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란델마도마뱀
![]() | |
---|---|
![]() Stewart MacDonald가 촬영한 사진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 |
강: | 파충류 |
목: | 뱀목 |
하목: | 도마뱀붙이하목 |
상과: | 뱀붙이도마뱀상과 (en:Pygopodoidea) |
과: | 뱀붙이도마뱀과 |
속: | 델마도마뱀속 |
종: | 놀란델마도마뱀 |
학명 | |
Delma tincta | |
드 비스(:en:De Vis), 1888 | |
학명이명 | |
Delma reticulata - Garman, 1901[1] | |
놀란델마도마뱀의 분포 지역 | |
![]() 놀란델마도마뱀붙이의 분포를 나타낸 지도.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의 서식지는 포함하지 않았다. | |
보전상태 | |
|
놀란델마도마뱀(Delma tincta)은 익사이터블 델마(excitable delma)라고도 불리며, 뱀붙이도마뱀과에 속한 오스트레일리아 고유종이다.[3] 이 이름은 활동적인 성격, 높이 뛰어오르는 방어기제에서 유래하였다. 이 녀석은 한 번에 몇 번씩 불규칙하게 뛰어오르며, 뛸 때마다 몸의 방향을 바꾼다. 놀란델마는 진화 과정에서 팔다리가 퇴화한, 가늘고 길다란 민다리도마뱀이다. 호주 전역의 다양한 서식지에서 발견되며 대부분의 시간을 숨어지낸다. 야행성 동물이라 야생 환경에서 발견하기는 어렵다. 크기는 중소형이며 꼬리는 몸 전체 길이의 3/4를 차지한다. 놀란델마의 길이는 대개 250 - 300 mm 에 달한다. 충식동물이며 풀숲, 나무줄기, 표층토양, 바위 사이를 돌아다니며 곤충을 먹어치운다.[4] 놀란 델마는 다른 뱀붙이도마뱀류처럼 한 번에 두 개의 알을 낳는다.[1]
형태
[편집]놀란델마는 진화하면서 다리가 완전히 퇴화하였기 때문에 뱀이랑 아주 비슷하게 생겼다.[5] 몸은 굉장히 가늘고 길며, 꼬리 길이는 몸 길이의 서너 배에 달한다.[6] 주둥이는 둥그스름하다.[7]

성체의 주둥이에서 항문까지의 길이는 대략 80 - 90 mm, 꼬리까지는 240mm에 달한다.[7] 아성체의 경우 항문까지는 40 mm, 꼬리까지는 136 mm 에 달한다.[8]
이 녀석들은 델마도마뱀속의 다른 종들에 비해 아담하다.[9]
놀란델마의 몸은 올리브색에서 회갈색, 밑부분은 크림색을 띄며,[7] 몸가운데비늘(mid-body scale)이 열네 줄이 나있고, 눈 밑의 윗입술비늘(:en:supralabial scale) 세 개, 코앞비늘(Supranasal scale)한 쌍이 나있다.[9] 검은 줄무늬 세 개가 머리와 목의 윗부분을 가로지른다.
목까지는 검은색인데 주둥이, 눈 앞, 눈 뒤, 머리 뒷부분에 끊어져있다.[8] 검은색은 성체보다 아성체가 더 선명하다.[6]
분포
[편집]
원래 놀란델마는 뉴사우스웨일스주 북동부, 퀸즐랜드주에만 위치한다고 여겨졌다.[10] 하지만 연구를 통해 이 민다리도마뱀이 사실은 호주의 여덣 개 중 다섯 개의 주, 준주에 서식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 도마뱀의 분포는 다음과 같다:[9]
- 퀸즐랜드주 - 전역에 널리 분포함
- 뉴사우스웨일스주 - 북부 지역
- 노던준주 - 남부의 2/3
-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 - 북동부 구석에서 남서부까지 뻗어나감
-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 - 서부, 북서부 지역
Glenn M. Shea는 1991년에 행한 관찰연구(:en:observational study)를 통해 호주 곳곳에서 10 개의 표본을 확보하였다. 일곱 개는 퀸즐랜드주, 한 개는 뉴사우스웨일스주, 한 개는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의 박물관, 마지막 한 개는 '베이커 산(Mt. Barker)'에서 얻었는데 이 산이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 아델레이드 근방의 산인지, 웨스트오스트레일리아주 퍼스에 있는 산인지는 불명확하다.[9]
놀란델마는 건조림(:en:dry forests), 스피니펙스 사막, 노두 등의 다양한 서식지에 살아간다.[6] 보통 너저분한 바위나[11] 통나무 따위의 잔해 밑에서, 때로는 토양 표층에서 발견된다.[12]
생태
[편집]
놀란델마는 뱀붙이도마뱀과에서 제일 활발하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을 얻었다.[13] 이 녀석은 몸을 비틀며 높이 뛰어오르는 곡예를 선보여 포식자를 놀래키는 독특한 방어기제를 가지고 있다.[5] 놀란델마가 이 묘기를 선보일 때는 기다란 꼬리로 위를 향한 추진력을 만들어내 몸뚱아리 전체를 땅에서 들어올린다. 델마는 뛸 때마다 방향을 불규칙하게 뒤튼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감금(en:captivity)된 놀란델마 성체를 관찰하였다; 델마는 어떤 자극을 하지 않고도 30번 이상 뛰어올랐다. 뛴 높이는 11 - 15 cm 에 이르렀으며, 땅에서 떨어고 닿을 때까지 0.41 - 0.45 초가 걸렸다.[14]
