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오그란디아
보이기
![]() | |
---|---|
화석 범위: 트라이아스기 후기 225.42백만년 전 | |
![]() 리오그란디아(Riograndia)의 복원도 | |
생물 분류ℹ️ | |
역: | 진핵생물역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단궁강 |
목: | 수궁목 |
아목: | 키노돈아목 |
(미분류): | 상키노돈트류 |
하목: | 진키노돈하목 |
(미분류): | 프로바이노그나투스류 |
(미분류): | 프로조소트로돈트류 |
과: | †트리텔레돈과 |
속: | †리오그란디아속 |
모식종 | |
†Riograndia guaibensis | |
Bonaparte et al., 2001 |
리오그란디아(Riograndia guaibensis)는 브라질 트라이아스기 후기에 살았던 멸종된 키노돈트이다.[1] 모식종은 리오그란디아 구아이벤시스(Riograndia guaibensis)로, 히우그란지두술주와 과이바 분지의 지명을 따서 지어졌다.[2] 팔레오로타 지질공원(Paleorrota gropark)의 카투리타층(Caturrita Formation)에서 화석이 발견되었다. 리오그란디아는 작은 포유류가 아니였지만, 포유류가 지닌 몇 가지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카투리타 층의 칸델라리아(Candelária)와 파시날도 소투르노(Faxinal do Soturno) 마을에서 리오그란디아 과이벤시스(Riograndia Guaibensis)의 여러 화석이 발견되었다.[3] 해당 지은 리오그란디아 집합 지(Riograndia Assemblage Zone)으로 불린다.[1][4]
각주
[편집]- ↑ 가 나 Guignard, Morgan L.; Martinelli, Agustin G.; Soares, Marina B. (2019년 4월). “Postcranial anatomy of Riograndia guaibensis (Cynodontia: Ictidosauria)”. 《Geobios》 53: 9–21. doi:10.1016/j.geobios.2019.02.006. ISSN 0016-6995.
- ↑ Bonaparte, José F.; Ferigolo, Jorge; Ribeiro, Ana maria (2001년 7월). “A Primitive Late Triassic ‘ictidosaur’ from Rio Grande Do Sul, Brazil”. 《Palaeontology》 (영어) 44 (4): 623–635. doi:10.1111/1475-4983.00194. ISSN 0031-0239.
- ↑ Soares, Marina B.; Schultz, Cesar L.; Horn, Bruno L. D. (2011년 3월). “New information on Riograndia guaibensis Bonaparte, Ferigolo & Ribeiro, 2001 (Eucynodontia, Tritheledontidae) from the Late Triassic of southern Brazil: anatomical and biostratigraphic implications”. 《Anais da Academia Brasileira de Ciências》 (영어) 83: 329–354. doi:10.1590/S0001-37652011000100021. ISSN 0001-3765.
- ↑ Schultz, Cesar L.; Martinelli, Agustín G.; Soares, Marina B.; Pinheiro, Felipe L.; Kerber, Leonardo; Horn, Bruno L.D.; Pretto, Flávio A.; Müller, Rodrigo T.; Melo, Tomaz P. (2020년 12월). “Triassic faunal successions of the Paraná Basin, southern Brazil”. 《Journal of South American Earth Sciences》 104: 102846. doi:10.1016/j.jsames.2020.102846. ISSN 0895-9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