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유머극장
보이기
![]() | |
장르 | 코미디 |
---|---|
방송 국가 | ![]() |
방송 채널 | 동양방송 → KBS 1TV |
방송 기간 | TBC판: 1976년 1월 18일 ~ 1980년 8월 31일 KBS판: 1981년 2월 7일 ~ 1981년 3월 28일 KBS판: 1982년 5월 9일 ~ 1985년 11월 3일 |
방송 시간 | 역대방송시간 참조 |
방송 분량 | 역대방송분량 참조 |
연출 | 김경태, 안인기 |
출연자 | 서영춘, 송해, 배일집, 배연정, 김영하 등 |
고전유머극장은 1976년부터 1985년까지 방영된 대한민국의 코미디극 프로그램이다. 동양방송에서 '고전유머극장'으로 시작하여 1977년부터는 유모어극장으로 이름을 변경하였으며, 동양방송이 1980년 언론 통폐합으로, KBS에 인수 합병된 후에도 계속 방영되었다.
방송
[편집]동양방송(TBC, 채널 7)에서 1976년 1월 18일부터 매주 일요일 저녁 6시 30분에 방영되었고, 1980년 언론 통폐합으로, 한국방송공사에 인수 합병된 이후에, KBS 1TV에서 방영을 계속하여 1985년 11월 3일까지 매주 일요일 저녁에 방송되었다.
방송 시간
[편집]방송 채널 | 방송 기간 | 방송 시간 |
---|---|---|
동양방송 → KBS 1TV | 1976년 1월 18일 ~ 1976년 1월 25일 | 일요일 오후 6시 30분 ~ 오후 7시 15분 (45분) |
1976년 2월 1일 | 일요일 오후 6시 35분 ~ 오후 7시 20분 (45분) | |
1976년 2월 8일 ~ 1976년 5월 30일 | 일요일 오후 7시 ~ 오후 7시 45분 (45분) | |
1976년 6월 13일 ~ 1976년 8월 8일 | 일요일 오후 6시 50분 ~ 오후 7시 40분 (50분) | |
1976년 8월 22일 ~ 1976년 9월 26일 | ||
1976년 10월 10일 ~ 10월 17일 | ||
1977년 6월 12일 | ||
1977년 7월 3일 | ||
1977년 5월 1일 | 일요일 오후 7시 ~ 오후 7시 40분 (40분) | |
1976년 8월 15일 | 일요일 오후 6시 30분 ~ 오후 7시 20분 (50분) | |
1976년 10월 3일 | ||
1976년 10월 24일 ~ 1977년 4월 24일 | 일요일 오후 6시 50분 ~ 오후 7시 35분 (40분) | |
1977년 5월 8일 ~ 1977년 6월 5일 | ||
1977년 6월 19일 | 일요일 오후 6시 50분 ~ 오후 7시 35분 (45분) | |
1977년 7월 10일 ~ 1977년 7월 24일 | ||
1978년 3월 26일 | ||
1977년 6월 26일 | 일요일 오후 6시 10분 ~ 오후 6시 55분 (45분) | |
1977년 7월 31일 ~ 1977년 8월 21일 | 일요일 오후 5시 55분 ~ 오후 6시 40분 (45분) | |
1977년 9월 4일 ~ 1977년 10월 2일 | ||
1977년 8월 28일 | 일요일 오후 5시 10분 ~ 오후 6시 (50분) | |
1977년 10월 9일 ~ 11월 6일 | 일요일 오후 6시 ~ 오후 6시 40분 (40분) | |
1977년 11월 13일 ~ 1978년 3월 19일 | 일요일 오후 6시 ~ 오후 6시 45분 (45분) | |
1978년 4월 2일 ~ 1978년 4월 9일 | ||
1978년 4월 16일 | 일요일 오후 6시 35분 ~ 오후 7시 25분 (50분) | |
1978년 5월 21일 ~ 6월 18일 | ||
1978년 7월 2일 | 일요일 오후 6시 35분 ~ 오후 7시 25분 (50분) | |
1978년 4월 23일 | 일요일 오후 5시 55분 ~ 오후 6시 45분 (50분) | |
