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뇨증
보이기
![]() | |
---|---|
다른 이름 | 과도한 소변량[1] |
![]() | |
진료과 | 내분비학, 신장학 |
병인 | 조갈증, 심인성다음증[2][3] |
진단 방식 | 소변 검사와 혈액 검사[4] |
치료 | 병인에 따라 상이[5](병인 문단 참고) |
다뇨증(多尿症, 영어: polyuria) 또는 다뇨(多尿)는 오줌의 생성량이나 통과량이 비정상적으로 많거나 과도한 것을 말한다. 성인 기준으로 24시간 내에 보통 2.5 L[1] 또는 3 L[6]를 초과한다.
병인
[편집]병인 목록
[편집]일반
비뇨기계
호르몬성
- 저칼륨혈증[13]
- 당뇨병[14]
-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복용[15]
- 크롬친화세포종[16]
-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17]
- 요붕증[18]
- 고칼슘혈증[19]
- 갑상선 기능 항진증[20]
- 뇌하수체 기능 부전[21]
- 콘증후군(Conn's disease)[22]
- 과혈당증[23]
순환
- 심부전[24]
- 결장 절제 질병(cardiorespiratory disease)[25]
- POTS(en:postural orthostatic tachycardia syndrome)[26]
신경성
- 대뇌 염 소모 증후군(cerebral salt-wasting syndrome)[27]
- 신경손상[28]
- 편두통[29]
기타
진단
[편집]다뇨증의 가능한 진단법은 다음과 같다:[4]
치료
[편집]병인에 따라 적절한 치료법이 제공되어야 한다. 국립보건임상연구원(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Excellence, NICE)에 따르면 다른 치료법이 실패했다는 전제 하에 당뇨병에 의해 유발 가능한 야간 당뇨증을 대상으로 데스모프레신(desmopressin)이 고려될 수 있다.[5]
각주
[편집]- ↑ 가 나 “Urination – excessive amount”. 《Medline Plus》. United State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13년 12월 27일. 2014년 12월 30일에 확인함.
- ↑ 가 나 Rudolf, Mary (2006). 《Paediatrics and Child Health》 2판. Wiley. 142쪽. ISBN 9781444320664. 2015년 8월 5일에 확인함.
- ↑ 가 나 Rippe, editors, Richard S. Irwin, James M. (2008). 《Irwin and Rippe's intensive care medicine》 6판. Philadelphia: Wolters Kluwer Health/Lippincott Williams & Wilkins. 909쪽. ISBN 978-0-7817-9153-3. 2015년 8월 5일에 확인함.
- ↑ 가 나 “Polyuria. Medical Professional reference for Polyuria. | Patient”. 《Patient》 (영국 영어). 2015년 11월 8일에 확인함.
- ↑ 가 나 Merseburger, Axel S.; Kuczyk, Markus A.; Moul, Judd W. (2014년 10월 21일). 《Urology at a Glance》. Springer. ISBN 9783642548598.
- ↑ “Polyuria”. 《Merck Manuals》. November 2013. 2014년 12월 30일에 확인함.
- ↑ Ronco, Claudio (2009). 《Critical Care Nephrology》 2판. Saunders. 475쪽. ISBN 978-1416042525. 2015년 8월 5일에 확인함.
- ↑ Paulman, Paul (2012). 《Signs and Symptoms in Family Medicine: A Literature-Based Approach》. Elsevier. 432쪽. ISBN 978-0323081320. 2015년 8월 5일에 확인함.
- ↑ Drake, edited by Michael Glynn, William M. (2012). 《Hutchison's clinical methods : an integrated approach to clinical practice》 23판. Edinburgh: Elsevier. 378쪽. ISBN 978-0-7020-4091-7. 2015년 8월 5일에 확인함.
- ↑ Lee, [edited by] Mary (2013). 《Basic skills in interpreting laboratory data》 5판. Bethesda, Md.: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132쪽. ISBN 978-1-58528-343-9. 2015년 8월 5일에 확인함.
- ↑ Weissman, [edited by] Barbara N. (2009). 《Imaging of arthritis and metabolic bone disease》. Philadelphia, PA: Mosby/Elsevier. 679쪽. ISBN 978-0-323-04177-5. 2015년 8월 5일에 확인함.
- ↑ 《Radiology illustrated : pediatric radiology》 1., 2013판. [S.l.]: Springer. 2013. 761쪽. ISBN 978-3-642-35572-1. 2015년 8월 6일에 확인함.
- ↑ Chihan, Nina (2007). 《Nursing Interpreting Signs and Symptoms》.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481쪽. ISBN 9781582556680. 2015년 8월 5일에 확인함.
- ↑ Brickell, [edited by] Wendy Arneson, Jean (2007). 《Clinical chemistry : a laboratory perspective》. Philadelphia: F.A. Davis Co. 411쪽. ISBN 978-0-8036-1498-7. 2015년 8월 5일에 확인함.
