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부매머드
![]() | |
---|---|
화석 범위: 플라이스토세 초기 | |
![]() 프랑스 파리 국립 자연사 박물관의 남부매머드 화석 표본 | |
생물 분류ℹ️ | |
역: | 진핵생물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장비목 |
과: | 코끼리과 |
속: | 매머드속 |
종: | 남부매머드 (M. meridionalis) |
학명 | |
Mammuthus meridionalis | |
(Nesti, 1825) |
남부매머드(Southern mammoth)는 플라이스토세 초기에 유럽을 포함한 유라시아에 서식했던 멸종된 매머드 종으로, 약 250만 년 전부터 80만 년 전까지 살았다.
묘사
[편집]

남부매머드는 현대 코끼리를 능가하는 대형 장비목이었다.[1] 이탈리아 라퀼라의 포르테스파뇰로에 전시된 대부분 완전한 골격으로 알려진 성숙한 성체 수컷으로, 살 속 어깨 높이가 약 3.97~4.05m로 추정되며, 부피는 10.7~11.4t으로 추정된다.[1][2] 이러한 크기는 이 종의 수컷에게 일반적인 것으로 추정된다.[1] 현대 코끼리와 마찬가지로 암컷도 상당히 작았으며, 평균 성체 어깨 높이는 3.3m, 몸무게는 약 7t으로 추정된다.[3]
두개골은 눈에 띄게 돔 모양이었지만 돔의 높이는 후기 매머드 종보다 낮았다. 머리는 동물의 가장 높은 지점을 나타냈다. 몸은 넓고 등은 눈에 띄게 기울어져 있었다. 매머드에게 흔히 볼 수 있는 튼튼하고 길쭉한 꼬인 엄니를 가지고 있었다.[3] 어금니는 치관이 낮고[4], 세 번째 어금니에 약 13개의 두꺼운 에나멜 능선 (라멜라)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는 후기 매머드 종보다 훨씬 낮은 수치이다.[5] 남부매머드는 비교적 따뜻한 기후에서 살았기 때문에 밀도가 높은 털이 부족했을 가능성이 더 높다.[4] 귀는 또한 중간 크기로, 꼬리는 살아있는 코끼리보다 짧지만 후기 매머드 종보다 길었던 것으로 추정된다.[3]
생태학
[편집]유골과 함께 발견된 화석화된 식물들은 남부매머드가 오늘날 유럽에서 경험하는 것만큼 따뜻하거나 약간 따뜻한 온화한 기후의 시대에 살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일부 개체군은 참나무, 물푸레나무, 너도밤나무 및 기타 친숙한 유럽 나무들을 포함한 삼림지대에 거주했으며, 현재 이 지역에 이국적인 예로는 솔송나무, 굴피나무, 히코리나무 등이 있다. 더 동쪽으로는 우베이디야 (이스라엘)와 드마니시 (조지아)에서 발견된 초기 매머드는 풀밭이 있는 부분적으로 개방된 서식지에 살고 있음을 보여준다.[4]
남부매머드의 치아 마이크로웨어는 이 종이 풀과 연한 잎을 모두 섭취하는 다양한 혼합 먹이종임을 시사하며[6], 일부 개체군은 방목이 지배적인 먹이를 제공하는 반면[7] 다른 개체군은 잔디를 지배하는 먹이를 제공한다.[6]
유럽에서 존재 초기에는 아난쿠스와 함께 존재했다. 마이크로웨어를 기반으로 한 식단 분석에 따르면 두 종 사이에 틈새 분할이 있었고, 남부매머드가 더 개방된 서식지를 차지하고 있었음을 시사한다.[8]
진화
[편집]매머드의 각 종의 많은 유해가 여러 지역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에 형태학적 연구를 통해 이 속의 진화 역사를 재구성할 수 있다. 매머드 종은 어금니에 있는 에나멜 능선 (또는 층판)의 수에서 식별할 수 있다. 원시 종은 능선이 거의 없었고, 새로운 종이 더 거친 먹이를 먹기 위해 진화함에 따라 그 수가 점차 증가했다. 치아의 치관은 높이가 더 깊어지고 두개골은 이를 수용하기 위해 더 커졌다. 동시에 두개골은 머리의 무게를 최소화하기 위해 앞에서 뒤로 짧아졌다.[9][10]
각주
[편집]- ↑ 가 나 다 Larramendi, A. (2016). “Shoulder height, body mass and shape of proboscideans” (PDF). 《Acta Palaeontologica Polonica》 61. doi:10.4202/app.00136.2014.
