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하이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
보이기
	
	
이 문서에는 생물학 분야 전문가의 참여가 필요합니다.  | 
| 이름 | |
|---|---|
| IUPAC 이름
 3β-Hydroxyandrost-5-en-17-one 
 | |
| 체계명
 (3S,8R,9S,10R,13S,14S)-3-hydroxy-10,13-dimethyl-1,2,3,4,7,8,9,11,12,14,15,16-dodecahydrocyclopenta[a]phenanthren-17-one  | |
| 별칭
 Androstenolone; Prasterone; Androst-5-en-3β-ol-17-one; 5,6-Didehydroepiandrosterone;[1] Dehydroisoepiandrosterone 
 |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 ChEBI | |
| ChEMBL | |
| ChemSpider | |
| DrugBank | |
| ECHA InfoCard | 100.000.160 | 
PubChem CID 
 | 
|
| UNII |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 성질 | |
| C19H28O2 | |
| 몰 질량 | 288.424 g/mol | 
| 녹는점 | 148.5 | 
| 약리학 | |
| QA14AA07 (WHO)  G03EA03 (combination with 에스트로겐)  | |
| By mouth, vaginal (insert), 근육 주사 (as prasterone enanthate), injection (as prasterone sodium sulfate) | |
| 약물동태학: | |
| 50%[2] | |
| Hepatic[2] | |
| DHEA: 25 minutes[3] DHEA-S: 11 hours[3]  | |
| 오줌 |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
디하이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영어: dehydroepiandrosterone, DHEA)는 부신, 생식샘, 뇌에서 분비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이다. DHEA는 부신과 다른 조직에 있는 안드로겐과 에스트로겐 성호르몬의 생합성에세 대사 중간생성물으로 기능한다. 하지만 DHEA는 다양한 잠재적 생물학적 효과를 가지고 있는데, 핵 수용체와 세포 표면 수용체 배열을 결속시키거나 신경 스테로이드와 뉴로트로핀 수용체의 조절체(modulator)로 역할한다.
각주
[편집]- ↑ Devillers J (2009년 4월 27일). 《Endocrine Disruption Modeling》. CRC Press. 339–쪽. ISBN 978-1-4200-7636-3.
 - ↑ 가 나 Cupp MJ, Tracy TS (2002년 12월 10일). 《Dietary Supplements: Toxicology and Clinical Pharmacology》.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35–쪽. ISBN 978-1-59259-303-3.
 - ↑ 가 나 Oddens BJ, Vermeulen A (1996년 11월 15일). 《Androgens and the Aging Male》. CRC Press. 5–쪽. ISBN 978-1-85070-763-9.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디하이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이 글은 생물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