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디아

아나톨리아의 고대 지방 리디아 (Λυδία) | |
위치 | 서부 아나톨리아 |
발생 시기: | 기원전 12~6세기경 |
언어 | 리디아어 |
가장 큰 도시 | 사르디스 |
로마 속주 | 아시아 속주 |
튀르키예의 역사 Türkiye tarihi |
---|
![]() |
리디아 (리디아어 : 𐤮𐤱𐤠𐤭𐤣 , 그리스어: Λυδία)는 서부 아나톨리아(소아시아)의 한 역사적 지역으로 튀르키예의 현대 이즈미르 주, 마니사 주에 해당한다.
그 전통적인 수도는 사르디스였지만 리디아 왕국은 한때 서 아나톨리아 전체를 확보하기도 하였다. 리디아는 후에 로마 속주의 이름이었고 리디아에서는 주화가 기원전 660년경에 발명되었다.
역사적인 리디아의 경계는 수세기 동안 변하였다. 그것은 미시아, 카리아, 프리기아와 해안의 이오니아와 경계하였다.
그 후 알리아테스와 크로이소스 왕의 군사력으로 리디아는 제국으로 팽창하였는데 그 수도는 사르디스가 되었다. 사르디스는 리키아를 제외한 소아시아의 할리스 강 서쪽 모두를 통제하였다.
리디아는 원래의 크기로 결코 돌아가지 않았다. 페르시아 제국의 정복 후 매산더는 그 남쪽 경계로 여겨졌으며, 로마 치하에서는 리디아는 프리기아와 에게해 연안의 미시아와 카리아 사이의 나라를 구성하였다.
리디아어는 인도유럽어족으로 루위아어와 히타이트어와 관련되어 있다.
역사
[편집]
리디아의 초기 역사는 여전히 불분명하다. 리디아가 될 땅에는 과거 후기 청동기 시대(기원전 1600년~기원전 1200년)에 미라(Mira)와 세하(Šeḫa)라는 두 왕국이 있었는데, 이들은 아르자와(Arzawa)라는 더 광범위한 정치적 연합체의 일부였다.[1] 다른 아르자와 지역과 마찬가지로, 이들 왕국은 루위아어를 사용하며 히타이트 제국과 때로는 동맹국이었고, 때로는 적대국이었으며, 때로는 속국으로서 관계를 맺었고 히타이트 제국의 기록에 등장하게 되었다.[2]
대략 기원전 800년경까지 리디아인은 독자적인 정체성을 확립하고 일정 수준의 정치적 통합을 이루었으나, 당시의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정확한 연대나 사건을 확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 시기의 유일한 확실한 증거는 사르디스의 유적이다. 일부 문헌 기록에서는 두 개의 초기 리디아 왕조, 즉 리디아인의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전해지는 아티스 가문과, 기원전 685년 이전까지 22대에 걸쳐 지배했다는 헤라클레스 가문의 존재를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료들은 신화적 요소가 강하며 역사적 신뢰성이 부족하다.[3]
그리스 신화에서의 리디아
[편집]헤로도토스에 따르면, 제우스와 가이아의 아들인 마네스가 가장 이른 시기의 군주였다. 마네스의 아들인 리두스의 이름에서 그리스인들이 부르는 '리디아'라는 이름이 왔다. 마네스의 후손 중 한 명인 이아르다노스는 리디아를 다스리던 군주였으며, 헤라클레스는 한때 그의 봉사 아래 있었다. 헤라클레스는 이아르다노스의 여종으로부터 낳은 아들 알카이오스를 통해 왕가를 빼앗고 헤라클레스 왕조를 열었다.[4] 기원전 8세기경, 멜레스(Meles)가 21대이자 마지막에서 두 번째 헤라클레스 왕조의 왕이 되었으며, 그의 아들 칸다울레스(Candaules, 기원전 약 687년 사망)가 마지막 왕이었다.[5][6]
메르므나다이 왕조
[편집]왕의 경호원 귀게스가 국왕 칸다울레스를 살해하고 리디아의 왕좌를 차지해 메르므나다이 왕조를 연다.
첫 주화
[편집]헤로도토스에 따르면 리디아인은 금화와 은화를 사용하고 상설 소매점을 세운 첫 민족이었다.
이들 첫 주조된 주화는 기원전 650-600년 경에 주조되었다고 한다. 첫 주화는 일렉트럼(호박금, 금과 은의 천연 합금)으로 만들어졌다. 무게는 1/3 슬레이터로 4.76 그램이었다. 겉면에 사자 머리가 찍혀 있었는데 이는 왕의 상징이었다. 14.1 그램의 일렉트럼이 1슬레이터(표준)이다. 1슬레이터가 병사의 한달 봉급 정도였다.
페르시아 제국
[편집]기원전 546년 아케메네스 왕 키루스 2세는 사르디스를 점령하였고, 리디아는 그의 총독령이 되었다.
마케도니아 제국
[편집]리디아는 마케도니아의 페르시아 정복 후 총독령으로 남았다.
알렉산더의 제국이 무너지자 리디아는 주요한 아시아 후계 왕조 중의 하나인 셀레우코스 제국이 되었다.
그리고 그것이 소아시아에서 영토를 유지할 수 없게 되자 리디아는 페르가뭄의 아탈리드 왕조로 떨어졌다.
그 마지막 왕은 로마정복 전쟁에 의한 약탈을 피하여 로마제국으로 들어 갔다.
로마 시대
[편집]로마가 기원전 133년 그 수도 사르디스에 진입하였을 때 리디아는 로마의 아시아 속주가 되었다. 리디아는 매우 부유하였고 프로콘술 급의 고위 총독이 다스렸다.
이슬람 지배
[편집]리디아는 최종적으로 새로운 튀르키예 베일릭에 함락되었다. 1390년 오스만 제국에 의한 것이었다. 리디아의 영역은 오스만 제국의 빌라예의 일부가 되었으며, 현대 튀르키예 공화국의 서쪽 경계이다.
-
리디아가 보이는 15세기 지도
-
기원전 6세기 초의 주화
각주
[편집]- ↑ Roosevelt, Christopher (2010). 〈Lydia before the Lydians〉. 《The Lydians and Their World》.
- ↑ Bryce, Trevor (2011). 〈The Late Bronze Age in the West and the Aegean〉. Steadman, Sharon; McMahon, Gregory. 《The Oxford Handbook of Ancient Anatolia》. Oxford University Press. doi:10.1093/oxfordhb/9780195376142.013.0015.
- ↑ Payne, Annick. “The Lydian Empire”.
- ↑ Herodotus 1975, 43쪽.
- ↑ Herodotus 1975, 43–46쪽.
- ↑ Bury & Meiggs 1975, 82쪽
외부 링크
[편집]위키미디어 공용에 리디아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lydia 보관됨 2009-03-06 - 웨이백 머신
- (wiki)Li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