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형사재판소 잔여업무처리기구
| 국제형사재판소 잔여업무처리기구 | |
|---|---|
| 프랑스어: Mécanisme international appelé à exercer les fonctions résiduelles des Tribunaux pénaux | |
잔여업무처리기구의 인장 | |
| 설립 | 2010년 12월 22일 |
| 소재지 | 탄자니아 아루샤 네덜란드 헤이그 |
| 승인 기준 |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966호 |
| 웹사이트 | www |
| 소장 | |
| 현재 | 그라시엘라 S. 가티 산타나 |
| 시작일 | 2022년 7월 1일 |
| 검사장 | |
| 현재 | 세르주 브람메르츠 |
| 시작일 | 2016년 2월 29일 |
| 사무국장 | |
| 현재 | 아부바카 마리 탐바두 |
| 시작일 | 2020년 7월 1일 |

국제형사재판소 잔여업무처리기구 (줄여서 IRMCT, MICT, 잔여업무처리기구)[a][1]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가 2010년에 설립한 국제 법원으로, 구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ICTY)와 르완다 국제형사재판소(ICTR)가 각자의 임무를 완료한 후 남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이 기구는 탄자니아의 아루샤와 네덜란드의 헤이그에 재판소를 두고 있다.
배경
[편집]1990년대 초반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전쟁범죄, 인도에 반한 죄, 집단학살에 책임이 있는 사람을 조사하고 기소할 목적으로 두 개의 형사법원을 설립했다. 이 법원 중 첫 번째는 1993년에 설립되어 유고슬라비아 전쟁 중 저질러진 범죄를 조사하는 구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ICTY)이다. 두 번째 법원인 르완다 국제형사재판소(ICTR)는 이듬해에 르완다 집단학살 중 저질러진 범죄를 다루기 위해 설립되었다. ICTY와 ICTR 모두 범죄를 조사하고 피고인을 기소하는 임무를 완수한 후 종료될 임시 기관으로 예정되었다. 두 재판소 모두 실질적으로 모든 임무를 완수했지만, 앞으로 더 많은 해 동안 이루어져야 하는 잔여 기능들이 있다. 예를 들어, 남은 ICTR 도피범이 체포되면 미래의 재판이 열릴 수 있고 유죄 판결을 받은 사람은 여전히 조기 석방을 신청할 수 있으며, 증인 보호 명령을 수정해야 할 수도 있고, 기밀 문서를 포함하는 기록을 보호해야 한다. ICTY와 ICTR의 잔여 기능을 효율적으로 감독하기 위해 안전 보장 이사회는 2010년 12월 22일 결의 제1966호를 통과시켜 잔여업무처리기구를 창설했다.
임무
[편집]결의 제1966호에서 안전 보장 이사회는 "잔여업무처리기구는 ICTY와 ICTR의 관할권, 권리 및 의무, 필수 기능을 계속 수행한다"고 결정했다. 안전 보장 이사회는 또한 잔여업무처리기구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능과 규모가 줄어들고, 축소된 기능에 비례하는 소수의 직원을 가진 작고 임시적이며 효율적인 구조"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잔여업무처리기구는 안전 보장 이사회가 달리 결정할 때까지 계속 운영될 것이지만, 2016년부터 2년마다 운영 검토를 받게 된다.
잔여업무처리기구는 두 개의 지부로 구성된다. 한 지부는 ICTR에서 계승된 기능을 담당하며 탄자니아 아루샤에 소재한다. 탄자니아 지부는 2012년 7월 1일부터 기능을 시작했다. 다른 지부는 네덜란드 헤이그에 소재하며 2013년 7월 1일부터 운영을 시작했다. 잔여업무처리기구 초기 운영 기간 동안 ICTR과 ICTY는 잔여업무처리기구의 각 지부의 시작일 현재 계류 중인 모든 재판 또는 항소 절차에 대한 미완성 작업을 완료함에 따라 이들 기관과 시간적으로 중복되었다.
도피자
[편집]ICTR에 의해 재판을 위해 여전히 수배 중인 남은 도피자의 추적, 체포 및 기소는 국제형사재판소 잔여업무처리기구의 최우선 과제였으며, OTP 도피자 추적팀이 수행했다.
