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미니카윗수염박쥐
보이기
|
| |
|---|---|
| 생물 분류ℹ️ |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포유강 |
| 목: | 박쥐목 |
| 과: | 애기박쥐과 |
| 아과: | 윗수염박쥐아과 |
| 속: | 윗수염박쥐속 |
| 종: | 도미니카윗수염박쥐 (M. dominicensis) |
| 학명 | |
| Myotis dominicensis | |
| Miller, 1902 | |
| 도미니카윗수염박쥐의 분포 | |
도미니카윗수염박쥐의 분포 지역 | |
| 보전상태 | |
|
| |
도미니카윗수염박쥐(Myotis dominicensis)는 애기박쥐과 윗수염박쥐속에 속하는 박쥐이다.[2] 도미니카 연방과 과들루프에서 발견된다.[1]
특징
[편집]작은 박쥐로 몸길이가 35.4~40mm, 전완장이 34~36mm이다. 꼬리 길이는 29.9~34mm이고 발 길이 6~8mm, 귀 길이는 10~11.4mm이다.[3][4]
생태
[편집]수백 마리씩 무리를 지어 동굴 속에 은신한다. 먹이는 곤충이다. 도미니카 연방 섬에서 4월 중순 전에 임신한 암컷이 포획된 기록이 있다.
분포 및 서식지
[편집]카리브해의 도미니카 연방과 과들루프에서만 알려져 있다.
계통 분류
[편집]다음은 윗수염박쥐속의 계통 분류이다.[5]
| 윗수염박쥐속 |
| ||||||||||||||||||||||||||||||||||||||||||||||||||||||||||||||||||||||||||||||||||||
각주
[편집]- ↑ 가 나 “Myotis dominicensis” (영어).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14.2판》.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08. 2014년 12월 15일에 확인함.
- ↑ Simmons, N.B. (2005). 〈SPECIES Myotis dominicensis〉 3판 (영어). Wilson, D.E.; Reeder, D.M (편집).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312–529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Gerrit S. Miller Jr. & Glover M. Allen, The American Bats of the Generate Myotis and Pizonyx , in Bulletin of the United States National Museum , No. 144, 1928.
- ↑ Roxanne J. Larsen, Peter A. Larsen, Hugh H. Genoways, Francois M. Catzeflis & Keith Geluso, Evolutionary history of Caribbean species of Myotis, with evidence of a third Lesser Antillean endemic , in Mammalian Biology , vol. 77, 2012, pp. 124-134.
- ↑ Stadelmann, B., Lin, L.-K., Kunz, T.H. and Ruedi, M. 2007. Molecular phylogeny of New World Myotis (Chiroptera, Vespertilionidae) inferred from mitochondrial and nuclear DNA genes (subscription required).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43(1):3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