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바논 민족주의



레바논 민족주의는 레바논인이 아랍권과 별도의 민족이고 레바논이라는 독립 민족 국가를 이루기 위해 투쟁해야 한다는 민족주의자들의 사상이다. 이 사상에서는 레바논인을 페니키아인들의 직계 후손으로 보고 있으며, 이는 페니키아니즘과 관련된 개념이기도 하다.
레바논 민족주의는 대단히 논쟁의 주제이고 레바논인들을 단결시키기보다는 분열시킨다고 비판받고 있기도 하다. 레바논 민족주의가 레바논의 마론교도 및 시아파 공동체에서 공감을 얻는 반면, 레바논의 수니파 무슬림들에게는 대체적으로 그렇지 못하며, 이들은 범아랍주의 및 범이슬람주의를 지지하며, 그리스 정교회 기독교인들 중 일부에서도 마찬가지이다.[2]
역사
[편집]레바논의 드루즈교 및 마론파 공동체는 무타사리프령 레바논산에서 '마론-드루즈 이중 체제'로 알려진 행정 및 사회 체제를 통해 18세기 초 현대 레바논 국가의 형성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했다.[1] 레바논 민족주의는 레바논산에서 일어났던 마론파와 드루즈교 사이에 일어났던 19세기 종교 전쟁에서 기원을 하고 있다. 레바논 민족주의는 전간기와 프랑스 위임통치령 시리아 시기 공식화 된 형태를 갖췄으며, 이 시기에 아랍 민족주의에 대한 저항 및 초창기 레바논 국가라는 존재를 정당화 하는 도구 역할을 했다.
20세기 시기, 특히 레바논 내전 때, 레바논 민족주의는 카타이브, 레바논 세력당, 국민자유당 및 백향목의 수호자, 민족 블록, 레바논 혁신당 같은 세속주의 운동 세력과 연관되었으며, 레바논 혁신당의 경우 유명한 레바논의 시인 및 철학자 사이드 아키가 이끌었다. 또한 아말 운동 같은 시아파 무슬림 사이에서도 존재했고 그 무장 조직인 레바논 저항 연대의 핵심 이념이기도 했다.[3] 최근 들어, 다종파 성향을 띠며 헤즈볼라에 종속되어 있는 레바논 저항 연대에서도 존재한다.[4] 결과적으로, 레바논 민족주의자들은 이념적으로 매우 상이하고, 어떤 동맹을 선택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견해가 크게 갈렸기 때문에 결코 하나의 블록을 이루지 못했다. 이러한 모든 차이가 결국 종파주의를 강화하는 결과를 낳았다.
레바논 민족주의는 한층 더 나아가 레바논 국경 밖 실지회복주의자들의 의견도 받아들이며 오늘 레바논 주변 옛 페니키아의 땅을 모두 통일시켜야 한다고 본다.[5] 이러한 관점은 오늘날 레바논, 시리아의 지중해 연안, 이스라엘 북부 지역이 옛 페니키아와 대략적으로 일치한다는 점과 대부분의 레바논인들이 자신들을 옛 페니키아인들과 같다고 보는 데서 기인한다.[6] 따라서, 대레바논을 주장할 때 레바논을 비롯해 시리아의 지중해 해안, 이스라엘 북부 지역을 포함한다.
유명 레바논 민족주의자
[편집]- 유세프 베이 카람 (1823–1889) - 기독교인 총독
- 엘리아스 부트루스 호아예크 (1843–1931) - 마론파 안티오키아 대주교
- 카밀 샤문 (1900–1987) - 레바논 대통령
- 피에르 게마옐 (1905–1984) - 정치인
- 사이드 아키, (1911–2014) - 시인, 철학자, 작가, 극작가, 언어 개혁가
- 다니 샤문 (1934–1990) - 정치인
- 에티엔 샤크르 (1937년 출생) - 민족주의 지도자
- 바키르 게마옐 (1947–1982) - 레바논 대통령 및 레바논 민병대 지도자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Deeb, Marius (2013). 《Syria, Iran, and Hezbollah: The Unholy Alliance and Its War on Lebanon》. Hoover Press. ISBN 9780817916664.
the Maronites and the Druze, who founded Lebanon in the early eighteenth century.
- ↑ 《Encyclopedia of Nationalism, Two-Volume Set》 (영어). Elsevier. 2000년 10월 27일. 294쪽. ISBN 978-0-08-054524-0.
- ↑ Norton, Augustus Richard (1987). 《Amal and the Shi'a: Struggle for the Soul of Lebanon》. Austin: University of Texas Press. 39쪽. ISBN 978-0292730403.
- ↑ “Christian, Sunni And Shia: Meet Hezbollah's Non-Denominational Military Branch Defending Lebanon, Fighting In Syria”. 《International Business Times》. 2015년 11월 4일.
- ↑ Reviving Phoenicia: The Search for Identity in Lebanon By Asher Kaufman
- ↑ Kamal S. Salibi, "The Lebanese Identity" Journal of Contemporary History 6.1, Nationalism and Separatism (1971:76-86).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레바논 민족주의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