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양 우씨
보이기
![]() 단양 우씨의 종문 | |
나라 | 한국 |
---|---|
관향 | 충청북도 단양군 |
시조 | 우현(禹玄) |
집성촌 | 경상북도 영주시 문수면 경상북도 봉화군 상운면 대구광역시 달서구·달성군 경상남도 창녕군 장마면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경기도 화성시 정남면 황해도 연백군·신천군 |
주요 인물 | 우천석, 우탁, 우현보, 우인열, 우희열, 우홍수, 우홍강, 우성범, 우성전, 우하영, 우범선, 우덕순, 우장춘, 우명규, 우근민, 우의제, 우제항, 우용득, 우형식, 우원식, 우윤근, 우희종, 우성만, 우예종, 우태희, 우상호, 우제창, 우병우, 우종수, 우홍구 |
인구(2015년) | 191,287명 |
단양 우씨(丹陽禹氏)는 충청북도 단양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역사
[편집]시조 우현(禹玄)이 고려 광종조에 정조호장(正朝戶長)을 지냈다.
6세손 우중대(禹仲大)가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이르렀고, 그의 장남 우천규(禹天珪)는 남성전서(南省典書), 둘째 우천계(禹天啓)는 판서(判書), 셋째 우천석(禹天錫)은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올랐다.
우천규의 아들 우탁(禹倬)은 성균좨주(成均祭酒)로 치사하였다. 우천석의 증손 우현보(禹玄寶)는 단양부원군(丹陽府院君)에 봉해졌고, 우현보의 장손 우성범(禹成範)이 공양왕의 부마가 되었다. 10세손 우인열(禹仁烈)은 조선 개국원종공신에 녹훈되고, 판삼사사(判三司事)에 이르렀다.
단양 우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35명을 배출하였다.
분파
[편집]인물
[편집]- 우천석(禹天錫) : 고려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다. 우중대(禹仲大)의 3남이고, 우탁(禹倬)의 숙부이며, 우인열(禹仁烈)과 우현보(禹玄寶)의 증조이다. 1266년(원종 7년) 문과에 을과(乙科)로 급제했다. 충렬왕(忠烈王)조에 전라도안렴부사(全羅道按廉副使)를 거쳐, 1280년(충렬왕 6) 감찰잡단(監察雜端) 진척(陳倜)을 비롯한 감찰사(監察司)의 관원들이 유배 또는 파직되자 낭장에서 감찰잡단으로 승진했다. 이후 관직이 전리정랑(典理正郞)에 이르렀다.
- 우탁(禹倬) : 자는 천장(天章)·탁보(卓甫), 호는 백운(白雲)·단암(丹巖)이다. 1278년(충렬왕 4) 향공진사(鄕貢進士)가 되고, 과거에 급제하여 영해사록(寧海司錄)이 되었다. 영해사록(寧海司錄)으로 있을 때 요신(妖神)의 신사를 철폐하였다. 1308년(충선왕 즉위년) 감찰규정(監察糾正)이 되었고, 음력 11월 24일 충선왕이 부왕의 후궁인 숙창원비(淑昌院妃)와 통간(蒸)하자 백의(白衣)차림에 도끼를 들고 거적자리를 짊어진 채 대궐로 들어가 극간을 하였다. 함께 극간한 이조전서 오연경(吳延慶)은 충직항절(忠直抗節)하여 연일로 강배되어 요절(夭折)하였다. 곧 향리로 물러나 학문에 정진했으나 충의를 가상히 여긴 충숙왕과 신하들이 몽골풍습에 대한 여러 번에 걸친 소명으로 다시 벼슬길에 나서서 성균좨주(成均祭酒)로 치사하였다.
- 우현보(禹玄寶, 1333년 ~ 1400년) :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다. 자는 원공(原功)이다. 증조부는 증문하시중(贈門下侍中) 우천석(禹天錫)이고, 아버지는 적성군(赤城君) 우길생(禹吉生)이다. 장손 우성범(禹成範)은 공양왕의 부마였다. 고려조에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을 거쳐 판삼사사(判三司事)에 오르고, 단양부원군(丹陽府院君)에 봉해졌다. 조선조에는 추충보조공신(推忠輔祚功臣)에 봉해졌다.
- 우인렬(禹仁烈, 1337년 ~ 1403년) :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이다. 고려조에 홍건적과 왜구를 격퇴하는 공을 세우고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에 이르렀다. 조선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에 녹훈되고, 판삼사사(判三司事)에 이어 검교좌정승(檢校左政丞)에 이르렀다. 시호는 정평(靖平)이다.
- 우근민(禹瑾敏, 1942년 ~ ?) : 한국의 정치인이다. 제27·28·32·33대 제주도지사, 제2대 제주특별자치도지사를 지냈다.
- 우원식(禹元植, 1957년 ~ ?) : 한국의 정치인이다. 제17·19·20·21·22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비상계엄 당시 해제 결의안을 주도하여 윤석열 대통령을 탄핵시켰다.
- 우상호(禹相虎, 1962년 ~ ?) : 한국의 정치인이다. 제17·19·20·21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우병우(禹柄宇, 1966년 ~ ?) : 한국의 법조인이다. 박근혜 정부 제4대 민정수석비서관을 지냈다.
