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팔벌레
보이기
	
	
| 
 | |
|---|---|
Stentor roeseli  | |
| 생물 분류ℹ️ | |
| 역: | 진핵생물 | 
| 계: | 크로말베올라타계 | 
| 상문: | 피하낭상문 | 
| 문: | 섬모충문 | 
| 강: | 이모강 또는 이모충강 | 
| 목: | 이모목 또는 이모섬모충강 | 
| 과: | 나팔벌레과 (Stentoridae) Carus, 1863  | 
| 속: | 나팔벌레속 (Stentor) Oken, 1815  | 
| 향명 | |
  | |
나팔벌레(喇叭-)는 이모충류를 대표하는 여과섭식 및 종속영양성 섬모충류 원생생물이다. 몸은 원뿔형 또는 나팔 모양으로 몸길이는 1~2mm이다. 몸빛은 종류에 따라 무색·갈색·담홍색·청색·녹색·붉은색을 띤다. 몸의 앞쪽에는 넓은 입부분이 있고 그 가장자리에 섬모가 입 부분을 반시계 방향의 나선형으로 둘러싸고 있으며, 중앙에 소화관이 아래쪽으로 연결되어 있다. 입 부분을 제외한 몸 전면에는 짧은 섬모가 빽빽이 나 있다. 대핵은 작은 타원 모양으로 6~9개 정도가 염주 모양으로 늘어서 있고, 소핵은 여러 개가 대핵 주위를 둘러싸며 흩어져 있다. 몸은 수축성이 있으며, 몸 표면에는 섬모가 있고 다른 물질에 부착하기도 한다.
더러운 만의 갇힌 물에 서식하며 헤엄치면서 미생물을 잡아먹고 산다.[1]
분류체계
[편집]20종 이상이 속해 있다.[2][3] 나팔벌레속의 학명은 1815년 독일의 생물학자 로렌츠 오켄(Lorenz Oken. 1779–1851)이 명명한 것이다.[4]
나팔벌레속의 모식종은 Stentor muelleri Ehrenberg, 1831이다. 근래의 분자 분석에 따르면, 나팔벌레속은 단계통이며, 눈썹섬모충(Blepharisma)과 근연인 것으로 보인다.[5]
하위 종
[편집]- Stentor amethystinus
 - Stentor araucanus
 - Stentor baicalius (이명. Stentor pygmaeus)
 - Stentor barretti
 - Stentor caudatus
 - Stentor coeruleus
 - Stentor cornutus
 - Stentor elegans
 - Stentor fuliginosus
 - Stentor igneus
 - Stentor introversus
 - Stentor katashimai
 - Stentor loricatus
 - Stentor magnus
 - Stentor muelleri (이명. Stentor felici)
 - Stentor multiformis (이명. Stentor gallinulus, =S. nanus)
 - Stentor multimicronucleatus
 - Stentor niger
 - Stentor polymorphus (이명. Stentor pediculatus)
 - Stentor pyriformis
 - Stentor roeseli
 
영상
[편집]각주
[편집]- ↑ '나팔벌레 - 원생동물', 《글로벌 세계 대백과》
 - ↑ Kumazawa, H. (2002). “Notes on the taxonomy of Stentor Oken (Protozoa, Ciliophora) and a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J. Plankton Res.》 24 (1): 69–75. doi:10.1093/plankt/24.1.69.
 - ↑ Foissner, W.; Wölfl, S. (1994). “Revision of the genus Stentor Oken (Protozoa: Ciliophora) and description of S. araucanus nov. spec. from South American lakes”. 《J. Plankton Res.》 16 (3): 255–289. doi:10.1093/plankt/16.3.255.
 - ↑ 참고:
- Oken, Lorenz (1815). 《Okens Lehrbuch der Naturgeschichte. Dritter Theil: Zoologie. Erste Abtheilung: Fleischlose Thiere.》. Leipzig: C.H. Reclam. 45쪽. From p. 45: "4 Gattung. Trichtel, Stentor; Leib gestielt, Mundrand umgelegt, durchsichtig. Sitzt gewöhnlich mit dem Stiel fest an Wasserlinsen, meist in Gesellschaft." (4th genus. Little funnel, Stentor; stalked body, rim of the mouth is wrapped around, transparent. Usually sits with the stalk fastened to duckweed, mostly in colonies.)
 - Aescht, Erna (2001). 《Catalogue of the Generic Names of Ciliates (Protozoa, Ciliophora)》 (PDF). Linz, Austria: Biologiezentrum des Oberösterreichischen Landesmuseums (Center for Biology of the State Museum of Upper Austria). 153, 251, 307쪽.
 
 - ↑ Gong YC, Yu YH, Zhu FY, Feng WS (2007). “Molecular phylogeny of Stentor (Ciliophora: Heterotrichea) based on small subunit ribosomal RNA sequences”. 《J. Eukaryot. Microbiol.》 54 (1): 45–8. doi:10.1111/j.1550-7408.2006.00147.x. PMID 17300519. S2CID 39515796. 2020년 10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5년 3월 16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