- ↑ Soni, Andrew Bersten, Neil (2013). 《Oh's Intensive Care Manual》 7.판. London: Elsevier Health Sciences. 643쪽. ISBN 978-0-7020-4762-6. 2015년 8월 6일에 확인함.
- ↑ “Pediatric Pheochromocytoma Clinical Presentation”. 《Medscape.com》. eMedicine. 2015년 8월 6일에 확인함.
- ↑ Ghosh, Srinanda (2007). 《MCQ's in medical surgical nursing : (with explanatory answers)》 1판. New Delhi, India: Jaypee Bros. Medical Publishers (P) Ltd. 150쪽. ISBN 978-81-8448-104-4. 2015년 8월 6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Loscalzo, edited by Ajay K. Singh, Joseph (2014). 《The Brigham intensive review of internal medicine》 Seco판. 551쪽. ISBN 978-0-19-935828-1. 2015년 8월 6일에 확인함.
- ↑ 《Acute medicine 201415》. [S.l.]: Scion. 2014. 312쪽. ISBN 978-1-907904-25-7. 2015년 8월 6일에 확인함.
- ↑ Mariani, Laura (2007). “The Renal Manifestations of Thyroid Disease”.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 23 (1): 22–26. doi:10.1681/ASN.2010070766. PMID 22021708. 2015년 8월 6일에 확인함.
- ↑ “Panhypopituitarism Clinical Presentation”. 《Medscape.com》. eMedicine. 2015년 8월 6일에 확인함.
- ↑ Kost, Michael (2004). 《Moderate sedation/analgesia : core competencies for practice》 2판. St. Louis, Missouri.: Saunders. 43쪽. ISBN 978-0-7216-0324-7. 2015년 8월 6일에 확인함.
- ↑ Schwartz, M. William Schwartz; 외., 편집. (2012). 《The 5-minute pediatric consult》 6판. Philadelphia: Wolters Kluwer Health/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70쪽. ISBN 978-1-4511-1656-4. 2015년 8월 6일에 확인함.
- ↑ Abrams, Paul (2006). 《Urodynamics》 3.판. London: Springer. 120쪽. ISBN 978-1-85233-924-1. 2015년 8월 6일에 확인함.
- ↑ Leslie, Shern L. Chew, David (2006). 《Clinical endocrinology and diabetes》. Edinburgh: Churchill Livingstone/Elsevier. 21쪽. ISBN 978-0443073038.
- ↑ Pavord, Sherif Gonem; foreword by Ian (2010). 《Diagnosis in acute medicine》. Oxford: Radcliffe Pub. 44쪽. ISBN 978-184619-433-7. 2015년 8월 6일에 확인함.
- ↑ Shanley, edited by Derek S. Wheeler, Hector R. Wong, Thomas P. (2014). 《A Systems Approach》 2판. Springer Verlag. 635쪽. ISBN 978-1-4471-6355-8. 2015년 8월 6일에 확인함.
- ↑ Parker, Rolland S. (2012). 《Concussive brain trauma neurobehavioral impairment and maladaptation》 Seco판. Boca Raton, FL: CRC Press. 322쪽. ISBN 978-1-4200-0798-5. 2015년 8월 6일에 확인함.
- ↑ “Migraine Headache Clinical Presentation”. 《Medscape.com》. eMedicine. 2015년 8월 6일에 확인함.
- ↑ McKee, Mitchell Bebel Stargrove, Jonathan Treasure, Dwight L. (2008). 《Herb, nutrient, and drug interactions : clinical implications and therapeutic strategies》. St. Louis, Mo.: Mosby/Elsevier. 267쪽. ISBN 978-0-323-02964-3. 2015년 8월 6일에 확인함.
- ↑ Watkins, edited by W. Allan Walker, John B. (1997). 《Nutrition in pediatrics : basic science and clinical application》 2판. Hamilton, Ont.: B.C. Decker. 205쪽. ISBN 978-1-55009-026-0. 2015년 8월 6일에 확인함.
- ↑ Swienton, editors, Richard B. Schwartz, John G. McManus Jr., Raymond E. (2008). 《Tactical emergency medicine》. Philadelphia: Wolters Kluwer/Lippincott Williams & Wilkins. 75쪽. ISBN 978-0-7817-7332-4. 2015년 8월 6일에 확인함.
- ↑ Vyas, JN (2008). 《Textbook of Postgraduate Psychiatry (2 Vols.)》. Jaypee Brothers Publishing. 761쪽. ISBN 978-81-7179-648-9. 2015년 8월 6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Hemochromatosis Clinical Presentation”. 《Medscape.com》. eMedicine. 2015년 8월 6일에 확인함.
- ↑ J. W. Bennett; M. Klich (2003). “Mycotoxins”. 《Clin Microbiol Rev》 16 (3): 497–516. doi:10.1128/CMR.16.3.497-516.2003. PMC 164220. PMID 128577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