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로보티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로보티즈
ROBOTIS Co., Ltd.
형태주식회사
약칭
로보티즈; ROBOTIS
창립1999년 3월 25일[1]
창립자김병수[1]
시장 정보
코스닥: 108490
상장일2018년 10월 26일[2][3][4]
산업 분야로봇
서비스로봇 플랫폼
로봇 모듈 개발 및 공급
분할
자율주행로봇 사업부 물적분할 신설회사(주식회사 로보티즈에이아이, 2025년 6월 2일)[5][6]
본사 소재지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중앙5로1길 37[7]
사업 지역
전 세계[7]
대표자김병수[1]
핵심 인물
김병수 (대표이사)[1]
제품DYNAMIXEL(스마트 액추에이터)·DYD(사이클로이드 감속기)·TurtleBot3·OpenMANIPULATOR·OP3·GAEMI 시리즈[8][9][10][11]
매출액291억 원 (2023년 연결)[12]
영업이익
−53억 원 (2023년 연결)[12]
−13억 원 (2023년 연결)[12]
주요 주주최대주주 김병수 등 특수관계인 25.76% (2025-09-29 기준)[12]· LG전자 약 7.36%(2025년 2분기 기준)[13]
결산기12월[12]
자회사주식회사 로보티즈에이아이[5]
슬로건Freedom from Work[14]
웹사이트www.robotis.com
로보티즈
한글 표기: 로보티즈
개정 로마자 표기: Robotijeu
공식 로마자 표기: ROBOTIS

로보티즈(영어: ROBOTIS Co., Ltd.)는 1999년에 설립된 대한민국의 로봇 기업이다. 이 회사는 모터·감속기·제어기·통신을 일체화한 스마트 액추에이터 ‘다이나믹셀(DYNAMIXEL)’과 사이클로이드 방식의 소형 감속기 ‘DYD’를 자체 개발·공급하며, TurtleBot3, OpenMANIPULATOR 등 ROS 생태계 기반의 오픈 플랫폼과 자율주행 서비스로봇 ‘GAEMI(개미)’ 시리즈까지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통합 솔루션을 제공한다.[8][9][11][7] 2018년 10월 26일 코스닥시장에 상장했다.[2][3][4] 2025년에는 자율주행로봇 사업부를 물적분할해 ‘주식회사 로보티즈에이아이’를 신설하고,[5][6] 같은 해 8월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방식의 유상증자를 결의했다.[15][16][17]

연혁

[편집]

설립 배경

[편집]
  • 1999년: 김병수가 로보티즈 설립.[1]
  • 2003년: 로봇 전용 스마트 액추에이터 ‘다이나믹셀’ 출시.[4]

발전 과정

[편집]
  • 2010년대: 해외 거점과 파트너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교육·연구용 로봇 플랫폼 생태계를 구축했다.[3]
  • 2018년: 코스닥 상장(기술성장기업).[4][2]

주요 사건

[편집]
  • 2019년 12월: 실외 자율주행로봇 규제샌드박스 실증특례 승인(서울 강서구 마곡 일대 실증 시작).[18][19]
  • 2024년 1월 31일: 실외이동로봇 운행안전인증 국내 1호 획득(GAEMI-1).[20][21]
  • 2025년 6월 2일: 자율주행로봇 사업부 물적분할 완료, 신설회사 상호 ‘주식회사 로보티즈에이아이’ 확정.[5]
  • 2025년 8월 28일: 약 1,000억 원 규모 유상증자 결의(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15][16][17]

기업 구조

[편집]

지배 구조

[편집]

로보티즈는 창업자 김병수가 대표이사로서 경영을 총괄한다. 2025년 9월 기준 최대주주 등 특수관계인 지분은 25.76%이며,[12] LG전자는 약 7.36%를 보유한 2대 주주다.[13]

자회사

[편집]
  • 주식회사 로보티즈에이아이(ROBOTIS AI): 2025년 물적분할로 설립된 자율주행로봇 전문 신설회사.[5]

경영진

[편집]
  • 대표이사: 김병수.[1]

사업 모델

[편집]

수익 구조

[편집]

핵심 부품(다이나믹셀 액추에이터·DYD 감속기) 판매가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형성하고, 자율주행 서비스로봇 ‘GAEMI’ 시리즈는 서비스형 로봇(RaaS) 모델로 반복 매출을 확대한다.[11][8]