2011년 ICTY의 마지막 두 도피자인 라트코 믈라디치와 고란 하지치가 체포 및 이송됨에 따라, 원래 잔여업무처리기구의 기능으로 구상되었던 ICTY의 남은 도피자 재판은 ICTY에서 완료되었다.
잔여업무처리기구 규정 제6조 3항에 따라, 잔여업무처리기구은 가장 중대한 범죄를 저지른 가장 책임 있는 사람에 대해서만 관할권을 유지한다. 이 조항에 따라 ICTR 검사장은 마지막 두 도피자인 샤를 시쿠브와보와 샤를 리얀디카요의 사건에 대해 르완다로 이송을 요청했으며, 둘은 2024년 5월 15일 사망한 것으로 선언되었다. 둘의 사망으로 IRMCT는 모든 ICTR 도피자가 성공적으로 처리되었다고 발표했다.
1000명 이상의 집단학살범 도피자가 각 국내 정부가 수배 중이며, IRMCT는 이들 도피자의 추적을 계속 지원하고 있다.[2]
주요 직위
[편집]잔여업무처리기구의 주요 직위자들은 잔여업무처리기구의 세 가지 독립된 기관을 이끄는 세 명의 사람을 의미한다.[3] 모든 주요 직위자는 갱신 가능한 4년 임기로 임명된다.[3]
소장
[편집]소장은 잔여업무처리기구 사법부인 재판부의 수장이자 최고 선임 판사이다. 소장은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의장 및 잔여업무처리기구 판사와 협의를 거쳐 사무총장이 임명한다.[3]
| 이름 | 국가 | 임기 시작 | 임기 종료 | 참고 |
|---|---|---|---|---|
| 테오도르 메론 | 2012년 3월 1일 | 2019년 1월 18일 | [4] | |
| 카멜 아기우스 | 2019년 1월 19일 | 2022년 6월 30일 | [5] | |
| 그라시엘라 S. 가티 산타나 | 2022년 7월 1일 | 재임 중 | [6] |
검사장
[편집]검사장은 잔여업무처리기구 처리 이전 사건의 조사 및 기소를 지휘하며, 사무총장이 지명하고 안전 보장 이사회가 임명한다.[3]
| 이름 | 국가 | 임기 시작 | 임기 종료 | 참고 |
|---|---|---|---|---|
| 하산 잘로우 | 2012년 3월 1일 | 2016년 2월 29일 | [4] | |
| 세르주 브람메르츠 | 2016년 3월 1일 | 재임 중 | [7] |
사무국장
[편집]사무총장이 임명하는 사무국장은 잔여업무처리기구 운영에 행정적, 법률적, 정책적, 외교적 지원을 제공하는 사무국을 이끈다.[3]
| 이름 | 국가 | 임기 시작 | 임기 종료 | 참고 |
|---|---|---|---|---|
| 존 호킹 | 2012년 1월 18일 | 2016년 12월 31일 | [4] | |
| 올루페미 엘리아스 | 2017년 1월 1일 | 2020년 6월 30일 | [8] | |
| 아부바카르 마리 탐바두 | 2020년 7월 1일 | 재임 중 | [9] |
판사
[편집]
잔여업무처리기구 판사는 유엔 회원국의 지명을 거쳐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가 작성한 명단에서 총회가 선출한다.[10] 판사는 4년 임기로 근무하며,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및 총회 의장과의 협의를 거쳐 사무총장이 재임명할 수 있다. 판사는 필요한 경우에만 소장의 요청에 따라 잔여업무처리기구에 출석한다. 가능한 한 판사는 원격으로 직무를 수행한다.[10]
| 이름 | 국가 | 임기 시작 | 임기 종료 | 참고 |
|---|---|---|---|---|
| 카멜 아기우스 | 2012년 7월 1일 | 재임 중 | [10] | |
| 아이딘 세파 아카이 | 2012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 [10][11] | |
| 유수프 악사르 | 2018년 12월 21일 | 재임 중 | [10][12] | |
| 르네 호세 안드리아티아나리벨로 | 2024년 2월 20일 | 재임 중 | [10][13] | |
| 장클로드 안토네티 | 2012년 7월 1일 | 재임 중 | [10] | |
| 플로렌스 리타 아레이 | 2012년 7월 1일 | 재임 중 | [10] | |
| 무스타파 엘 바지 | 2019년 1월 15일 | 재임 중 | [10][14] | |
