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곡쌍용예가아파트
도곡쌍용예가아파트 | |
---|---|
기본 정보 | |
위치 | ![]() |
좌표 | 북위 37° 29′ 15.6″ 동경 127° 02′ 19.3″ / 북위 37.487667° 동경 127.038694° |
상태 | 완공 |
완공 | 2011년 5월 |
개장 | 2011년 5월 |
용도 | 주거 |
건축 정보 | |
건축회사 | ![]() |
건축 내역 | |
층수 | 지상 12층 |
도곡쌍용예가아파트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에 위치한 아파트 단지다. 101동부터 105동까지 다섯 동으로 되어 있고, 모두 1층부터 12층까지이다. 세대는 총 384세대이다. 2011년 5월에 완공하여 입주를 시작했다. 한때 도곡쌍용예가 클래식 아파트로 불렸다.
역사
[편집]원래 이 자리에는 1978년에 완공한 동신아파트가 있었고, '가'동부터 '바'동까지 여섯 동, 총 474세대였다.[2] 당초 동신아파트의 재건축조합은 삼성물산 건설부문과 재건축을 추진했다. 하지만 2004년 7월 주민총회를 열어 재건축조합을 해산했다. 여섯 동 중에서 일(一)자 모양이던 '가'동부터 '마'동까지 다섯 동은 리모델링조합을 구성하여 쌍용건설을 통해 리모델링하여 2011년 5월 완공하였다. 그것이 지금의 도곡쌍용예가아파트이다.[3]
쌍용건설은 동신아파트의 벽체, 기둥, 보의 양을 늘려 내진 성능을 높이는 대신 모든 층의 주요 벽체 아래 위에 가로, 세로 약 1미터, 두께 1.2 센티미터의 철판을 설치하고, 그 사이에는 지진충격파 진동을 흡수하는 장치인 댐퍼(damper)를 시공하는 기술을 적용했다. 신축 아파트의 내진설계 기준이 진도 6인데, 도곡쌍용예가아파트는 진도 6.5~7의 지진을 견딜 수 있게 되었다. 복도식이던 동신아파트를 리모델링하면서 계단식으로 바꾸었고, 침실과 욕실을 하나씩 더 늘렸고, 안방에 드레스룸을 추가했다. 앞뒤로 증축하여 내부가 어두워지는 점을 감안하여 중정(中庭)을 통해 집 중간에 자연채광을 넣었다. 지하에 주차장을 2개 층 만들어서, 주차 대수를 181대에서 414대로 늘렸고, 지하주차장까지 엘리베이터를 연결하였다. 각 동의 지하 1층에는 가구별 락커룸, 문고, 회의실, 실버센터 등을 만들었다.[4]
동신아파트의 '가'동부터 '마'동은 모두 12층이었다. 리모델링을 통해 만들어진 101동에서 104동은 원래의 12층을 그대로 유지하였다. 105동은 맨 위에 한 층을 증축하되, 맨 아래 한 층을 필로티로 변경함으로써, 실제 거주하는 부분은 12층으로 유지하였다.[5]
한편 동신아파트의 여섯 동 중에서 마지막 '바'동은 기역(ㄱ)자 모양이라서 리모델링이 적합하지 않았다. 이 동의 주민들로 구성된 재건축조합은 한라건설을 통해 이 동과 동신아파트 단지 내 상가 건물을 재건축하여 2016년 5월 완공하였다. 그것이 지금의 도곡 한라비발디이다.[6]
주요 정보
[편집]다음은 도곡쌍용예가아파트의 주요 정보이다.[7]
- 시공사: 쌍용건설(주)
- 시행사: 도곡동신아파트리모델링주택조합
- 건물구조: 철골 철근 콘크리트 구조
- 연면적: 77,270.12㎡
- 주거전용면적: 42,932.4㎡
- 용적률: 298% (= 연면적 / 대지면적)
- 건폐율: 30% (= 건축면적 / 대지면적)
- 총 세대수: 384세대
- 총 주차대수: 414대 (= 지상 59대 + 지하 355대)
- 세대당 주차대수: 1.08대 ( = 주차대수 / 세대수 = 414 / 384)
- 급수 방식: 부스타방식
- 수전용량(受電容量): 2,250 kW (한국전력공사와 계약한 변압기 용량)
- 통합 에너지 사용량: 130.0 kWh/㎡
- 건축물 연간 에너지 사용량 등급: B등급
- 난방: 지역난방, 열병합
- 화재 수신반 방식: R형
- 관리사무소 연락처: 전화 02-3461-0072, 팩스 02-3461-0073
단지 구성
[편집]다음은 도곡쌍용예가아파트의 단지 구성이다. 현관 구조는 모두 계단식이다.[8][9][10]
구분 | 층 | 라인 | 세대수 | 높이 | 연면적 | 이 동이 포함한 면적 유형 |
---|---|---|---|---|---|---|
101동 | 1~12층 | 1~7라인 | 84세대 | 34.5m | 12,351.20㎡ | 84A1㎡, 132B1㎡, 132B2㎡, 132B3㎡, 136C1㎡, 171D㎡ |
102동 | 1~12층 | 1~7라인 | 84세대 | 34.5m | 12,144.59㎡ | 83A2㎡, 132B2㎡, 137C2㎡, 137C3㎡ |
103동 | 1~12층 | 1~7라인 | 84세대 | 34.5m | 12,110.59㎡ | 83A2㎡, 132B2㎡, 137C2㎡, 137C3㎡ |
104동 | 1~12층 | 1~9라인 | 108세대 | 34.5m | 16,001.40㎡ | 83A2㎡, 132B2㎡, 137C2㎡, 171D㎡ |
105동 | 1~12층 | 1~2라인 | 24세대 | 37.4m | 6,123.33㎡ | 232E㎡ |
지하주차장 | 2개 층 | - | - | - | 16,131.59㎡ | - |
경비실 | - | - | - | 3.54m | 20.01㎡ | - |
기계·전기실 | - | - | - | - | 718.47㎡ | - |
정화조관리실 | - | - | - | - | 129.89㎡ | - |
면적 유형
[편집]다음은 도곡쌍용예가아파트의 면적 유형이다. 현관 구조는 모두 계단식이다.