운영 방식

[편집]

로보티즈는 ROS 생태계와 오픈소스를 적극 활용해 연구·교육·산업 고객이 곧바로 응용 가능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일체형 솔루션을 제공한다(예: TurtleBot3, OpenMANIPULATOR).[8][9]

시장 접근 전략

[편집]

Arm 기반 컴퓨팅 플랫폼 등과의 협력을 통해 자율주행·매니퓰레이션 성능을 고도화하고 ‘피지컬 AI’ 구현을 지향한다.[22][14]

사업 운영

[편집]

사업 영역

[편집]
  • 부품 : DYNAMIXEL(올인원 스마트 액추에이터), DYD(사이클로이드 소형 감속기).[11][23][24]
  • 플랫폼 : TurtleBot3(모바일), OpenMANIPULATOR(매니퓰레이터), OP3(소형 휴머노이드 플랫폼).[8][9][10]
  • 서비스로봇 : GAEMI-0(실내용, 매니퓰레이터 내장)·GAEMI-1(실외용).[25][26]

산업·적용 분야

[편집]

호텔·오피스·병원 등 실내 배송과 아파트 단지·리조트 등 실외 라스트마일 배송 및 순찰 영역에서 상용 운용 사례가 축적되어 있다.[27]

글로벌 활동

[편집]

미국·중국·일본 등 해외 거점을 운영하고 수십 개국 유통망을 보유한다.[3][7]

제품과 서비스

[편집]

주요 제품(부품·플랫폼)

[편집]
  • DYNAMIXEL : 액추에이터·감속기·제어기·통신을 일체화한 모듈형 로봇 관절(최대 200W급 포함).[23]
  • DYD : 사이클로이드 방식 고정밀 소형 감속기 라인업(14·17 등 규격).[11][28]
  • OpenMANIPULATOR : ROS/오픈소스 기반 실습·연구용 매니퓰레이터.[9]
  • ROBOTIS OP3 : 연구·교육용 소형 휴머노이드 플랫폼.[10]
  • TurtleBot3 : ROS 표준 모바일 로봇 플랫폼.[8]

서비스(자율주행 로봇)

[편집]
  • GAEMI-0 : 엘리베이터 버튼 조작·보안카드 태깅 등 사람 중심 인프라와 상호작용 가능한 실내 배송 로봇.[29][27]
  • GAEMI-1 : 실외 배송·순찰용 자율주행 로봇(실외이동로봇 운행안전인증 1호).[20][21]

연구개발 및 오픈소스

[편집]

로보티즈는 ROS 기반 오픈소스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기여(TurtleBot3, OpenMANIPULATOR 등)를 통해 교육·연구 생태계 확산에 기여한다.[8][9] 또한 ‘AI Worker’ 프로젝트 등을 공개해 피지컬 AI 적용과 조작 학습(모방학습) 기반 매니퓰레이션 연구를 병행한다.[14]

규제·인증·표준화

[편집]

2019년 산업융합 규제샌드박스 실증특례를 통해 실외 주행 데이터와 안전기준 적합성 확보를 추진했으며,[18][19] 2024년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의 실외이동로봇 운행안전인증을 국내 최초로 획득하여 보도 통행 합법화를 달성했다.[20][21]

브랜딩 및 마케팅

[편집]

로보티즈는 ‘Freedom from Work’를 비전 슬로건으로 제시하고,[14] GAEMI-0·GAEMI-1이 2024년 iF 디자인 어워드 본상을 수상했다.[25][26]

재무 성과

[편집]
  • 2023년 연결 기준 매출액 291억 원, 영업손실 53억 원, 당기순손실 13억 원을 기록했다.[12]
  • 2025년 상반기에는 전년동기 대비 매출 증가와 함께 영업이익·당기순이익 흑자전환 추세를 보였다(컨센서스 기준 요약).[12]

비판과 논란

[편집]
  • 물적분할 관련 주주가치 논쟁 : 2025년 자율주행 사업부 물적분할 발표 이후 주가 변동성과 지배구조 이슈가 제기되었다.[30]
  • 대규모 유상증자에 따른 희석 우려 : 2025년 8월 유상증자 결정으로 주주배정·청약 과정과 최대주주 참여율 등이 시장의 관심사가 되었다.[15][16][17]

