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단백질 합성 저해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mRNA 번역의 단순화된 모식도
리보솜나노 스케일에서 단백질 동역학을 활용하여 RNA를 단백질로 번역하는 생물학적 기계이다.

단백질 합성 저해제(蛋白質合成沮害劑, 영어: protein synthesis inhibitor)는 새로운 단백질의 합성으로 직접 이어지는 과정을 방해하여 세포의 생장이나 증식을 멈추게 하거나 늦추는 화합물이다.[1]

이 정의를 광범위하게 해석하면 농도에 따라 거의 모든 화합물을 설명하는 데 사용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일반적으로 번역 기구(리보솜 자체 또는 번역인자)에서 분자 수준에서 작용하는 화합물을 의미하며,[2] 원핵생물진핵생물 리보솜 구조 사이의 주요 차이점을 이용한다.

메커니즘

[편집]

일반적으로 단백질 합성 저해제는 세균의 mRNA가 단백질로 번역되는 과정의 여러 단계(개시, 신장(아미노아실-tRNA 진입, 교정, 펩티딜기 전이, 세균의 자리옮김 포함), 종결)에서 작용한다.

초기 단계

[편집]

개시

[편집]
  • 리네졸리드는 개시 단계에서 작용하여[3] 개시 복합체의 형성을 막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그 메커니즘은 아직 완전히 이해되지 않았다.[4]

리보솜 조립

[편집]

아미노아실-tRNA 진입

[편집]

교정

[편집]
  • 아미노글리코사이드는 다른 잠재적 작용 메커니즘 중에서도 교정 과정을 방해하여 합성 과정에서 오류 발생률을 증가시키고 조기 종결을 초래한다.[7]

펩티딜기 전이

[편집]

리보솜 자리옮김

[편집]

종결

[편집]
  • 마크롤라이드[15][16]클린다마이신[15][16](둘 다 다른 잠재적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음)은 리보솜에서 펩티딜-tRNA의 조기 분리를 유발한다.
  • 푸로마이신티로시닐 아미노아실-tRNA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리보솜의 A 자리에 결합하여 펩타이드 결합의 형성에 참여하고 펩티딜-푸로마이신을 생성한다. 그러나 이것은 자리옮김에 관여하지 않고 리보솜에서 빠르게 분리되어 폴리펩타이드 합성이 조기에 종결되도록 한다.
  • 스트렙토그라민은 또한 펩타이드 사슬의 조기 방출을 유발한다.[17]

특정되지 않은 메커니즘의 단백질 합성 저해제

[편집]

결합 부위

[편집]

다음의 항생제는 리보솜의 30S 소단위체에 결합한다.

다음의 항생제는 50S 리보솜 소단위체에 결합한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Frank Lowy. “Protein Synthesis Inhibitors” (PDF). 《Columbia University》. 2021년 1월 27일에 확인함. 
  2. “7.344 Antibiotics, Toxins, and Protein Engineering, Spring 2007”. 《MIT OpenCourseWare》. 
  3. Swaney SM, Aoki H, Ganoza MC, Shinabarger DL (December 1998). “The Oxazolidinone Linezolid Inhibits Initiation of Protein Synthesis in Bacteria”. 《Antimicrob. Agents Chemother.》 42 (12): 3251–3255. doi:10.1128/AAC.42.12.3251. PMC 106030. PMID 9835522. 
  4. Skripkin E, McConnell TS, DeVito J 외 (October 2008). “Rχ-01, a New Family of Oxazolidinones That Overcome Ribosome-Based Linezolid Resistance”. 《Antimicrobial Agents and Chemotherapy》 52 (10): 3550–3557. doi:10.1128/AAC.01193-07. PMC 2565890. PMID 18663023. 
  5. Mehta, Roopal; Champney, W. Scott (2003). “Neomycin and Paromomycin Inhibit 30S Ribosomal Subunit Assembly in Staphylococcus aureus”. 《Current Microbiology》 47 (3): 237–43. doi:10.1007/s00284-002-3945-9. PMID 14570276. S2CID 23170091. 
  6. Slover CM, Rodvold KA, Danziger LH (June 2007). “Tigecycline: a novel broad-spectrum antimicrobial”. 《Ann Pharmacother》 41 (6): 965–972. doi:10.1345/aph.1H543. PMID 17519296. S2CID 5686856. 2009년 12월 19일에 확인함. 
  7. Flavio Guzmán (2008년 8월 12일). “Protein synthesis inhibitors: aminoglycosides mechanism of action animation. Classification of agents”. 《Pharmamotion》. 2010년 3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8. Protein synthesis inhibitors: macrolides mechanism of action animation. Classification of agents Pharmamotion. Author: Gary Kaiser. The Community College of Baltimore County. Retrieved on July 31, 2009
  9. Page 212 in: Title: Hugo and Russell's pharmaceutical microbiology Authors: William Barry Hugo, Stephen P. Denyer, Norman A. Hodges, Sean P. Gorman Edition: 7, illustrated Publisher: Wiley-Blackwell, 2004 ISBN 0-632-06467-6 Length: 481 pages
  10. “Geneticin”. 《Thermo Fisher Scientific》. 
  11. Shifrin, Victor I.; Anderson, Paul (1999). “Trichothecene Mycotoxins Trigger a Ribotoxic Stress Response That Activates c-Jun N-terminal Kinase and 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and Induces Apoptosis”.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74 (20): 13985–13992. doi:10.1074/jbc.274.20.13985. ISSN 0021-9258. PMID 10318810. 
  12. Wisteria Lane cases → CLINDAMYCIN 보관됨 2012-07-18 - archive.today University of Michigan. Retrieved on July 31, 2009
  13. Leonard JE, Grothaus CD, Taetle R (October 1988). “Ricin binding and protein synthesis inhibition in human hematopoietic cell lines”. 《Blood》 72 (4): 1357–1363. doi:10.1182/blood.V72.4.1357.1357. PMID 3167211. 
  14. Terao K, Uchiumi T, Endo Y, Ogata K (June 1988). “Ricin and alpha-sarcin alter the conformation of 60S ribosomal subunits at neighboring but different sites”. 《Eur. J. Biochem.》 174 (3): 459–463. doi:10.1111/j.1432-1033.1988.tb14120.x. PMID 3391162. 
  15. Menninger JR (1995). “Mechanism of inhibition of protein synthesis by macrolide and lincosamide antibiotics”. 《J Basic Clin Physiol Pharmacol》 6 (3–4): 229–250. doi:10.1515/JBCPP.1995.6.3-4.229. PMID 8852269. S2CID 36166592. 
  16. Tenson T, Lovmar M, Ehrenberg M (July 2003). “The mechanism of action of macrolides, lincosamides and streptogramin B reveals the nascent peptide exit path in the ribosome”. 《J. Mol. Biol.》 330 (5): 1005–1014. doi:10.1016/S0022-2836(03)00662-4. PMID 12860123. 
  17. Levinson, Warren (2008). 《Review of medical microbiology and immunology》. New York: McGraw-Hill Medical. ISBN 978-0-07-149620-9. 
  18. Drugbank.ca > Showing drug card for Retapamulin (DB01256) Update Date: 2009-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