| 이아인 보노미 | 2020년 2월 6일 | 재임 중 | [10][15] | |
| 솔로미 발룽기 보사 | 2012년 7월 1일 | 2018년 3월 11일 | [10][16] | |
| 마가렛 M. 데구즈만 | 2021년 12월 22일 | 재임 중 | [10][17] | |
| 호세 R. 데 프라다 솔라에사 | 2012년 7월 1일 | 재임 중 | [10] | |
| 벤 엠머슨 | 2012년 7월 1일 | 2019년 7월 19일 | [10][15] | |
| 크리스토프 플뤼게 | 2012년 7월 1일 | 2019년 1월 7일 | [10][18] | |
| 그라시엘라 가티 산타나 | 2012년 7월 1일 | 재임 중 | [10] | |
| 버턴 홀 | 2012년 7월 1일 | 재임 중 | [10] | |
| 클라우디아 회퍼 | 2019년 2월 21일 | 재임 중 | [10][18] | |
| 엘리자베스 이반다-나함야 | 2018년 3월 19일 | 2023년 1월 5일 | [16][19] | |
| 바그네 요엔센 | 2012년 7월 1일 | 재임 중 | [10] | |
| 그베르다오 구스타브 캄 | 2012년 7월 1일 | 2021년 2월 17일 | [10][20] | |
| 류다췬 | 2012년 7월 1일 | 재임 중 | [10] | |
| 조셉 마산체 | 2012년 7월 1일 | 재임 중 | [10] | |
| 테오도르 메론 | 2012년 7월 1일 | 2021년 11월 17일 | [10][21] | |
| 바코네 저스티스 몰로토 | 2012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 [10] | |
| 리디아 N. 무감베 살리 | 2023년 5월 30일 | 2025년 5월 5일 | [22][23] | |
| 리 G. 무토가 | 2012년 7월 1일 | 재임 중 | [10] | |
| 아미나타 로이스 루네니 응움 | 2012년 7월 1일 | 재임 중 | [10] | |
| 프리스카 마팀바 냠베 | 2012년 7월 1일 | 재임 중 | [10] | |
| 알폰스 M.M. 오리에 | 2012년 7월 1일 | 재임 중 | [10] | |
| 세이모어 판톤 | 2016년 4월 28일 | 재임 중 | [10][24] | |
| 박 선기 | 2012년 7월 1일 | 재임 중 | [10] | |
| 음파라니 마미 리차드 라존슨 | 2012년 7월 1일 | 2018년 10월 2일 | [10][25] | |
| 마한드리소아 에드몬드 란드리아니리나 | 2019년 1월 29일 | 2023년 10월 4일 | [10][26][13] | |
| 패트릭 립톤 로빈슨 | 2012년 7월 1일 | 2015년 11월 17일 | [10][27] | |
| 이보 넬슨 데 카이레스 바티스타 로사 | 2012년 7월 1일 | 재임 중 | [10] | |
| 파티마타 사누 투레 | 2021년 8월 12일 | 재임 중 | [10][28] | |
| 윌리엄 H. 세쿨레 | 2012년 7월 1일 | 재임 중 | [10] |
같이 보기
[편집]내용주
[편집]각주
[편집]- ↑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2010년 12월 22일). “S/RES/1966 ICYEMEZO 1966 (2010)” (PDF). 《IRMCT》. 2024년 5월 19일에 확인함.
- ↑ “IRMCT Prosecutor announces all ICTR Fugitives successfully accounted for”. 《IRMCT》. 2024년 5월 15일. 2024년 5월 19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Principals”. IRMCT. 2016년 4월 1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Former Principals”. IRMCT. 2019년 1월 24일에 확인함.
- ↑ “President”. IRMCT. 2019년 1월 19일. 2019년 1월 19일에 확인함.
- ↑ “President”. IRMCT. 2022년 6월 27일. 2022년 6월 27일에 확인함.
