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가티비쿠테스강
보이기
![]() | |
---|---|
생물 분류ℹ️ | |
역: | 세균역 |
문: | 후벽균문 |
강: | 네가티비쿠테스강 (Negativicutes) |
네가티비쿠테스강(영어: Negativicutes)은 후벽균문에 속하는 세균의 강으로 그 구성원은 대부분의 다른 후벽균문의 구성원들과는 달리 그람 음성으로 염색되는 지질다당류의 외막이 있는 독특한 세포벽을 가지고 있다.[1] 이웃한 여러 클로스트리디움강(피르미쿠테 세균)도 그람 음성으로 염색되지만, 네가티비쿠테스강의 비정상적인 이중막 구조를 담당하는 단백질은 실제로 프로테오박테리아(슈도모나도타)에서 수평적 유전자 이동으로 획득했을 수도 있다.[1][2][3][4] 네가티비쿠테스강에서 이중의 세포외막의 기원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Sutcliffe IC (2010). “A phylum level perspective on bacterial cell envelope architecture”. 《Trends Microbiol》 18 (10): 464–470. doi:10.1016/j.tim.2010.06.005. PMID 20637628.
- ↑ Gupta RS (2011). “Origin of diderm (Gram-negative) bacteria: antibiotic selection pressure rather than endosymbiosis likely led to the evolution of bacterial cells with two membranes”. 《Antonie van Leeuwenhoek》 100 (2): 171–182. doi:10.1007/s10482-011-9616-8. PMC 3133647. PMID 21717204.
- ↑ Campbell C, Sutcliffe IC, Gupta RS (2014). “Comparative proteome analysis of Acidaminococcus intestini supports a relationship between outer membrane biogenesis in Negativicutes and Proteobacteria” (PDF). 《Arch Microbiol》 196 (4): 307–310. doi:10.1007/s00203-014-0964-4. PMID 24535491. S2CID 253722630.
- ↑ Tocheva EI, Matson EG, Morris DM, Moussavi F, Leadbetter JR, Jensen GJ (2011). “Peptidoglycan remodeling and conversion of an inner membrane into an outer membrane during sporulation”. 《Cell》 146 (5): 799–812. doi:10.1016/j.cell.2011.07.029. PMC 3176627. PMID 218849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