, 2491, 2492, 2497, 2590, 3146, 3572, 4291, 4338, 4391, 5072 and 5121.
- ↑ “APIPA”. Microsoft. 2012년 7월 18일.
- ↑ 가 나 S. Thomson; T. Narten; T. Jinmei (September 2007). IPv6 Stateless Address Autoconfiguration. Network Working Group. RFC 4862. https://tools.ietf.org/html/rfc4862. Draft Standard. Obsoletes RFC 2462. Updated by RFC 7527.
- ↑ F. Gont; S. Krishnan; T. Narten; R. Draves (February 2021). Temporary Address Extensions for Stateless Address Autoconfiguration in IPv6.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ISSN 2070-1721. RFC 8981. https://tools.ietf.org/html/rfc8981. Proposed Standard. Obsoletes RFC 49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