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동티모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동티모르 민주공화국
테툼어: Repúblika Demokrátika Timór-Leste
포르투갈어: República Democrática de Timor-Leste

국기

국장
표어포르투갈어: Unidade, Acção, Progresso
(통일, 행동, 진보)
국가조국
수도딜리 남위 8° 33′ 00″ 동경 125° 35′ 00″ / 남위 8.5500° 동경 125.583333°  / -8.5500; 125.583333
동티모르(동티모르)
정치
정치체제공화제, 단일국가, 단원제, 이원집정부제
대통령
총리
주제 하무스오르타
샤나나 구스망
역사
독립설립 1702년
 • 선언포르투갈로부터
1975년 11월 28일
 • 승인인도네시아로부터
2002년 5월 20일
지리
면적14,950 km2 (154 위)
시간대UTC (UTC+9)
인문
공용어테툼어, 포르투갈어
인구
2023년 어림1,354,662명 (153위)
인구 밀도89.7명/km2 (137위)
경제
GDP(PPP)2025년 어림값
 • 전체증가 $69억 7,000만[1] (169위)
 • 일인당증가 $4,920[1] (152위)
GDP(명목)2025년 어림값
 • 전체증가 $21억 2,000만[1] (183위)
 • 일인당증가 $1,490[1] (157위)
HDI0.634[2] (142위, 2023년 조사)
통화센타부, 미국 달러 (USD)
종교
종교기독교 99.8%[3]
이슬람교 0.2%
기타 0.2%
기타
ISO 3166-1626, TL, TLS
도메인.tl
국제 전화+670

동티모르 민주공화국(테툼어: Repúblika Demokrátika Timór-Lorosa'e 레푸블리카 데모크라티카 티모르로로사에, 포르투갈어: República Democrática de Timor-Leste 헤푸블리카 데모크라티카 지 티모를레스치[*], 영어: Democratic Republic of Timor-Leste), 줄여서 동티모르(테툼어: Timór Lorosa'e 티모르로로사에, 포르투갈어: Timor-Leste 티모르레스트[*], 문화어: 동부띠모르, 영어: East Timor, Timor-Leste)는 동남아시아티모르섬에 위치한 공화국이다. 지리적으로는 오세아니아아시아 간 경계인 티모르섬의 동쪽과 서티모르 북쪽의 일부, 인접 도서 지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역사

[편집]

자연 환경

[편집]

동남아시아와 남태평양 사이에 위치한 티모르섬말레이 군도 내에 있는 소순다 열도 중 가장 큰 섬으로, 소순다 열도, 술라웨시섬, 말루쿠 제도와 함께 아시아오세아니아의 경계 지역인 왈레이시아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북쪽 반다해옴바이 해협웨타르 해협, 남쪽 티모르해로 둘러싸여 있다.[5][6] 동티모르는 인도네시아와 섬을 공유하고 있으며, 해상 국경의 경우 남쪽으로는 오스트레일리아, 다른 곳으로는 인도네시아와 존재한다. 동티모르의 배타적 경제수역은 77,051km²이다.[7]

동티모르 내륙은 산악 지대이며, 비활성 화산 산맥이 섬을 따라 뻗어 있다.[8] 나라의 거의 절반은 최소 40%의 경사를 가지고 있다. 남쪽은 산악 지대가 약간 덜하고 해안선 근처에 평야가 있다. 일부 해안 지역과 강 계곡을 제외하면 토양이 얕고 침식되기 쉬우며 토양의 질이 좋지 않다. 수도이자 최대 도시는 딜리, 제2의 도시는 동부 바우카우이다.[9][10]

지리

[편집]

인도네시아 발리섬으로부터 비행기편으로 1시간 50분, 오스트레일리아 다윈으로부터 1시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동티모르는 티모르섬의 동부와 티모르섬의 서부 일부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 티모르섬은 오스트레일리아, 인도네시아가 통치하는 여러 섬에 둘러싸여 있다.

기후

[편집]

기후는 열대성으로 일년 내내 비교적 기온이 안정적이다. 전국적으로 12월부터 5월까지 우기가 지속되며 남부와 오스트레일리아의 몬순의 영향으로 내륙에서는 약간 더 오래 지속된다. 건기는 4월부터 10월까지이며, 한낮의 최고 기온은 섭씨 35도 이상으로 무덥고 오후에 접어들면 간간히 소나기가 더운 대지를 식혀준다.

행정 구역

[편집]
동티모르의 행정 구역

동티모르의 수도딜리이고, 행정 구역은 13개의 으로 이루어져 있다.

정치

[편집]

동티모르의 정체는 포르투갈 체제를 기반으로 한 이원집정부제이다. 헌법은 대통령과 총리 간의 행정권 분리와 행정부·입법부·사법부 간의 권력 분리를 확립하며, 입법부는 행정부에 대한 견제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11][12] 국민의회단원제이며, 국회의원 수는 65명이다. 주요 정당으로는 동티모르 독립혁명전선티모르 재건국민회의 등이 있다.