각주

[편집]
  1. “사업보고서(일반법인) – 로보티즈(2023.12)”. 한국거래소 공시시스템(KIND). 2024년 3월 20일. 2025년 10월 9일에 확인함. 
  2. “연혁(2018년 10월 코스닥 상장)”. ROBOTIS. 2025년 10월 9일에 확인함. 
  3. “Robotis Co., Ltd. Japan branch – Success Stories” (PDF) (영어). JETRO. 2019. 2025년 10월 9일에 확인함. 
  4. “로봇 솔루션 업체 ‘로보티즈’ 코스닥 상장”. 로봇신문. 2018년 10월 29일. 2025년 10월 9일에 확인함. 
  5. “분할보고총회에 갈음하는 공고”. ROBOTIS. 2025년 6월 2일. 2025년 10월 9일에 확인함. 
  6. “주주총회 소집공고(분할계획서 승인)”. KIND. 2025년 4월 17일. 2025년 10월 9일에 확인함. 
  7. “Contact Us” (영어). ROBOTIS. 2025년 10월 9일에 확인함. 
  8. “TurtleBot3” (영어). Open Robotics. 2025년 10월 9일에 확인함. 
  9. “OpenMANIPULATOR-X Overview” (영어). ROBOTIS e-Manual. 2025년 10월 9일에 확인함. 
  10. “ROBOTIS OP3 Introduction” (영어). ROBOTIS e-Manual. 2025년 10월 9일에 확인함. 
  11. “DYNAMIXEL DRIVE (DYD) Overview” (영어). ROBOTIS e-Manual. 2025년 10월 9일에 확인함. 
  12. “로보티즈 – 기업개요/재무(연결)”. FN가이드. 2025년 10월 9일에 확인함. 
  13. “로보티즈, 2대주주 LG전자 참여 여부 ‘촉각’”. 더벨. 2025년 8월 29일. 2025년 10월 9일에 확인함. 
  14. “Introduction to ROBOTIS AI WORKER” (영어). ROBOTIS Forum. 2025년 5월 15일. 2025년 10월 9일에 확인함. 
  15. “[정정] 유상증자결정”. KIND. 2025년 8월 28일. 2025년 10월 9일에 확인함. 
  16. “신주발행공고”. ROBOTIS. 2025년 8월 29일. 2025년 10월 9일에 확인함. 
  17. “ROBOTIS raises 100 billion won amid robot stock surge” (영어). Chosun Biz(English). 2025년 8월 28일. 2025년 10월 9일에 확인함. 
  18. “로보티즈, 일반 자율주행 로봇 배송 서비스 실시”. 로봇신문. 2021년 1월 18일. 2025년 10월 9일에 확인함. 
  19. “연혁(산업융합 규제샌드박스 실증특례)”. ROBOTIS. 2025년 10월 9일에 확인함. 
  20. “First in Korea to obtain safety certification for outdoor mobile robots” (영어). ROBOTIS US. 2024년 4월 5일. 2025년 10월 9일에 확인함. 
  21. “실외이동로봇 운행안전인증 제품 공표(GAEMI-1)”. 한국로봇산업진흥원. 2025년 3월 12일. 2025년 10월 9일에 확인함. 
  22. “ROBOTIS & Arm: Powering AI-Driven Autonomous Robots” (영어). Arm. 2025년 10월 9일에 확인함. 
  23. “DYNAMIXEL PRO H54-200-S500-R Specifications(200W급)” (영어). ROBOTIS e-Manual. 2025년 10월 9일에 확인함. 
  24. “XL-320 Specifications(소형급)” (영어). ROBOTIS e-Manual. 2025년 10월 9일에 확인함. 
  25. “GAEMI-0” (영어). iF Design. 2025년 10월 9일에 확인함. 
  26. “GAEMI-1” (영어). iF Design. 2025년 10월 9일에 확인함. 
  27. “GAEMI Indoor Delivery Robot – Hotel 사례” (영어). ROBOTIS US. 2023년 2월 7일. 2025년 10월 9일에 확인함. 
  28. “DYD-17-099” (영어). ROBOTIS. 2025년 10월 9일에 확인함. 
  29. “명동 헨나 호텔에서 만난 ‘집개미’”. ROBOTIS. 2021년 9월 1일. 2025년 10월 9일에 확인함. 
  30. “ROBOTIS stock drops post spin-off announcement; analyst commentary” (영어). Chosun Biz(English). 2025년 3월 24일. 2025년 10월 9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