유형 구분 | 공급면적 | 전용면적 | 전용률 | 방수/욕실수 | 세대수 | 이 유형이 포함된 동 |
---|---|---|---|---|---|---|
84A1㎡ | 84.44㎡ | 66.95㎡ | 79% | 3개/2개 | 12세대 | 101동 |
83A2㎡ | 83.52㎡ | 66.00㎡ | 79% | 3개/2개 | 36세대 | 102동, 103동, 104동 |
132B1㎡ | 132.85㎡ | 108.40㎡ | 82% | 4개/2개 | 12세대 | 101동 |
132B2㎡ | 132.63㎡ | 107.53㎡ | 81% | 4개/2개 | 192세대 | 101동, 102동, 103동, 104동 |
132B3㎡ | 132.30㎡ | 108.20㎡ | 82% | 4개/2개 | 12세대 | 101동 |
136C1㎡ | 136.95㎡ | 112.86㎡ | 79% | 4개/2개 | 12세대 | 101동 |
137C2㎡ | 137.71㎡ | 112.13㎡ | 81% | 4개/2개 | 36세대 | 102동, 103동, 104동 |
137C3㎡ | 137.75㎡ | 112.92㎡ | 82% | 4개/2개 | 24세대 | 102동, 103동 |
171D㎡ | 171.65㎡ | 142.77㎡ | 83% | 4개/2개 | 24세대 | 101동, 104동 |
232E㎡ | 232.86㎡ | 207.52㎡ | 89% | 4개/3개 | 24세대 | 105동 |
주변 환경
[편집]다음은 도곡쌍용예가아파트로부터 1킬로미터 이내에 있는 시설 또는 기관이다.
- 도로는 동쪽에 논현로, 서쪽에 강남대로, 남쪽에 남부순환로, 북쪽에 도곡로와 역삼로가 있다.
- 지하철역은 남쪽에 서울 지하철 3호선의 양재역(서초구청), 매봉역이 있다.
- 공원은 북서쪽에 싸리고개근린공원, 동쪽에 도곡근린공원, 남서쪽에 말죽거리공원 등이 있다.
- 도서관은 도곡정보문화도서관이 있다.
- 다음은 주민이 다니거나, 또는 거리가 가까운 학교이다.
- 초등학교는 보통 가까운 서울언주초등학교에 다닌다. 1킬로미터 이내에 서울역삼초등학교도 있다.
- 중학교는 보통 가까운 은성중학교(구 은광여자중학교)나 도곡중학교에 다닌다. 그밖에 1킬로미터 이내에 대치중학교도 있다.
- 고등학교는 보통 가까운 은광여자고등학교나 1킬로미터 이상 떨어진 단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줄여서 단대부고),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줄여서 중대부고), 중산고등학교 등에 다닌다. 그밖에 1킬로미터 이내에 서초구의 양재고등학교, 서초문화예술정보학교가 있다.
- 그밖에 1킬로미터 이내에 코리아외국인학교, 서울외국어대학원대학교, KAIST 도곡캠퍼스가 있다.
- 다음은 가까운 지방자치단체 관공서이다.
- 다음은 가까운 중앙행정기관 관공서이다.
- 사법부의 서울가정법원과 서울행정법원이 있다.
- 대학병원인 연세대학교 강남세브란스병원이 있다.
각주
[편집]- ↑ 지번 주소로 101동부터 103동은 도곡동 933번지이고, 104동과 105동은 도곡동 902-8번지이다. 도곡동 893-16번지와 902-10번지도 아파트 단지 내에 있는데, 이 두 번지는 지금 작은 화단이다.
- ↑ 동신아파트의 준공일(지금의 사용승인일)은 1978년 12월 26일이었다.
- ↑ 이유진 (2011년 6월 24일). “<도곡동 리모델링, 1개동만 빠진 까닭은>”. 연합뉴스. 2020년 1월 28일에 확인함.
- ↑ 최종훈 (2011년 6월 28일). “예전엔… 복도식서 계단식 바꿨다. 요즘은… 내진설계 리모델링한다”. 한겨레. 2020년 1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월 28일에 확인함.
- ↑ 김병조 (2011년 7월 25일). “도곡동 쌍용 예가, 쌍용건설 3번째 리모델링 명작”. 하우징헤럴드. 2020년 1월 28일에 확인함.
- ↑ 김대도 (2014년 5월 16일). “도곡 한라비발디 선착순 분양…3.3㎡당 2천400만원”. 연합인포맥스. 2020년 1월 28일에 확인함.
- ↑ “국토교통부/한국감정원의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 K-apt'”. 2020년 1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월 30일에 확인함.
- ↑ 네이버 부동산: 도곡쌍용예가
- ↑ Daum 부동산: 도곡쌍용예가
- ↑ 각 동의 높이와 연면적의 출처는 건축도시정책정보센터의 '우리집 내진설계 간편조회 서비스'에 나오는 정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