국가원수인 대통령은 5년 임기이며, 직선제로 선출된다. 최대 2선까지 임기를 수행할 수 있다. 대통령은 총리와 각료회의의 임명 및 해임에 대한 권한은 없으나 정부 법안에 대한 거부권, 국민투표 개시권, 정부 구성 및 예산 통과 불가능 시 의회 해산권을 가지고 있다. 정부수반인 총리는 의회에서 선출되며 대통령이 임명한다.

인구와 주민

[편집]
동티모르 원주민

주민은 말레이인이 대부분이다. 그 외 화교, 인도인, 하프카스트(포르투갈인과 말레이인의 혼혈) 등이 있다. 주요 민족은 말레이인, 포르투갈인, 테툼인 등이며, 아랍인과 파푸아인의 후손들도 있다. 인도네시아 지배의 영향으로 말레이인들이 많다.

역사적 인구
연도인구±%
1980555,350—    
1990747,557+34.6%
2001787,340+5.3%
2004923,198+17.3%
20101,066,582+15.5%
20151,183,643+11.0%
출처: 2015 census[13]

언어

[편집]

테툼어포르투갈어공용어이다. 포르투갈어는 포르투갈의 지배로 인해 사용되는데,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언어는 단연 테툼어이나 공식업무는 포르투갈어와 테툼어를 자주 사용한다. 동티모르 말레이어는 인도네시아 지배의 영향으로 인도네시아 말레이어를 사용한다. 인도네시아 지배 시절 인도네시아 정부는 동티모르 학교에 말레이어만 쓰도록 강요했다. 2002년 독립 이후 말레이어는 공용어 지위를 박탈당했으나, 현재도 실질적인 공용어로 사용되고 있으며, 테툼어와 포르투갈어가 업무어 및 완전한 공용어로 자리잡기 전까지는 이 언어가 영어와 함께 실질적인 공용어 역할을 하게 된다.

종교

[편집]

종교는 천주교가 97.79%, 개신교가 1.01%, 이슬람교가 0.44%, 힌두교가 0.06%, 불교가 0.05%, 애니미즘 등이 소수 존재한다. 가톨릭신자가 기독교인들의 대부분인 이유는 포르투갈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며, 초대 대통령이었던 샤나나 구즈망예수회에서 세운 고등학교에서 공부했다.

인도네시아 통치 시대의 1992년 조사에서는 이슬람교도가 인구의 4%를 차지하고 있었다고 여겨지지만, 독립에 의해 인도네시아 정부의 공무원 등이 동티모르에서 퇴거하면서 이슬람교도의 비율은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

한편 독립 운동 등의 정신적 지주가 되었던 로마 가톨릭교회의 신뢰도는 높아졌으며, 아시아 기독교 협의회(CCA), 세계 교회 협의회(WCC)도 인도네시아 교회의 반발에도 불구하고[14] 동티모르 독립 운동을 지원하였다.

문화

[편집]

포르투갈의 식민 지배 영향으로 포르투갈 문화적 요소가 남아 있어 축구를 좋아하고 노래와 춤을 즐기는 편이다. 또한 인도네시아 지배의 영향으로 인도네시아에서 고등교육을 받은 인사들이 동티모르 엘리트층을 구성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생필품이 인도네시아에서 유입되고 있어 경제적으로도 인도네시아 영향권 하에 위치하며, 천주교의 영향으로 대부분의 가정이 일부일처제이나, 지역에 따라 일부다처인 가정이 1%에서 11%사이에 분포된다.

동티모르의 공영 방송이자 라디오 및 텔레비전 방송국인 라디오 텔레비전 동티모르(RTTL)가 존재한다.

교육

[편집]

기본적으로 현지어인 테툼어로 교육이 진행되나, 포르투갈의 지원으로 약간의 포르투갈어 교육도 진행된다. 교육제도는 초등학교 6년, 중, 고교 3년, 대학 4년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학교로는 국립 대학인 동티모르 대학교와 사립 대학인 딜리 대학교가 있다.

경제

[편집]

동티모르 경제의 85%가 농업 부분에 종사하며 국민총생산에 차지하는 비율이 32%에 불과하다. 또한 자본, 노동력, 기술, 인프라가 부족하다. 동티모르의 1인당 국민 소득은 2000달러 남짓이다. 1999년말, 동티모르의 경제 인프라의 약 70%는 인도네시아 정부군과 독립에 반대하는 민병대에 의하여 파괴되어 경제력이 침체되었다가 2005년 이후 석유, 천연가스 사용료 수입이 본격적으로 유입하기 시작하면서 경제가 회복세로 전환되었으나, 2006년 경제성장이 -5.8%였다가 2007년에는 제조업과 서비스업이 활기를 띄어 8.4%를 기록하였고, 2008년 12.8%, 2009년 7.2% 성장을 하였다.