- ↑ “Prosecutor”. IRMCT. 2016년 4월 1일에 확인함.
- ↑ “United Nations Secretary-General appoints Mr. Olufemi Elias as Registrar of the Mechanism”. IRMCT. 2016년 11월 29일. 2017년 1월 2일에 확인함.
- ↑ “UN Secretary-General appoints Mr. Abubacarr Marie Tambadou as Registrar of the Mechanism”. IRMCT. 2020년 7월 2일. 2020년 7월 3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더 러 머 버 서 어 저 처 커 터 퍼 허 고 노 도 로 모 보 소 오 “Judges”. IRMCT. 2021년 12월 24일에 확인함.
- ↑ “Statement of the President on the non-reappointment of Judge Akay”. IRMCT. 2018년 7월 3일. 2018년 7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7월 4일에 확인함.
- ↑ “General Assembly elects Judge Yusuf Aksar of Turkey to serve as Mechanism Judge”. IRMCT. 2019년 1월 7일. 2019년 1월 8일에 확인함.
- ↑ 가 나 “Mechanism welcomes new Judge to its judicial roster”. IRMCT. 2024년 2월 21일. 2024년 2월 22일에 확인함.
- ↑ “General Assembly elects Judge Mustapha El Baaj of Morocco to serve as Mechanism Judge”. IRMCT. 2019년 1월 16일. 2019년 1월 18일에 확인함.
- ↑ 가 나 “Secretary-General appoints Judge Iain Bonomy of the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 to serve as Mechanism Judge”. IRMCT. 2020년 2월 11일. 2020년 9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2월 12일에 확인함.
- ↑ 가 나 “S/2018/255: Letter dated 19 March 2018 from the Secretary-General addressed to the President of the Security Council”. UN. 2018년 3월 23일. 2018년 3월 29일에 확인함.
- ↑ “Secretary-General appoints Judge Margaret Anne McAuliffe deGuzman of United States of America to serve as Mechanism Judge”. IRMCT. 2021년 12월 23일. 2021년 12월 24일에 확인함.
- ↑ 가 나 “Secretary-General appoints Judge Claudia Hoefer of Germany to serve as Mechanism Judge”. IRMCT. 2019년 2월 22일. 2019년 2월 23일에 확인함.
- ↑ “Mechanism Mourns the Loss of Judge Elizabeth Ibanda-Nahamya”. IRMCT. 2022년 1월 6일. 2022년 1월 8일에 확인함.
- ↑ “Mechanism Mourns the Loss of Judge Gberdao Gustave Kam”. IRMCT. 2021년 2월 18일. 2021년 2월 19일에 확인함.
- ↑ “Judge Theodor Meron steps down from Judicial Roster of the International Residual Mechanism for Criminal Tribunals”. IRMCT. 2021년 11월 5일. 2021년 12월 24일에 확인함.
- ↑ “S/2023/386: Letter dated 26 May 2023 from the Secretary-General addressed to the President of the Security Council” (PDF). UN. 2023년 5월 30일. 2023년 6월 10일에 확인함.
- ↑ “Statement of the Mechanism Following Resignation of Judge Lydia Mugambe”. IRMCT. 2025년 5월 7일. 2025년 5월 12일에 확인함.
- ↑ “S/2016/409: Letter dated 28 April 2016 from the Secretary-General addressed to the President of the Security Council”. UN. 2016년 5월 3일. 2018년 3월 29일에 확인함.
- ↑ “Mechanism Judge Mparany Mamy Richard Rajohnson passes away”. IRMCT. 2018년 10월 4일. 2018년 10월 5일에 확인함.
- ↑ “Secretary-General appoints Judge Mahandrisoa Edmond Randrianirina of Madagascar to serve as Mechanism Judge”. IRMCT. 2019년 2월 1일. 2019년 2월 2일에 확인함.
- ↑ “S/2016/376: Letter dated 20 April 2016 from the Secretary-General addressed to the President of the Security Council”. UN. 2016년 4월 25일. 2018년 3월 29일에 확인함.
- ↑ “Secretary-General appoints Judge Fatimata Sanou Touré of Burkina Faso to serve as Mechanism Judge”. IRMCT. 2021년 8월 13일. 2021년 8월 15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