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과대학


칼리지(영어: college) 또는 단과대학(單科大學)은 단일한 학문 영역을 교육·연구하는 대학, 또는 연합대학의 산하에 있는 대학이다. 단과대학은 독립적인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종합)대학 산하의 교육 기관으로 존재하기도 한다.
영어의 college를 단과대학으로 번역하는 건 적절하지 않은데,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피터하우스 칼리지처럼 인문학, 사회과학, 경제학, 법학, 자연과학, 공학, 예체능 등을 모두 다루는 종합 대학도 칼리지이고, 런던 대학교의 킹스 칼리지처럼 아예 캠퍼스가 여러개 있는 칼리지도 있다.
한 분야만 전문적으로 교육하는 대학교를 중국어로는 학원(중국어 간체자: 学院)이라고 말한다(한국어의 학원은 보습반이라고 표현한다).


어원
[편집]칼리지(영어: college)는 고등교육 기관의 하나로 '동료들(colleagues)의 모임'을 어원으로 하며, 역사적으로는 기숙사 고등교육 학교를 지칭하는 말이었다. 또한 영어 college는 라틴어 collegium에서 유래한 말로, 공동의 규칙들을 따르며 함께 사는 사람들 집단(con- = "함께" + leg- = "법" 또는 lego = "내가 선택한")을 의미하는 말이었다. 그런 의미에서 영어권 일부 단과대학에서는 그 구성원들을 '동료들(fellows)'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개요
[편집]고등 교육
[편집]
추가 교육
[편집]중등 교육
[편집]일부 국가 교육 시스템에서는 중등학교를 "칼리지"라고 부르거나 명칭에 "칼리지"라는 단어가 학교명에 포함되어 있기도 하다.

기타
[편집]국가별 대학
[편집]아메리카
[편집]캐나다
[편집]대학 환경에서의 사용
[편집]중등 교육에서의 사용
[편집]칠레
[편집]미국
[편집]



기숙 대학
[편집]
미국 사용의 기원
[편집]
모릴 토지 부여법
[편집]
대학의 이점
[편집]아시아
[편집]대한민국
[편집]1991년 이전까지, ~대학이라는 명칭을 가진 학교를 단과대학으로 분류하였지만, 1992년부터 종합대학과 단과대학간 구분이 사라지면서 찾아보기 힘들어졌다. 법적으로, 2021년 현재 단과대학으로 설치되어 있는 학교는 교육대학이 있다.
아프리카
[편집]유럽
[편집]그리스
[편집]아일랜드
[편집]네덜란드
[편집]포르투갈
[편집]영국
[편집]
중등 교육 및 추가 교육
[편집]고등 교육
[편집]오세아니아
[편집]호주
[편집]뉴질랜드
[편집]
같이 보기
[편집]![]() |
이 글은 교육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