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아드 (대전차미사일)
| 라아드 | |
|---|---|
라아드-T | |
| 종류 | 대전차 미사일 |
| 국가 | 이란 |
| 역사 | |
| 사용년도 | 1988–현재 |
| 사용국가 | 운용국 참조 |
| 사용된 전쟁 | 2006년 레바논 전쟁 시리아 내전 이라크 내전 |
| 개발 | KBM |
| 생산 | 파르친 미사일 산업[1] |
| 생산개수 | 4,500 (2015)[2] |
| 파생형 | 변형 참조 |
| 제원 | |
| 중량 | 10.9 kg (RAAD/I-RAAD) 23 kg (유도 시스템) |
| 길이 | 83 cm (RAAD/I-RAAD) 98 cm (RAAD-T/I-RAAD-T) |
| 사거리 | 400–3,000 m[3] |
| 탄두 | HEAT |
| 위력 | 400 mm RHA (I-RAAD-T) |
| 최고속도 | 120 m/s |
| 유도장치 | MCLOS 또는 SACLOS |
라아드(페르시아어: رعد, '천둥') 또는 RAAD는 소련의 9M14M 미사일을 기반으로 한 이란의 유선 유도 대전차 유도 미사일이다.[4][5] 라아드는 1988년부터 대량 생산을 시작하여 1997년에 공개되었다. 이란의 이란국방산업기구의 자회사인 파르친 미사일 산업에서 제조한다.[6]
라아드 계열은 기본 RAAD 미사일 (9M14M 말류트카-M (AT-3b 새거)의 복제품), SACLOS 유도 기능을 가진 I-RAAD, 탠덤 탄두를 장착한 RAAD-T, 그리고 탠덤 탄두와 SACLOS 유도 기능을 모두 갖춘 I-RAAD-T의 네 가지 변형이 있다.
RAAD는 페르시아어로 천둥을 의미한다. 약어가 아니며, 많은 출처에서는 이름을 대문자로 표기하지 않는다.
역사
[편집]이란-이라크 전쟁 동안 이란은 대전차 미사일에 대한 심각한 필요성을 느껴 AT-3 새거 미사일을 구매해야 했다.[4] 이란은 새거의 중국 버전인 HJ-73도 획득했다.[7]
자체 제조 작업은 전쟁 말기에 시작되었으며[8] 1998년에 대량 생산을 시작했다.[9] 라아드는 이란이 만든 최초의 대전차 유도 무기이다.[4] RAAD는 러시아의 지원으로 얻었다.[10]
이 무기는 1997년 4월 30일에 공개되었다.[11] RAAD는 배터리부터 유도 장치까지 9M14 말류트카와 거의 동일한 부품을 사용한다.[12]
SIPRI에 따르면, 이란은 1996년에서 2001년 사이에 1500개의 RAAD/새거 미사일을 생산하거나 수입했으며[13] 1996년에서 2004년까지는 2,250개를 생산하거나 수입했다.[14]
2015년 기준으로 이란에서 4,500개의 RAAD가 생산되었다.[2]
전투 사용
[편집]이란은 2000년대 초반 헤즈볼라에 라아드를 공급했으며, 헤즈볼라는 2006년 레바논 전쟁에서 라아드 미사일을 사용했다.[15] 이스라엘은 2002년 1월 카린 A호에서 10개의 기본형 RAAD 미사일을 압수했다.[16]
라아드는 시리아 내전에서 헤즈볼라 전투원과 시리아군에 의해 사용되었다.[17] I-RAAD 미사일은 이라크에서 ISIL 전투원들에 의해 사용되었다.[18]
2023년 10월 7일, 알-쿠드스 여단 무장단체는 가자 지구에서 이스라엘을 공격할 때 RAAD-T를 사용했다.[19]
변형
[편집]RAAD
[편집]RAAD는 러시아 9M14M 말류트카-M (나토 AT-3b "새거")의 동일한 복제품이다.[4]
RAAD-T
[편집]RAAD 미사일의 첫 번째 개량형인 RAAD-T는 반응장갑을 무력화하기 위한 탠덤 탄두를 가지고 있다.[20] 하지만 RAAD-T는 여전히 원래 RAAD의 구형 MCLOS 유도를 사용한다.[8] 수출 자료에 따르면 RAAD-T는 기본 RAAD보다 기동성이 향상되었으며[3] 반응 장갑 후 400mm RHA 관통력을 가지고 있다.[21]
I-RAAD
[편집]개량형 RAAD인 I-RAAD는 삼각대에 장착된 SACLOS 유도 시스템을 갖춘 다른 발사기를 사용하여 미사일 조준이 훨씬 쉬워졌다.[4] 특정 SACLOS 방식은 TV 차동 추적기이다.[4] 유도 장치는 중국 HJ-73 시스템[4], 특히 HJ-73C 모델과 유사하다. 1998년에 처음 목격되었다.[12] RAAD 미사일은 I-RAAD 발사기로 사용할 수 있다.[4]
이것은 ERA 장갑을 무력화하는 데 사용된다.[22]
I-RAAD-T
[편집]I-RAAD-T 시스템은 RAAD-T 미사일의 탠덤 탄두와 I-RAAD 발사기의 SACLOS 유도 시스템을 결합한다.[4] RAAD 및 I-RAAD 미사일은 I-RAAD-T 표준으로 개량될 수 있다.[3] I-RAAD-T에는 또한 미사일을 실제로 발사하지 않고도 운용자가 시스템 훈련을 받을 수 있는 시뮬레이터가 포함되어 있다.[4] 반응 장갑 후 400mm RHA 관통력을 가지고 있다.[3]
운용국
[편집]비국가 행위자
[편집]각주
[편집]- ↑ “Parchin”. 2008년 10월 15일. 2009년 1월 12일에 확인함.
