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기계식 컴퓨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953년에서 1959년 사이에 독일의 DeTeWe 회사에서 생산된 함만 마누스 R 기계식 컴퓨터

기계식 컴퓨터(mechanical computer)는 전자 부품이 아닌 지레기어와 같은 기계 부품으로 만들어진 컴퓨터이다. 가장 일반적인 예는 가산기기계식 카운터로, 기어의 회전을 사용하여 출력 디스플레이를 증가시킨다. 더 복잡한 예로는 곱셈과 나눗셈을 수행할 수 있었고(조나선 3세는 각 열에서 멈추는 움직이는 헤드를 사용했다), 심지어 미분 해석도 가능했다. 2000년대에 판매된 네그 470 회계 장치 모델은 제곱근을 계산했다.

기계식 컴퓨터는 곡면 판이나 계산자와 같은 연속적이거나 매끄러운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계산하는 아날로그 방식이거나, 핀휠 계산기 및 기어와 같은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이산 방식일 수 있다.

기계식 컴퓨터는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정점에 달했는데, 당시 이들은 노르덴과 같은 복잡한 폭격 조준기와 미국 어뢰 데이터 컴퓨터 또는 영국 해군 사격 통제 테이블과 같은 선박 계산용 유사 장치의 기반을 형성했다. 초기 우주선의 기계식 비행 계기는 주목할 만하다. 이 계기는 숫자가 아닌 지표면의 변위 형태로 계산된 출력을 제공했다. 1961년 유리 가가린의 첫 우주 비행부터 2002년까지 모든 유인 소련 및 러시아 우주선인 보스토크, 보스호트, 소유즈에는 소형 지구본의 변위를 통해 우주선 아래의 지구의 겉보기 움직임을 보여주는 글로부스 장치위도경도 지표가 장착되어 있었다.

기계식 컴퓨터는 1960년대까지 계속 사용되었지만, 디지털 컴퓨터가 등장한 이후 꾸준히 입지를 잃고 있었다. 1960년대 중반에는 음극선관 출력을 가진 전용 전자 계산기가 등장했다. 진화의 다음 단계는 1970년대에 저렴한 휴대용 전자 계산기가 도입되면서 발생했다. 기계식 컴퓨터의 사용은 1970년대에 감소했으며 1980년대에는 드물었다.

2016년, NASA는 극심한 환경을 위한 자동화 로버 프로그램이 금성에서 발견되는 혹독한 환경 조건에서 작동하기 위해 기계식 컴퓨터를 사용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

예시

[편집]
커타 계산기

천공 카드 데이터 처리

[편집]

19세기 후반, 전자 컴퓨터가 등장하기 한참 전에 데이터 처리는 총칭하여 유닛 레코드 장비, 전기 회계 기계(EAM), 또는 제표기라고 불리는 전기기계식 기계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1887년까지 허먼 홀러리스는 인구 조사 사실을 기록, 편집 및 제표하는 기계식 시스템의 기초를 마련했다.[14] "유닛 레코드" 데이터 처리 장비는 한 항목당 한 장의 천공 카드를 사용하여 정보를 전달한다.[15][16] 유닛 레코드 기계는 20세기 첫 3분의 2 동안 산업과 정부에서 컴퓨터가 마지막 3분의 1 동안 그랬던 것처럼 어디에나 존재하게 되었다. 이들은 전자 컴퓨터가 발명되기 전과 아직 초기 단계에 있을 때 대량의 정교한 데이터 처리 작업을 가능하게 했다. 이 데이터 처리는 신중하게 안무된 진행 과정에 따라 다양한 유닛 레코드 기계를 통해 천공 카드를 처리함으로써 이루어졌다. 카드에 있는 데이터는 다른 데이터와 더해지고, 빼지고, 비교될 수 있었으며, 나중에는 곱해지기도 했다.[17] 이 기계에서 기계로의 진행, 즉 흐름은 종종 상세한 순서도로 계획되고 문서화되었다.[18] 초기 기계들을 제외한 모든 기계들은 분당 약 100~2,000개의 카드를 처리하는 고속 기계식 급지 장치를 가지고 있었고, 기계식, 전기식, 또는 나중에는 광학 센서로 천공된 구멍을 감지했다. 많은 기계의 작동은 교체 가능한 플러그판, 제어판, 또는 연결 상자를 사용하여 지시되었다.

