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부대로 (남해군)
보이기
| 일반 국도 | |
|---|---|
|
3 77 | |
| 동부대로 | |
| 국도 제3호선의 일부 국도 제77호선의 일부 | |
| 총연장 | 31km |
| 기점 | 경상남도 남해군 미조면 |
| 주요 경유지 |
경상북도 남해군 |
| 종점 | 경상북도 남해군 창선면 |
| 주요 교차도로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5호선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77호선 지방도 제1024호선 |
동부대로(Dongbu-daero)은 경상남도 남해군 미조면 초전삼거리와 창선면 창선·삼천포대교를 잇는 경상남도의 도로이다.
역사
[편집]- 1981년 6월 24일 : 국도 제3호선 기점이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으로 연장되면서 국도 제3호선의 일부가 됨.[1]
- 1996년 7월 1일 : 국도 제3호선 기점이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에서 '경상남도 남해군 미조면'으로 변경됨.[2]
- 1999년 4월 28일 : 창선우회도로(남해군 창선면 당저리 ~ 동대리) 2.7km 구간 개통, 기존 380m 구간 폐지[3]
- 2009년 7월 2일 : 2개 이상 시·군에 걸쳐 있는 도로로 동부대로를 고시[4]
주요 경유지
[편집]노선
[편집]| 이름[5]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 초전삼거리 |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77호선 (남해대로) |
남해군 | 미조면 | 국도 제3, 77호선 구간 |
| 대지교 | 삼동면 | |||
| 물건마을 | 독일로 | |||
| 삼동초등학교 | 봉화로 | |||
| 동천교 | ||||
| (둔촌) | 금송로 | |||
| (금송) | 금송로 | |||
| 지족삼거리 | 지방도 제1024호선 (삼이로) 동부대로1858번길 |
국도 제3, 77호선 구간 지방도 제1024호선 구간 | ||
| 창선교 | ||||
| 창선면 | ||||
| 지족삼거리 | 지방도 제1024호선 (서부로) 동부대로1932번길 | |||
| 당저리 | 창선로 | 국도 제3, 77호선 구간 상행 진입 불가 하행 진출 불가 | ||
| 당저교 | 지방도 제1024호선 국도 제5호선 (흥선로) 창선로66번길 |
국도 제3, 77호선 구간 | ||
| 창선천교 | ||||
| 상신교 | 창선로 | |||
| 동대리 | 창선로 한재로 | |||
| 당항리 | 율도로 | |||
| 단항회전 교차로 | 지방도 제1024호선 (서부로) 동부대로2964번길 | |||
| 단항교 | ||||
| 창선대교 | ||||
| 삼천포대교로와 직결 | ||||
주요 건물 및 시설
[편집]- 미조119지역대 (경상남도 남해군 미조면 동부대로 25)
- 가인포보건진료소 (경상남도 남해군 미조면 동부대로 461)
- 해오름예술촌 (구 물건초등학교,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 동부대로 995)
- 삼동초등학교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 동부대로 1296)
- 남해청소년수련원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 동부대로 1542-35)
- 삼동119안전센터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 동부대로 1795)
- 남수중학교, 경남해양과학고등학교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 동부대로 1810)
- 삼동면종합복지회관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 동부대로 1830)
- 창선치안센터 (경상남도 남해군 창선면 동부대로 3017)
각주
[편집]- ↑ 대통령령 제1037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1981년 6월 24일 일부개정.
- ↑ 대통령령 제1510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1996년 7월 1일 일부개정.
- ↑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89호, 제1999-90호, 1999년 4월 30일.
- ↑ 경상남도고시 제2009-345호, 2009년 7월 2일.
- ↑ 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외부 링크
[편집]- 동부대로 ― 도로명주소 안내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