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디네비토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디네비토돈
화석 범위:
쥐라기 초기 189백만년 전
생물 분류ℹ️
역: 진핵생물역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단궁강
목: 수궁목
아목: 견치아목
(미분류): 상견치류
하목: 진견치하목
(미분류): 프로바이노그나투스류
(미분류): 프로조스트로돈트류
(미분류): 포유양류
과: 트리틸로돈과
속: 디네비토돈속
하위_종
  • †D. amarali (Sues, 1986)

디네비토돈(Dinnebitodon)은 초기 쥐라기에 살았던 트리틸로돈과에 속한 견치류로, 애리조나주 북동부의 카옌타층(Kayenta Formation)에서만 발견된다. 같은 지층에서 발견된 트리틸로돈과에 속하는 다른 견치류인 카옌타테리움과 매우 유사하지만 치열의 차이로 구별된다.

특징

[편집]

디네비토돈('디네비토의 이빨'이라는 뜻[1])은 초식성 트리틸로돈과에 속하는 작은 초식성 견치류로, 머리 길이는 8cm이다.[1] 디네비토돈에 대한 특징은 카옌타테리움과 유사하다는 점 외에는 신체 구조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없다.

두개골과 턱

[편집]

지금까지 발견되어 디네비토돈으로 분류된 화석 대부분은 두개골턱뼈이다. 이 화석들의 두개골 길이는 8cm이며[1] 다른 견치류에 비해 독특하다. 상악골 양측에는 각각 세 개의 절치(앞니)가 있으며, 두 번째 절치는 9mm×7mm로[1] 크기가 크고 잘 발달되어 있다. 상악에는 디네비토돈이 생존했을 당시 사용했을 다섯 개의 뒷 송곳니(Postcanine)있으며,[1] 여섯 번째 치아는 생애 후기에 발육했을 가능성이 있다. 디네비토돈의 교합 표면에 세 줄의 교두를 가진 둥근 사각형 모양을 띤 이 치아들은 다른 두 트리틸로돈류인 카옌타테리움과 올리고키푸스의 치아와 현저히 다르다.

서식

[편집]

카옌타층은 오늘날 북부 세네갈 과 유사한 땋은 강과 모래 언덕이 있는 환경에서 퇴적되었다.[2] 디네비토돈은 육지 동물로 카옌타층의 실티 페이시스(Silty Facies)에 살았으며,[1] 이는 두 지역 사이의 강 퇴적물을 나타냈을 것이다.[2] 가까운 친척인 카옌타테리움과 함께 살았다는 점을 고려하면 먹이에 의한 경쟁에서 밀리는 것을 피하기 위해 다른 식성을 가졌기 때문에 디네비토돈이 카옌타테리움과 비슷하게 생겼지만 다른 치아를 가진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발견

[편집]

디네비토돈의 화석은 1978년 윌리엄 아마랄(William Amaral)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 디네비토돈의 화석은 하버드 비교동물학 박물관과 북부 애리조나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1]

각주

[편집]
  1. Sues, Hans-Dieter (1986년). “Dinnebitodon amarali, a new Tritylodontid (Synapsida) from the lower Jurassic of western North America.” 60: 758-762. 
  2. Harshbarger, J.; Repenning, C.; Irwin, J. (1957). “Stratigraphy of the uppermost Triassic and the Jurassic rocks of the Navajo Country.”.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Professional Paper》 291: 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