놀란델마는 다양한 서식환경에서 약진(saltation)이라 불리는 독특한 방식으로 움직인다. 약진은 사지가 없는 척추동물이 흔히 사용하는 방식이며, 뱀붙이도마뱀과의 경우 포식에 대한 대응으로서 활용한다.[14] 때로는 탈출반응(:en:escape response)과 혼동할 수 있지만, 약진은 그러한 기능이 아니다. 약진은 옆구리로 밀어 이동하는 방식이며, 델마는 뛰어오르는 능력을 활용해 몸뚱이를 더 큰 파속(wave-speed)으로 움직일 수 있다. 약진은 꼬리에서 시작되며, 이 도마뱀은 45° 각도로 앞으로 나아가도록 진화하였다.[14]
델마도마뱀은 다른 뱀붙이도마뱀들처럼 소리지를 수 있으며, 이는 방어기제의 일환이다.[5]
각주
[편집]- ↑ 가 나 “Delma tincta”. 《The Reptile Database》. 2019년 6월 4일에 확인함.
- ↑ Ellis, R., Shea, G., Oliver, P., Cogger, H. & Zichy-Woinarski, J. 2017. Delma tincta.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7: e.T102831198A102831227. http://dx.doi.org/10.2305/IUCN.UK.2017-3.RLTS.T102831198A102831227.en. Downloaded on 10 February 2019.
- ↑ Delma tincta - Reptarium.cz Reptile Database
- ↑ Cooke, F.; Dingle, H.; Hutchinson, S.; McKay, G.; Schodde, R.; Tait, N.; Vogt, R. (2004). 《The MacMillan Encyclopedia of Animals》. Sydney, Australia: Pan MacMillan Australia Pty Ltd.
- ↑ 가 나 다 Cogger, H.; Zweifel, R. (2003). 《Encyclopedia of Reptiles & Amphibians》. San Francisco: Fog City Press. ISBN 978-1-877019-69-2.
- ↑ 가 나 다 Wilson, S.; Swan, G. (2008). 《A complete guide to reptiles of Australia》. Sydney, Australia: New Holland Publishers (Australia) Pty Ltd.
- ↑ 가 나 다 “Delma tincta”. 《www.jcu.edu.au》 (오스트레일리아 영어). 2015년 10월 19일. 2019년 6월 3일에 확인함.
- ↑ 가 나 Cunninghame, E. (1887). 《Proceedings of the Linnean Society of New South Wales》. E. Cunninghame & Co.
- ↑ 가 나 다 라 Shea, G. M. (1991). “Revisionary notes on the genus Delma (Squamata: Pygopodidae) in South Australia and the Northern Territory”. 《Records of the South Australian Museum》 25: 87.
- ↑ Kinghorn, Roy (1926). “A brief review of family Pygopodidae” (PDF). 《Records of the Australian Museum》 15: 40–64. doi:10.3853/j.0067-1975.15.1926.797.
- ↑ Murphy, Michael J. 《Survey of the reptiles and amphibians of Yarrigan National Park in the Pilliga forest of northern inland New South Wales》. National Parks and Wildlife Services.
- ↑ “Excitable Delma”. 《Project Noah》. 2019년 6월 3일에 확인함.
- ↑ Kluge, A (1974). “A taxonomic revision of the lizard family Pygopodidae.”. 《Miscellaneous Publications, Museum of Zoology, University of Michigan》 147: 1–221.
- ↑ 가 나 다 Bauer, Aaron M. (1986). “Saltation in the Pygopodid Lizard, Delma tincta”. 《Journal of Herpetology》 20 (3): 462–463. doi:10.2307/1564517. JSTOR 1564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