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 전라남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
전라남도

← 1967년
1971년 4월 27일

 
후보 김대중 박정희
정당 신민당 민주공화당
득표수 874,974 479,737
득표율 62.80% 34.43%

선거전 대통령

박정희
민주공화당

대통령 당선자

박정희
민주공화당

이 문서는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전라남도 지역 개표 결과이다.

개표 결과

[편집]

광주시 갑

[편집]
유권자수: 95,194명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김대중 신민당 55,334표
78.43%
박정희 민주공화당 14,534표
20.60%
진복기 정의당 516표
0.73%
박기출 국민당 116표
0.16%
이종윤 자민당 51표
0.07%
합계 70,551표

광주시 을

[편집]
유권자수: 133,677명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김대중 신민당 76,113표
74.35%
박정희 민주공화당 24,769표
24.19%
진복기 정의당 1,254표
1.22%
박기출 국민당 163표
0.15%
이종윤 자민당 71표
0.06%
합계 102,370표

목포시

[편집]
유권자수: 77,560명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김대중 신민당 38,780표
66.45%
박정희 민주공화당 18,889표
32.37%
진복기 정의당 566표
0.96%
박기출 국민당 89표
0.15%
이종윤 자민당 28표
0.04%
합계 58,352표

여수시

[편집]
유권자수: 53,183명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김대중 신민당 26,400표
65.44%
박정희 민주공화당 13,395표
33.20%
진복기 정의당 410표
1.01%
박기출 국민당 106표
0.26%
이종윤 자민당 29표
0.07%
합계 40,340표

여천군

[편집]
유권자수: 73,305명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김대중 신민당 29,192표
52.46%
박정희 민주공화당 25,103표
45.11%
진복기 정의당 1,045표
1.87%
박기출 국민당 229표
0.41%
이종윤 자민당 74표
0.13%
합계 55,643표

순천시

[편집]
유권자수: 40,552명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김대중 신민당 22,256표
69.49%
박정희 민주공화당 9,125표
28.49%
진복기 정의당 511표
1.59%
박기출 국민당 85표
0.26%
이종윤 자민당 49표
0.15%
합계 32,026표

승주군

[편집]
유권자수: 68,793명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김대중 신민당 31,378표
60.30%
박정희 민주공화당 18,827표
36.18%
진복기 정의당 1,512표
2.90%
박기출 국민당 216표
0.41%
이종윤 자민당 102표
0.19%
합계 52,035표

장성군

[편집]
유권자수: 57,410명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김대중 신민당 26,873표
63.97%
박정희 민주공화당 13,298표
31.65%
진복기 정의당 1,618표
3.85%
박기출 국민당 131표
0.31%
이종윤 자민당 84표
0.19%
합계 42,004표

담양군

[편집]
유권자수: 55,913명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김대중 신민당 26,482표
66.33%
박정희 민주공화당 12,058표
30.20%
진복기 정의당 1,158표
2.90%
박기출 국민당 149표
0.37%
이종윤 자민당 76표
0.19%
합계 39,923표

화순군

[편집]
유권자수: 66,384명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김대중 신민당 24,451표
49.39%
박정희 민주공화당 23,453표
47.37%
진복기 정의당 1,332표
2.69%
박기출 국민당 157표
0.31%
이종윤 자민당 112표
0.22%
합계 49,505표

곡성군

[편집]
유권자수: 47,251명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박정희 민주공화당 19,269표
53.99%
김대중 신민당 15,598표
43.70%
진복기 정의당 687표
1.92%
박기출 국민당 86표
0.24%
이종윤 자민당 46표
0.12%
합계 35,686표

광양군

[편집]
유권자수: 44,755명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김대중 신민당 20,917표
60.50%
박정희 민주공화당 12,835표
37.12%
진복기 정의당 599표
1.73%
박기출 국민당 154표
0.44%
이종윤 자민당 66표
0.19%
합계 34,571표

구례군

[편집]
유권자수: 35,019명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김대중 신민당 14,750표
53.17%
박정희 민주공화당 12,286표
44.29%
진복기 정의당 544표
1.96%
박기출 국민당 112표
0.40%
이종윤 자민당 44표
0.15%
합계 27,736표

고흥군

[편집]
유권자수: 111,285명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김대중 신민당 41,724표
49.35%
박정희 민주공화당 40,955표
48.44%
진복기 정의당 1,540표
1.82%
박기출 국민당 236표
0.27%
이종윤 자민당 89표
0.10%
합계 84,544표

보성군

[편집]
유권자수: 80,010명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김대중 신민당 34,860표
59.78%
박정희 민주공화당 21,454표
36.79%
진복기 정의당 1,630표
2.79%
박기출 국민당 250표
0.42%
이종윤 자민당 119표
0.20%
합계 58,313표

장흥군

[편집]
유권자수: 64,720명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김대중 신민당 30,665표
63.57%
박정희 민주공화당 16,012표
33.19%
진복기 정의당 1,396표
2.89%
박기출 국민당 101표
0.20%
이종윤 자민당 58표
0.12%
합계 48,232표

영암군

[편집]
유권자수: 60,959명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김대중 신민당 28,614표
63.19%
박정희 민주공화당 15,485표
34.19%
진복기 정의당 940표
2.07%
박기출 국민당 165표
0.36%
이종윤 자민당 78표
0.17%
합계 45,282표

강진군

[편집]
유권자수: 56,331명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김대중 신민당 25,995표
62.98%
박정희 민주공화당 14,059표
34.06%
진복기 정의당 1,023표
2.47%
박기출 국민당 132표
0.31%
이종윤 자민당 62표
0.15%
합계 41,271표