- ↑ Romano, Marco; Manucci, Fabio; Antonelli, Matteo; Rossi, Maria Adelaide; Agostini, Silvano; Palombo, Maria Rita (2022년 7월 14일). “In vivo restoration and volumetric body mass estimate of Mammuthus meridionalis from Madonna della Strada (Scoppito, L'Aquila)”. 《Rivista Italiana di Paleontologia e Stratigrafia》 128 (3). doi:10.54103/2039-4942/16665. hdl:11573/1708747. ISSN 2039-4942. S2CID 250580462.
- ↑ 가 나 다 Larramendi, Asier; Palombo, Maria Rita; Marano, Federica (2017). “Reconstructing the life appearance of a Pleistocene giant: size, shape, sexual dimorphism and ontogeny of Palaeoloxodon antiquus (Proboscidea: Elephantidae) from Neumark-Nord 1 (Germany)” (PDF). 《Bollettino della Società Paleontologica Italiana》 (3): 299–317. doi:10.4435/BSPI.2017.29 (년 이후로 접속 불가 2024-11-20). ISSN 0375-7633. 2023년 9월 3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12월 16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Lister, Adrian; Bahn, Paul (2007). 《Mammoths: giants of the ice age》. Frances Lincoln LTD. 25–26쪽. ISBN 9780711228016.
- ↑ Lister, A. M.; Sher, A. V. (2015년 11월 13일). “Evolution and dispersal of mammoths across the Northern Hemisphere”. 《Science》 350 (6262): 805–809. Bibcode:2015Sci...350..805L. doi:10.1126/science.aac5660. PMID 26564853. S2CID 206639522.
- ↑ 가 나 Rivals, Florent; Semprebon, Gina M.; Lister, Adrian M. (September 2019). “Feeding traits and dietary variation in Pleistocene proboscideans: A tooth microwear review”. 《Quaternary Science Reviews》 (영어) 219: 145–153. Bibcode:2019QSRv..219..145R. doi:10.1016/j.quascirev.2019.06.027. S2CID 200073388.
- ↑ Rivals, Florent; Semprebon, Gina; Lister, Adrian (2012년 3월 26일). “An examination of dietary diversity patterns in Pleistocene proboscideans (Mammuthus, Palaeoloxodon, and Mammut) from Europe and North America as revealed by dental microwear”. 《Quaternary International》 (영어) 255: 188–195. doi:10.1016/j.quaint.2011.05.036. 2024년 9월 2일에 확인함 – Elsevier Science Direct 경유.
- ↑ Rivals, Florent; Mol, Dick; Lacombat, Frédéric; Lister, Adrian M.; Semprebon, Gina M. (2015년 8월 27일). “Resource partitioning and niche separation between mammoths (Mammuthus rumanus and Mammuthus meridionalis) and gomphotheres (Anancus arvernensis) in the Early Pleistocene of Europe”. 《Quaternary International》. Mammoths and their Relatives: VIth International Conference, Grevena-Siatista, Greece, part 1 (영어) 379: 164–170. Bibcode:2015QuInt.379..164R. doi:10.1016/j.quaint.2014.12.031. ISSN 1040-6182.
- ↑ Lister, A. M.; Sher, A. V.; Van Essen, H.; Wei, G. (2005). “The pattern and process of mammoth evolution in Eurasia” (PDF). 《Quaternary International》. 126–128: 49–64. Bibcode:2005QuInt.126...49L. doi:10.1016/j.quaint.2004.04.014.
- ↑ Ferretti, M. P. (2003). “Structure and evolution of mammoth molar enamel”. 《Acta Palaeontologica Polonica》. 3 48: 383–396.
외부 링크
[편집]- Lister, A.; Bahn, P. (2007). 《Mammoths - Giants of the Ice Age》 3판. London: Frances Lincoln. ISBN 978-0-520-261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