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로펌
보이기
대한민국의 로펌은 1958년 김장리 합동법률사무소가 그 시초로, 시장이 개방되지 않아 국내 자본으로만 생겨나다 한EU 자유 무역 협정 타결로 외국계 로펌이 진출할 수 있게 되었다. 2017년 3월 한미 전면 개방이 이루어진다. 현재 19개의 외국 로펌이 진출하였다.[1]
미국 로펌으로는 현재 폴 헤이스팅스, 롭스 앤 그레이, 화이트 앤 케이스, 클리어리 가틀립, 스캐든 압스 등이 한국에 사무소를 두고 있다. 2015년 법무부의 설립인가를 받은 외국 로펌은 21개이다.
변호사 별 순위
[편집]변호사 수
[편집]2022년 4월 30일 한국변호사 숫자를 기준으로 한 순위는 다음과 같다.[2]
- 김앤장 법률사무소 (909명)
- 법무법인 광장 (531명)
- 법무법인 태평양 (493명)
- 법무법인 세종 (467명)
- 법무법인 율촌 (382명)
- 법무법인 화우 (316명)
- 법무법인 지평 (238명)
- 법무법인 바른 (215명)
- 법무법인 대륙아주 (210명)
- 법무법인 동인 (179명)
외국 변호사 수
[편집]현재 외국 변호사 숫자를 기준으로 한 순위는 다음과 같다.
- 김앤장 법률사무소 (154명)
- 법무법인 세종 (42명)
- 법무법인 지평 (41명)
- 법무법인 태평양 (36명)
- 법무법인 광장 (35명)
- 법무법인 율촌 (30명)
- 법무법인 화우 (21명)
1세대 로펌
[편집]1958년 김장리 법률사무소에 설립에 이어 김신유 법률사무소가 10년간 로펌시장을 끌어오다,
각주
[편집]- ↑ 미국 로펌 스캐든 압스, 한국 진출
- ↑ “‘네트워크 로펌’ 급성장…‘10대 로펌’ 턱밑까지 추격”. 2022년 5월 23일. 2022년 8월 17일에 확인함.
참고 문헌
[편집]- 이재협, 법의 세계화와 로펌의 성장, 외법논집 제27집, 2007. 8.
- 장대성, 황인정, 김민수 저. 한국 변호사 사무실 서비스 품질과 고객 만족에 관한 연구, 韓國컴퓨터情報學會 論文誌 第11卷 第3號, 2006. 259~270 (12 pages).
- 장대성, 한국 변호사 서비스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大韓經營學會誌 第19券 第6號, 2006. 12.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