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마니아의 국가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8년 3월) |
| ||||||||
|

깨어나라, 루마니아인이여!(루마니아어: Deșteaptă-te, române 데슈테압터테 로므네[*])는 루마니아의 국가이다. 1990년에 제정되었으며 안드레이 무레샤누(Andrei Mureşanu)가 작사, 안톤 판(Anton Pann)이 작곡하였다.[1]
이 노래는 루마니아의 시인이며 언론인이며 1848년 혁명 중 최고의 혁명가였던 안드레이 무레샤누(Andrei Mureșanu)가 작사하였다. 몰도바도 이 국가를 사용했다가, 1994년부터 우리의 언어(Limba noastră)를 제정하여 사용 중이다.
역사
[편집]1848년 이래, 이 노래는 루마니아에서 가장 중요한 애국가가 되었다. 이 노래는 제1차 세계 대전 때와 제2차 세계 대전 때 아주 중요한 노래로 자리잡았다. 1944년 8월 23일 루마니아가 히틀러와 등을 돌리고 연합군에 가담했을 때, 이 노래는 모든 라디오 방송으로 전달되었다.[2]
그러나 1947년 12월 30일, 루마니아의 국왕 미하이 1세의 폐위로 루마니아는 공산주의 국가로 변하여, 이 노래는 루마니아 왕국과 관련이 있는 다른 애국가들과 동시에 금지되었다. 공식 석상이건 집이건, 이 노래는 그 어떠한 장소에서도 사용이 금지되었고, 그 대신 부서진 쇠사슬이 국가로 제정되었다. 1965년 3월 28일, 니콜라에 차우셰스쿠가 취임하자마자 정권은 공공장소에서 이 노래를 부르거나 연주하는 것을 허락했지만, 이 루마니아 인민 공화국 때 불러진 부서진 쇠사슬은 국가 (노래)는 아니었다.
1989년 12월 22일,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정권이 붕괴하였고, 1990년 1월 1일 이 노래는 현재 루마니아의 국가 (노래)로 지정되기에 이르렀다. 현재는 1절, 2절, 4절, 11절만이 공식 석상에서 연주된다.
절마다 마지막 구는 한번 더 반복된다.
Deșteaptă-te, române, din somnul cel de moarte, |
Deщеаптъ-те, роmъnе, dіn соmnȢл чел dе móрте |
[deʃˈte̯aptəte roˈmɨne din ˈsomnul t͡ʃel de ˈmo̯arte] |
- 1절
- 깨어나라, 루마니아인이여, 그 죽음의 잠에서,
- 폭군 야만인들이 너를 깊이 빠뜨린 그 잠에서!
- 지금이 아니면 없으리, 네 운명을 새로이 개척하라,
- 너의 잔혹한 적들조차 경배할 운명을.
- 2절
- 지금이 아니면 없으리, 세상에 증거를 보이자
- 이 손에는 아직 로마인의 피가 흐르고 있음을,
- 그리고 우리 가슴 속에는 자랑스레 한 이름을 간직하고 있음을
- 전투에서 승리한 이름, 트라야누스(Traian)의 이름을!
- 3절
- 너의 넓은 이마를 들고 주위를 둘러보라,
- 산 속의 전나무처럼 수십만의 용사들이 서 있는 것을.
- 그들은 하나의 목소리를 기다리며 양 떼 속의 늑대처럼 뛰어들리니,
- 노인, 장정, 청년, 젊은이들, 산과 들에서!
- 4절
- 보소서, 위대한 그림자(영령)들이여, 미하이(Mihai), 슈테판(Ștefan), 코르비누스(Corvine)여,
- 루마니아 민족, 당신들의 후손들을,
- 무장한 팔과 당신들의 불꽃을 핏줄에 품고,
- "자유 속의 삶 아니면 죽음을!" 모두 외치나니.
- 5절
- 질투의 악의와 밀코브(Milcov)와 카르파티아(Carpați)에서의
- 눈먼 분열이 당신들을 파멸시켰도다!
- 그러나 우리는, 거룩한 자유가 영혼에 스며들어,
- 손을 맞잡고 영원히 형제가 될 것을 맹세하노라!
- 6절
- 미하이 대공(Mihai cel Mare) 이후로 과부가 된 한 어머니(조국)가[8],
- 그녀의 아들들에게서 도움의 손길을 구하네.
- 그녀는 눈물 흘리며 저주하네, 그 누구든,
- 반역자는 그러한 몰락에 빠지게 되리라고.
- 7절
- 번개에 맞아 사라져라, 벼락과 유황에 맞아,
- 영광스러운 자리에서 물러나는 자 누구든지,
- 조국이나 어머니가, 애끓는 마음으로,
- 우리가 칼과 불을 통과하기를 요구할 때!
- 8절
- 야만스런 초승달의 야타간(단도)만으로는 부족했는가,
- 그 치명적인 상처를 오늘날에도 여전히 느끼거늘.
- 이제 크누트(러시아 제국의 채찍)[9]가 조상의 터전에 파고들지만,
- 주님께서 증인이시니, 우리는 산 채로 그것을 받아들이지 않으리라!
- 9절
- 그의 온전한 눈멂을 지닌 전제정치만으로는 부족했는가,
- 그 멍에를 수 세기 동안 소처럼 짊어졌거늘.
- 이제 잔인한 자들이, 그들의 눈먼 오만 속에서,
- 우리의 언어를 빼앗으려 시도하지만, 우리는 죽어서야 그것을 내주리라!
- 10절
- 사방의 루마니아인들이여, 지금이 아니면 없으리
- 생각으로 하나 되고, 감정으로 하나 되라!
- 넓은 세계에 외쳐라, 다뉴브강이 음모와 강압,
- 간사한 계략으로 도둑맞았다고!
- 11절
- 사제들이여, 십자가를 앞세우라, 군대는 기독교인이니,
- 표어는 자유요 그 목적은 지극히 거룩하다.
- 우리의 옛 땅에서 다시 노예가 되느니,
- 차라리 완전한 영광 속에서 싸우다 죽으리라!
각주
[편집]- ↑ “Cazimir: "Mie îmi place Trăiască Patria!"”. 《Adevărul》 (루마니아어). 2011년 10월 4일. 2014년 9월 10일에 확인함.
- ↑ Vasile Oltean - Imnul Național Deșteaptă-te, române!, Ed. Salco, Brașov, 2005, ISBN 973-87502-1-0
- ↑ https://www.presidency.ro/ro/presedinte/romania/imnul-romaniei Imnul României. Președintele României. Presidency.ro.
- ↑ https://www.libertatea.ro/lifestyle/imnul-romaniei-desteapta-te-romane-2809723/amp#versuri Imnul României “Deșteaptă-te, române” – Versuri și istoric. Libertatea. Diaconu, Camelia. 2019-11-25.
- ↑ https://www.frvolei.ro/DOWNLOAD/cluburi/imn.html Imnul National al Romaniei. FRVolei.
- ↑ http://dragusanul.ro/category/arhivele-bucovinene-ale-sufletului/page/34/ ARHIVELE BUCOVINENE ALE SUFLETULUI. Dragusanul.ro - Part 34. dragusanul.ro.
- ↑ Mureșanu Andrei, 21 June 1848. РъсȢnет. Фоаіе пеnтрȢ minтe, inimъ ші лiтератȢръ (Foaiе pentru minte, inimă și literatură). Brașov, România. Volume 25, page 200.
- ↑ 미하이 대공이 반년가량 왈라키아, 몰다비아, 트란실바니아의 공작을 겸하는 형태로 루마니아를 통합함.
- ↑ 대체로 러시아와 관련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