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철도차량정비단
보이기
대전철도차량정비단
| |
---|---|
![]() 대전철도차량정비단 전경 | |
개괄 | |
관할 기관 | 한국철도공사 기술본부 차량안전기술단 |
소재지 | 대전광역시 대덕구 벚꽃길 150 충청북도 제천시 내토로10길 90 |
좌표 | {{위키데이터좌표}} – missing coordinate data |
종별 | 철도기지 (철도정비창, 차량사업소) |
거리표 | |
대전철도차량정비단선 | |
← 신탄진
| |
|
대전철도차량정비단(大田鐵道車輛整備團)은 대전광역시 대덕구 평촌동과 충청북도 제천시 영천동에 위치한 철도차량정비단이다. 디젤동차 및 객화차 중정비는 대전철도차량정비단 수송차량처(대전)에서, 전기기관차의 중정비는 동력차량정비처(제천)에서 담당한다. 2012년에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용산)이 폐쇄되면서 관련 업무가 대전철도차량정비단으로 이관되었다.
대전단을 포함한 모든 정비단은 본사 차량안전기술단 부속기관이다.
연혁
[편집]- 1980년 5월: 영등포공작창을 폐지하고 대전공작창(大田工作廠)을 설치
- 1984년 2월: 대전철도차량정비창(大田鐵道車輛整備廠)으로 개칭
- 1996년 3월 10일: 대전철도차량정비본부(大田鐵道車輛整備本部)로 개칭
- 2004년 4월: 대전철도차량관리단(大田鐵道車輛管理團)으로 개칭
- 2009년 9월: 대전철도차량정비단(大田鐵道車輛整備團)으로 개칭
- 2017년 2월 20일: 대전차량융합기술단(大田車輛融合技術團)으로 개칭[1]
- 2018년 3월 5일: 대전철도차량정비단으로 환원[2]
업무
[편집]- 디젤동차 중정비
- 객화차 중정비
- 전기기관차 중정비
- 철도 차량 보존
인입선
[편집]대전철도차량정비단선은 신탄진역에서 분기하는 대전철도차량정비단의 인입선으로, 길이는 약 1.6 km이다. 정비단에 드나드는 철도 차량들을 이동시키기 위해 만들었으며, 입출고열차가 1일 4~5회 운행한다. 정비단 전체를 신탄진역 구내로 취급하기 때문에 철도거리표에는 없다. 국도 제17호선을 가로지르기에 교통체증과 소음 문제가 있어 신탄진동 일대 주민이 이설을 여러 차례 요구하였으며, 2021년까지 회덕역에서 분기하는 1.7 km의 노선으로 변경될 예정이다.[3]
노선 정보
[편집]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한국철도공사 직제규정 시행세칙 제2017-13호, 2017년 2월 17일 개정.
- ↑ 한국철도공사 직제규정 시행세칙 제2018-6호, 2018년 3월 2일 개정.
- ↑ 균형발전과 (2017년 12월 7일). “38년 숙원 신탄진 인입선로 이전사업 본격 추진”. 《대전광역시》. 2018년 7월 6일에 확인함.
![]() |
이 글은 철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