전기기계식 컴퓨터

[편집]
하웰 데카트론

초기 전기 구동 컴퓨터는 진공관 (열전자관) 또는 트랜지스터 (이후 전자 컴퓨터가 만들어진 재료)가 아닌 개폐기릴레이 논리로 구성되었으며, 전기기계식 컴퓨터로 분류된다. 이들은 설계와 기능면에서 크게 달랐으며, 일부 장치는 부동 소수점 산술이 가능했다. 일부 릴레이 기반 컴퓨터는 진공관 컴퓨터가 개발된 후에도 계속 사용되었는데, 느린 속도는 뛰어난 신뢰성으로 보완되었다. 일부 모델은 오류를 감지하기 위해 중복 프로세서로 제작되었거나, 오류를 감지하고 명령을 재시도할 수 있었다. 소수의 모델은 여러 대가 생산되어 상업적으로 판매되었지만, 많은 디자인은 실험적인 일회성 생산이었다.

이름 국가 연도 비고 참고
자동 릴레이 컴퓨터 영국 1948 부스의 실험작 [19]
ARRA 네덜란드 1952 실험작
BARK 스웨덴 1952 실험작
ETL 마크 I 일본 1952 실험작, 비동기식 [20]
FACOM-100 일본 1954 후지쯔 상업용, 비동기식 [21]
FACOM-128 일본 1956 상업용 [22]
하웰 컴퓨터 영국 1951 나중에 WITCH로 알려짐
하버드 마크 I 미국 1944 "IBM 자동 순서 제어 계산기"
하버드 마크 II 미국 1947 "아이켄 릴레이 계산기"
IBM SSEC 미국 1948
임페리얼 칼리지 컴퓨팅 엔진 (ICCE) 영국 1951 전기기계식[23] [24][25][26]
해군연구청 ONR 릴레이 컴퓨터 미국 1949 6비트, 드럼 저장 장치, 하지만 아틀라스 기반의 전기기계식 릴레이 ALU (이전 해군 암호 해독 컴퓨터 ABEL) [27][28][29][30]
OPREMA 동독 1955 예나의 자이스 옵티컬에서 상업용으로 사용 [31]
RVM-1 소련 1957 니콜라이 베소노프, 알렉산더 크론로드 [32][33][34][35][36][37]
SAPO 체코슬로바키아 1957
사이먼 미국 1950 취미용 논리 시연 잡지 기사
Z2 독일 1940 콘라트 추제
Z3 독일 1941 추제
Z4 독일 1945 추제
Z5 독일 1953 추제
Z11 독일 1955 추제, 상업용
벨 연구소 모델 I 미국 1940 조지 스티비츠, "복소수 계산기", 450개 릴레이와 크로스바 스위치, 1940년 원격 접속 시연, 1948년까지 사용 [38]
벨 연구소 모델 II 미국 1943 "릴레이 보간기", 전시 작업에 사용, 1962년 가동 중단 [38]
벨 연구소 모델 III 미국 1944 "탄도 계산기", 1949년까지 사용 [38]
벨 연구소 모델 IV 미국 1945 해군 "마크 22 오류 탐지기", 1961년까지 사용 [38]
벨 연구소 모델 V 미국 1946년, 1947년 2개 유닛 납품, 범용, 내장 삼각 함수, 부동 소수점 산술 [38]
벨 연구소 모델 VI 미국 1949 범용, 여러 기능이 향상된 간소화된 모델 V
이름 없는 암호 해독 곱셈기 영국 1937 앨런 튜링 [39][40]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Hall, Loura (2016년 4월 1일). “Automaton Rover for Extreme Environments (AREE)” (영어). 《NASA》. 2017년 8월 29일에 확인함. 
  2. Needham, Volume 4, Part 2, 445.
  3. Needham, Volume 4, Part 2, 448.
  4. Bodde, 140.
  5. Fry, 10.
  6. 〈Machines of the East〉Ancient Discoveries》. 시즌 3. 제10 회. History Channel. 2021년 12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9월 7일에 확인함. 
  7. Howard R. Turner (1997), Science in Medieval Islam: An Illustrated Introduction, p. 184, University of Texas Press, ISBN 0-292-78149-0
  8. Donald Routledge Hill, "Mechanical Engineering in the Medieval Near East", Scientific American, May 1991, pp. 64–9 (cf. Donald Routledge Hill, Mechanical Engineering 보관됨 2007-12-25 - 웨이백 머신)
  9. Abrams, Melanie (2018년 2월 16일). 'The Beauty of Time' (미국 영어). 《The New York Times》. ISSN 0362-4331. 2022년 6월 4일에 확인함. 
  10. Kovács, Győző (2012), Tatnall, Arthur (편집), “Hungarian Scientists in Information Technology”, 《Reflections on the History of Computing》, IFIP Advanc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Berlin, Heidelberg: Springer Berlin Heidelberg) 387, 292–294쪽, doi:10.1007/978-3-642-33899-1_18, ISBN 978-3-642-33898-4, 2022년 6월 23일에 확인함 
  11. Weibel, Peter (2005년 5월 17일). 《Beyond Art: A Third Culture: A Comparative Study in Cultures, Art and Science in 20th Century Austria and Hungary》. Springer. 304–305쪽. ISBN 9783211245620. 
  12. Hebime (2016년 7월 5일). “Hungarian Gamma-Juhász predictor”. 《WT Live》. 
  13. “Z3 from FOLDOC”. 《foldoc.org》. 2020년 7월 2일에 확인함. 
  14. 《General Information Manual: An Introduction to IBM Punched Card Data Processing》. IBM. 1쪽. 
  15. Janda, Kenneth (1965). 《Data Processing》.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47쪽. 
  16. McGill, Donald A.C. (1962). 《Punched Cards, Data Processing for Profit Improvement》. McGraw-Hill. 29쪽. 
