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펑기아
보이기
![]() | |
---|---|
화석 범위: 쥐라기 초-중기 196.5–189.6백만년 전 | |
생물 분류ℹ️ | |
역: | 진핵생물역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단궁강 |
목: | 수궁목 |
아목: | 키노돈아목 |
(미분류): | 상키노돈트류 |
하목: | 진키노돈하목 |
(미분류): | 프로바이노그나투스류 |
(미분류): | 프로조스트로돈트류 |
(미분류): | 포유양류 |
과: | †트리틸로돈과 |
속: | †루펑기아속 |
종: | †루펑기아 델리카타 |
모식종 | |
†Lufengia delicata | |
Chow & Hu, 1959 | |
학명이명 | |
†디안중기아(Dianzhongia) Cui, 1981 †비에노테리움 마이너(Bienotherium minor) Young, 1947 |
루펑기아(Lufengia)는 쥐라기 초-중기 지금의 중국 윈난성 루펑층(Lufeng Formation)에서 발견된 키노돈트이다.[1] 루펭기아는 최대 8개의 표본으로 루펑층에서 가장 풍부한 키노돈트임을 나타낸다. 완모식표본인 MC V0009는 어금니와 입천장 뒤쪽이 있는 단편적인 연단이다.[2] 또 다른 표본인 CVEB12001은 부분적으로 부서진 두개골이다.. 이 마지막 발견 덕분에, 디안중기아 롱기로스트라타(Dianzhongia longirostrata)라는 이름의 IVPP V5072는 루펭기아의 더 오래된 표본일 뿐이며, 루펑기아 두개골 크기가 31mm에서 74.6mm 사이로 다양하다는 것을 나타낸다.[2] 새로운 표본은 또한 루펭기아가 현존하는 은색두더지쥐와 매너티와 같이 치아가 지속적으로 교체되었음을 보여주었으며, 이는 후두개가 여분이고 지속적으로 교체되었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2]
각주
[편집]- ↑ Chow, M.; Hu, C.C. (1959). "A new tritylodontid from Lufeng, Yunnan". Vertebrata PalAsiatica. 3 (1): 9–12.
- ↑ 가 나 다 Liu, Jiawen; Wang, Lihua; Beatty, Brian L; Zhang, Gary; Wang, Tao; Bi, Shundong (2023년 9월 2일). “New material (Tritylodontidae, Mammaliamorpha) from the lower Jurassic of Lufeng and its implication on the taxonomy of Lufengia”. 《Historical Biology》 (영어) 35 (9): 1605–1615. doi:10.1080/08912963.2022.2104643. ISSN 0891-29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