공식 통화는 US 달러이다. 특히 1센트에서 1달러 까지는 동티모르 최초의 동전이 존재한다.

농업

[편집]

동티모르는 또한 대규모의, 그리고 수익성이 좋을 것으로 기대되는 커피 산업이 발달해 있으며, 수많은 공정 무역 소매 상인들 및 공개 시장유기농 커피를 판매하고 있다.

대외 관계

[편집]

대한민국과 관계

[편집]

대한민국과는 독립 연도인 2002년에 외교관계를 맺었으며 2002년 8월에는 수도 딜리에 주동티모르 한국대사관이 설립되었다. 1999년 상록수부대가 동티모르 현지에 파병되어 치안, 질서유지와 구호품 전달 등을 지원하였으며, 2009년까지 활동하였다.[15] 대한민국에서는 동티모르에 국제평화유지군으로 상록수부대가 파병했다. 2003년 상록수부대에서 5명이 평화활동을 펼치는 도중 순직하는 참변이 발생하였다. 서티모르내 동티모르 행적구역인 오에쿠시(Oecusse) 부대쪽에 발전기 고장이 발생하여 발전기 수리를 위해 5명이 지프차를 타고 그곳으로 향해 마른 강을 건너는 도중 갑자기 상류에서 급류가 밀려와 순식간에 전원 순직했다.[16][17][18]

일본

[편집]

일본은 동티모르에 자위대유엔 평화유지군으로서 파견하였다.

아세안

[편집]

동티모르는 동티모르의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 가입을 신청하였으며, 현재 옵서버 자격을 얻은 상태이다.

각주

[편집]
  1.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April 2025 Edition”. 《www.imf.org》. 국제 통화 기금. 2025년 4월 22일. 2025년 5월 26일에 확인함. 
  2. “Human Development Report 2025” (PDF) (영어). 유엔 개발 계획. 2025년 5월 6일. 2025년 5월 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5년 5월 6일에 확인함. 
  3. 가톨릭 99.6%, 개신교 2%
  4. 리더스 다이제스트에 따르면 인도네시아가 동티모르를 지배하던 시절 인도네시아 정부에서는 초등학교 학예회에서조차 인도네시아어만 쓰게 하였다.
  5. Berlie, Jean A. (2017년 10월 1일). 〈A Socio-Historical Essay: Traditions, Indonesia, Independence, and Elections〉. 《East Timor's Independence, Indonesia and ASEAN》. Springer. ISBN 9783319626307. 2023년 3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5월 18일에 확인함. 
  6. “Timor-Leste : Country Environmental Analysis”. World Bank Group. July 2009. hdl:10986/28126. 2022년 7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5월 24일에 확인함. 
  7. “Catches by Taxon in the waters of Timor Leste”. Sea Around Us. 2016년 2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5월 15일에 확인함. 
  8. Lundahl, Mats; Sjöholm, Fredrik (2019년 7월 17일). 《The Creation of the East Timorese Economy: Volume 1: History of a Colony》. Springer. ISBN 9783030194666. 2023년 3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5월 25일에 확인함. 
  9.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Molnar2009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10. “Mount Ramelau”. Gunung Bagging. 2015년 4월 10일. 2017년 4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2월 18일에 확인함. 
  11. Neto, Octávio Amorim; Lobo, Marina Costa (2010). “Between Constitutional Diffusion and Local Politics: Semi-Presidentialism in Portuguese-Speaking Countries”. 《APSA 2010 Annual Meeting Paper》. SSRN 1644026. 2014년 10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5월 6일에 확인함. 
  12. Shoesmith, Dennis (2020년 1월 24일). “Party Systems and Factionalism in Timor-Leste”. 《Journal of Current Southeast Asian Affairs》 39 (1): 167–186. doi:10.1177/1868103419889759. S2CID 214341149. 
  13. “East Timor: Administrative Division”. City population. 
  14. 신학 월간지인 기독교 사상 기사에 의하면 아시아 기독교 협의회가 동티모르 독립 운동을 지지하자 인도네시아 교회 관계자들이 아시아 교회 협의회 총회에서 집단으로 이탈하는 등 상당한 불쾌감을 드러냈다.
  15. “동티모르 상록수부대 4년만에 철수”. 2003년 10월 15일. 2024년 6월 17일에 확인함. 
  16. “상록수부대 순직장병 순직 21주년 추모식 상세보기|대사관 소식주동티모르 대한민국 대사관”. 2024년 6월 17일에 확인함. 
  17. “동티모르서 순직 상록수부대 장병 5명, 19년 만에 훈장 받는다”. 2024년 6월 17일에 확인함. 
  18. 박의래 (2022년 8월 5일). "아버지 희생이 씨앗되길"…동티모르 찾은 순직 한국군 유가족들”. 2024년 6월 1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