- ↑ 가 나 “Iran to continue local production of Russian anti-tank missiles 9M11 and 9M113 TASS 10603161 | March 2016 Global Defense Security news industry | Defense Security global news industry army 2016 | Archive News year”. 2018년 3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3월 19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Parchin Missile Industries, I-RAAD-T brochure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AIO Raad Anti-Tank Guided Weapon (Iran), Vehicle-mounted anti-tank guided weapons”. 제인스 인포메이션 그룹. 2008년 7월 2일. 2009년 2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월 19일에 확인함.
- ↑ “This Iranian Missile Launcher is a World of Trouble”. 2021년 7월 28일. 2021년 7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Iran missile nti.org September 2021
- ↑ “Przeciwpancerne pociski kierowane Iranu cz. 1”.
- ↑ 가 나 “آشنایی با موشکهای ضد زره ایران”. 《hamshahrionline.ir》. 2012년 7월 16일.
- ↑ “Arms Deliveries to Iran and Self-Sufficiency”. Defense Intelligence Agency. 1988년 2월 24일. 2018년 6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Anthony H. Cordesman; Michael Peacock (2015년 10월 19일). 《The Arab-U.S. Strategic Partnership and the Changing Security Balance in the Gulf》. 《CSIS》. 2023년 5월 16일에 확인함.
- ↑ “Missile Chronology, 1997”. 핵위협방지구상. February 2006. 2009년 2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월 12일에 확인함.
- ↑ 가 나 “RAAD series anti-tank weapon systems (Iran), Anti-tank weapons”. 제인스 인포메이션 그룹. 2008년 12월 31일. 2009년 2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2월 20일에 확인함.
- ↑ Ракетная промышленность, Военная промышленность Ирана (러시아어). War Online. 2002년 12월 19일. 2003년 2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월 12일에 확인함.
- ↑ “Transfers and licensed production of major conventional weapons: Imports sorted by recipient. Deals with deliveries or orders made 1994-2004” (PDF). 2006년 1월 1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2월 21일에 확인함.
- ↑ Riad Kahwaji (2006년 8월 20일). “Arab States Eye Better Spec Ops, Missiles”. Ocnus.Net. 2009년 2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월 12일에 확인함.
- ↑ Kirill & Oleg Granovsky (2002년 7월 20일). “Weapons Found on 'Karine-A' and 'Santorini'”. 2003년 2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2월 20일에 확인함.
- ↑ 가 나 Yiftah S. Shapir. “Observations on Hizbollah Weaponry” (PDF). 《INSS》.
- ↑ “As ISIS Continues to Gain Ground, Here's What the Militants Have in Their Arsenal”. 《비즈니스 인사이더》.
- ↑ 가 나 “Al Quds Brigade Deploys from Gaza Iranian-made RAAD-T Anti-Tank Missil”. 2023년 10월 21일.
- ↑ “AT - 3 SAGGER / HJ-73 Hongjian (Red Arrow) Anti-Tank Guided Missile”.
- ↑ Terrorism: Documents of International and Local Control, Volume 92. Oceana Publications, 2008. p. 211
- ↑ “ODIN - OE Data Integration Network”.
- ↑ 《The Military Balance 2019》. 국제전략문제연구소. February 2019. 341쪽. ISBN 978-1857439885.
- ↑ “Common ATGMs in the Syrian Civil War”. 《Medium》. 2016년 8월 17일. 2018년 3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