항렬자
[편집]- 대동항렬 (시조로 1세)
26세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40세 | 41세 | 42세 | 43세 | 44세 | 45세 |
---|---|---|---|---|---|---|---|---|---|---|---|---|---|---|---|---|---|---|---|
口영(榮) | 口정(鼎) | 口명(命) | 종(鍾) | 제(濟) | 口식(植) | 희(熙) | 口철(喆) | 용(鎔) | 口수(洙) | 병(柄) | 口섭(燮) | 재(在) | 口호(鎬) | 영(永) | 口근(根) | 경(炅) | 口균(均) | 진(鎭) | 口순(淳) |
- 문희공파 (시조로 1세, 중시조로 1세)
21세 29세 |
22세 30세 |
23세 31세 |
24세 32세 |
25세 33세 |
26세 34세 |
27세 35세 |
28세 36세 |
29세 37세 |
30세 38세 |
31세 39세 |
32세 40세 |
33세 41세 |
34세 42세 |
35세 43세 |
36세 44세 |
37세 45세 |
---|---|---|---|---|---|---|---|---|---|---|---|---|---|---|---|---|
재(載) 동(東) |
口구(九) 口윤(允) |
병(柄) 남(南) |
口하(河) 口영(永) |
성(成) 무(武) |
口범(範) 口용(龍) |
인(寅) 경(慶) |
口화(華) 口목(睦) |
정(廷) 중(重) |
口한(漢) 口계(癸) |
학(學) 효(孝) |
口로(魯) 口주(疇) |
완(完) 영(寧) |
口경(卿) 口욱(郁) |
진(振) 정(庭) |
口기(起) 口욱(旭) |
상(祥) 준(準) |
- 문강공파 (시조로 1세, 중시조로 1세)
17세 26세 |
18세 27세 |
19세 28세 |
20세 29세 |
21세 30세 |
22세 31세 |
23세 32세 |
24세 33세 |
25세 34세 |
26세 35세 |
27세 36세 |
28세 37세 |
29세 38세 |
30세 39세 |
31세 40세 |
32세 41세 |
---|---|---|---|---|---|---|---|---|---|---|---|---|---|---|---|
口희(熙) 口하(夏) |
재(在) 택(宅) |
口현(鉉) 口호(鎬) |
영(永) 한(漢) |
口식(植) 口상(相) |
경(炅) 병(炳) |
口기(基) 口균(均) |
종(鍾) 은(銀) |
口수(洙) 口문(汶) |
동(東) 주(柱) |
口섭(燮) 口렬(烈) |
준(埈) 재(載) |
口용(鏞) 口옥(鈺) |
원(源) 순(淳) |
口환(桓) 口빈(彬) |
연(然) 희(熹) |
- 대제학공파 (시조로 1세, 중시조로 1세)
18세 29세 |
19세 30세 |
20세 31세 |
21세 32세 |
22세 33세 |
23세 34세 |
24세 35세 |
25세 36세 |
26세 37세 |
27세 38세 |
28세 39세 |
29세 40세 |
30세 41세 |
---|---|---|---|---|---|---|---|---|---|---|---|---|
종(鍾) | 口제(濟) | 상(相) | 口희(熙) | 시(時) | 口호(鎬) | 영(泳) | 口식(植) | 경(炅) | 口기(基) | 용(鏞) | 口순(淳) | 권(權) |
- 집의공파 (시조로 1세, 중시조로 1세)
12세 23세 |
13세 24세 |
14세 25세 |
15세 26세 |
16세 27세 |
17세 28세 |
18세 29세 |
19세 30세 |
20세 31세 |
21세 32세 |
22세 33세 |
23세 34세 |
24세 35세 |
25세 36세 |
26세 37세 |
27세 38세 |
28세 39세 |
29세 40세 |
30세 41세 |
31세 42세 |
32세 43세 |
33세 44세 |
34세 45세 |
---|---|---|---|---|---|---|---|---|---|---|---|---|---|---|---|---|---|---|---|---|---|---|
창(昌) | 口모(模) | 口하(河) | 口영(榮) | 口정(鼎) | 口명(命) | 종(鍾) | 제(濟) 택(澤) |
口식(植) 口상(相) |
口희(熙) | 口철(喆) | 용(鎔) | 口수(洙) | 병(柄) | 口섭(燮) | 재(在) | 口호(鎬) | 영(永) | 口근(根) | 경(炅) | 口균(均) | 진(鎭) | 口순(淳) |
- 판서공파 (시조로 1세, 중시조로 1세)
12세 23세 |
13세 24세 |
14세 25세 |
15세 26세 |
16세 27세 |
17세 28세 |
18세 29세 |
19세 30세 |
20세 31세 |
21세 32세 |
22세 33세 |
23세 34세 |
24세 35세 |
25세 36세 |
26세 37세 |
27세 38세 |
28세 39세 |
29세 40세 |
30세 41세 |
31세 42세 |
32세 43세 |
---|---|---|---|---|---|---|---|---|---|---|---|---|---|---|---|---|---|---|---|---|
재(載) | 口진(鎭) | 해(海) | 口동(東) | 하(夏) | 口기(基) | 종(鍾) | 口택(澤) | 상(相) | 口환(煥) | 재(在) | 口현(鉉) | 태(泰) | 口식(植) | 병(炳) | 口길(吉) | 용(鏞) | 口락(洛) | 근(根) | 口열(烈) | 배(培) |
인구
[편집]- 2000년 162,479명
- 2015년 191,287명
참고 자료
[편집]- “단양우씨(丹陽禹氏)”. 뿌리를 찾아서.[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