  17. 《Machine Functions》 (PDF).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1957. 224-8208-3. 
  18. 《Flow Charting and Block Diagramming Techniques》 (PDF).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1959. /C20-8008-0. 
  19. Lavington, Simon Hugh (1980). 《Early British Computers: The Story of Vintage Computers and the People who Built Them》 (영어). Manchester University Press. 62쪽. ISBN 9780719008108. 
  20. Takahasi, H. (1980). Some important computers of Japanese design. Annals of the History of Computing, 2(4), 330-337.
  21. “Fujitsu Facom 100”. 2017년 7월 26일에 확인함. 
  22. “FACOM 128A and 128B Relay Computers”. 2017년 7월 26일에 확인함. 
  23. “Profile for Tony Brooker at the University of Essex”. 《www.essex.ac.uk》. 2018년 5월 19일에 확인함. 
  24. “From the Arithmometer to Electronic Arithmetic – 1998” (미국 영어). 《Imperial College Video Archive Blog》. 2016년 5월 6일. 2018년 5월 14일에 확인함.  Cited video fragment from 38:15 to 38:32
  25. 《Relay Digital Computer, Imperial College, Univ. of London》. 《Digital Computer Newsletter》 3. April 1951. 4쪽. 
  26. Bowden, B. V. (편집). 〈11. The Imperial College Computing Engine〉. 《Faster Than Thought》. 161–164 (103–105)쪽. 
  27. Boslaugh, David L. (2003). 《When Computers Went to Sea: The Digitization of the United States Navy》. John Wiley & Sons. 95–96쪽. ISBN 9780471472209. 
  28. 《The ONR Relay Computer》. 《Digital Computer Newsletter》 4. April 1952. 2쪽. 
  29. 《A survey of automatic digital computers》. Office of Naval Research, Dept. of the Navy. 1953. 75쪽. 
  30. Wolf, J. Jay (1952). 《The Office of Naval Research Relay Computer》. 《Mathematics of Computation》 6. 207–212쪽. doi:10.1090/S0025-5718-1952-0050393-0. ISSN 0025-5718. 
  31. Augustine, Dolores L. (2007). 《Red Prometheus: Engineering and Dictatorship in East Germany, 1945–1990》 (영어). MIT Press. 134쪽. ISBN 9780262012362. 
  32. Н. И. Бессонов, Способ нахождения суммы произведений нескольких пар сомножителей на счетно-аналитической машине табулятор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Авт. св-во SU91513, 01.01.1951.
  33. Н. И. Бессонов, Релейный вычислительный автомат. Авт. св-во SU98799, 01.01.1954.
  34. Н. И. Бессонов,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борки групп разрядов числа и сдвига этих групп или всего числа на заданное число разрядов. Авт. св-во SU217719, 07.05.1968.
  35. Н. И. Бессонов. Релейная вычислительная машина РВМ. Дисс. канд. техн. наук, Акад. наук СССР. Теплотехн. лаборатория, Москва, 1958
  36. А. С. Кронрод. Беседы о программировании. Изд. 3, URSS, 2006
  37. “Relay Computer RVM-1”. 2018년 6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7월 25일에 확인함. 
  38. Belzer, Jack; Holzman, Albert G.; Kent, Allen (1976년 3월 1일). 《Encyclopedia of Computer Science and Technology: Volume 3 – Ballistics Calculations to Box-Jenkins Approach to Time Series Analysis and Forecasting》 (영어). CRC Press. 197–200쪽. ISBN 9780824722531. 
  39. Teuscher, Christof (2004). 《Alan Turing: Life and Legacy of a Great Thinker》 (영어).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46쪽. ISBN 9783540200208. 
  40. Hodges, Andrew (2014년 11월 10일). 《Alan Turing: The Enigma: The Book That Inspired the Film "The Imitation Game"》 (영어). Princeton University Press. 175–177쪽. ISBN 9781400865123.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