완도군

[편집]
유권자수: 68,576명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김대중 신민당 30,210표
59.81%
박정희 민주공화당 18,622표
36.87%
진복기 정의당 1,385표
2.74%
박기출 국민당 197표
0.39%
이종윤 자민당 93표
0.18%
합계 50,507표

해남군

[편집]
유권자수: 96,172명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김대중 신민당 46,808표
63.97%
박정희 민주공화당 24,187표
33.05%
진복기 정의당 1,709표
2.33%
박기출 국민당 337표
0.46%
이종윤 자민당 124표
0.16%
합계 73,165표

무안군

[편집]
유권자수: 61,819명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김대중 신민당 31,176표
68.02%
박정희 민주공화당 12,951표
28.26%
진복기 정의당 1,427표
3.11%
박기출 국민당 171표
0.37%
이종윤 자민당 103표
0.22%
합계 45,828표

신안군

[편집]
유권자수: 77,225명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김대중 신민당 34,926표
66.48%
박정희 민주공화당 15,506표
29.51%
진복기 정의당 1,768표
3.36%
박기출 국민당 211표
0.40%
이종윤 자민당 118표
0.22%
합계 52,529표

나주군

[편집]
유권자수: 107,051명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김대중 신민당 56,312표
71.64%
박정희 민주공화당 19,562표
24.88%
진복기 정의당 2,359표
3.00%
박기출 국민당 230표
0.29%
이종윤 자민당 138표
0.17%
합계 78,601표

광산군

[편집]
유권자수: 62,261명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김대중 신민당 31,845표
67.14%
박정희 민주공화당 14,385표
30.33%
진복기 정의당 1,018표
2.14%
박기출 국민당 109표
0.22%
이종윤 자민당 71표
0.14%
합계 47,428표

영광군

[편집]
유권자수: 69,599명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김대중 신민당 26,713표
55.51%
박정희 민주공화당 19,431표
40.38%
진복기 정의당 1,736표
3.60%
박기출 국민당 145표
0.30%
이종윤 자민당 91표
0.18%
합계 48,116표

함평군

[편집]
유권자수: 59,171명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김대중 신민당 28,400표
66.53%
박정희 민주공화당 12,312표
28.84%
진복기 정의당 1,715표
4.01%
박기출 국민당 167표
0.39%
이종윤 자민당 92표
0.21%
합계 42,686표

진도군

[편집]
유권자수: 48,343명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김대중 신민당 18,202표
50.64%
박정희 민주공화당 16,975표
47.23%
진복기 정의당 588표
1.63%
박기출 국민당 118표
0.32%
이종윤 자민당 54표
0.15%
합계 35,937표

전체 결과

[편집]
유권자수: 1,872,518명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김대중 신민당 874,974표
62.80%
박정희 민주공화당 479,737표
34.43%
진복기 정의당 31,986표
2.29%
박기출 국민당 4,362표
0.31%
이종윤 자민당 2,122표
0.15%
합계 1,393,181표

신민당 김대중 후보가 62.80%의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민주공화당의 박정희 후보와 큰 격차를 벌리는데 성공하며 전라남도에서 승리를 가져갔다. 이로서 전라남도는 야당이 2년 연속으로 승리를 한 지역이 되었으며 지난 대선에 비해 격차가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는 34.43%의 득표율로 2위에 머물렀다. 박정희 후보는 직전 대선에 비해 10%가량 득표율이 떨어지면서 고전했다.

주요 후보 결과

[편집]
지역 박정희 김대중
득표수 득표율 득표수 득표율
광주시 14,534 20.60% 55,334 78.43%
광주시 24,769 24.19% 76,113 74.35%
목포시 18,889 32.37% 38,780 66.45%
여수시 13,395 33.20% 26,400 65.44%
여천군 25,103 45.11% 29,192 52.46%
순천시 9,125 28.49% 22,256 69.49%
승주군 18,827 36.18% 31,378 60.30%
장성군 13,298 31.65% 26,873 63.97%
담양군 12,058 30.20% 26,482 66.33%
화순군 23,453 47.37% 24,451 49.39%
곡성군 19,269 53.99% 15,598 43.70%
광양군 12,835 37.12% 20,917 60.50%
구례군 12,286 44.29% 14,750 53.17%
고흥군 40,955 48.44% 41,724 49.35%
보성군 21,454 36.79% 34,860 59.78%
장흥군 16,012 33.19% 30,665 63.57%
영암군 15,485 34.19% 28,614 63.19%
강진군 14,059 34.06% 25,995 62.98%
완도군 18,622 36.87% 30,210 59.81%
해남군 24,187 33.05% 46,808 63.97%
무안군 12,951 28.26% 31,176 68.02%
신안군 15,506 29.51% 34,926 66.48%
나주군 19,562 24.88% 56,312 71.64%
광산군 14,385 30.33% 31,845 67.14%
영광군 19,431 40.38% 26,713 55.51%
함평군 12,312 28.84% 28,400 66.53%
진도군 16,975 47.23% 18,202 50.64%

신민당 김대중 후보가 전라남도의 거의 모든 지역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김대중 후보는 승리한 지역에서도 대부분 과반이 넘는 득표율을 보여주었으며 광주시갑, 광주시을, 나주군 등지에서는 70%가 넘는 압도적인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전라남도에서 완승을 거두었다.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는 매우 부진했다. 박정희 후보는 곡성군 지역에서만 승리를 기록했으며 일부 지역에서만 40% 이상의 득표율을 올리는데 성공했다. 또한 광주시갑, 광주시을, 순천시, 나주군, 함평군 등지에서는 20%대의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고전했다.

같이 보기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