1978년 4월 30일 | 일요일 오후 6시 25분 ~ 오후 7시 30분 (1시간 5분) | |
1978년 5월 14일 | 일요일 오후 6시 25분 ~ 오후 7시 15분 (50분) | |
1978년 6월 25일 | 일요일 오후 6시 5분 ~ 오후 6시 55분 (50분) | |
1978년 8월 20일 | ||
1978년 5월 21일 ~ 6월 18일 | 일요일 오후 6시 35분 ~ 오후 7시 25분 (50분) | |
1978년 7월 30일 | 일요일 오후 6시 20분 ~ 오후 7시 10분 (50분) | |
1978년 8월 6일 | 일요일 오후 6시 20분 ~ 오후 7시 15분 (55분) | |
1978년 8월 13일 | 일요일 오후 6시 10분 ~ 오후 7시 (50분) | |
1978년 8월 27일 | 일요일 오후 7시 ~ 오후 7시 55분 (55분) | |
1978년 9월 3일 ~ 9월 10일 | 일요일 오후 7시 ~ 오후 7시 50분 (50분) | |
1978년 9월 17일 | 일요일 오후 6시 20분 ~ 오후 7시 10분 (50분) | |
1978년 9월 24일 | 일요일 오후 7시 ~ 오후 7시 35분 (35분) | |
1978년 10월 1일 | 일요일 오후 6시 25분 ~ 오후 7시 15분 (50분) | |
1978년 10월 8일 | 일요일 오후 7시 ~ 오후 7시 55분 (55분) | |
1978년 11월 12일 | ||
1979년 2월 25일 | ||
1978년 10월 22일 ~ 11월 5일 | 일요일 오후 7시 ~ 오후 7시 50분 (50분) | |
1978년 11월 19일 ~ 12월 17일 | 일요일 오후 7시 ~ 오후 7시 50분 (50분) | |
1979년 1월 7일 ~ 2월 18일 | ||
1979년 3월 4일 | ||
1979년 3월 18일 | ||
1978년 12월 24일 | 일요일 오후 5시 45분 ~ 오후 6시 40분 (55분) | |
1978년 12월 31일 | 일요일 오후 6시 10분 ~ 오후 7시 (50분) | |
1979년 3월 11일 | ||
1979년 3월 25일 ~ 4월 1일 | ||
1979년 4월 8일 | 일요일 오후 6시 35분 ~ 오후 7시 20분(45분) | |
1979년 7월 29일 | ||
1979년 4월 15일 ~ 7월 15일 | 일요일 오후 6시 45분 ~ 오후 7시 30분(45분) | |
1979년 8월 12일 ~ 9월 16일 | ||
1979년 9월 30일 | ||
1979년 7월 22일 | 일요일 오후 6시 5분 ~ 오후 6시 50분(45분) | |
1979년 9월 23일 | 일요일 오후 6시 ~ 오후 6시 45분(45분) | |
1979년 10월 7일 | 일요일 오후 7시 ~ 오후 7시 45분(45분) | |
1979년 10월 14일 ~ 11월 18일 | 일요일 오후 6시 25분 ~ 오후 7시 10분(45분) | |
1979년 11월 25일 | 일요일 오후 5시 25분 ~ 오후 6시 25분(1시간) | |
1979년 12월 2일 | 일요일 오후 6시 25분 ~ 오후 7시 10분(45분) | |
1979년 12월 16일 | ||
1979년 12월 9일 | 일요일 오후 5시 45분 ~ 오후 6시 30분(45분) | |
1979년 12월 30일 | 일요일 오후 5시 15분 ~ 오후 6시(45분) | |
1980년 1월 6일 ~ 2월 10일 | 일요일 오후 6시 15분 ~ 오후 7시(45분) | |
1980년 2월 17일 | 일요일 오후 5시 25분 ~ 오후 6시 15분(50분) | |
1980년 2월 24일 | 일요일 오후 5시 25분 ~ 오후 6시 15분(50분) | |
1980년 3월 2일 | 일요일 오후 5시 55분 ~ 오후 6시 40분(45분) | |
1980년 3월 9일 ~ 3월 30일 | 일요일 오후 6시 20분 ~ 오후 7시 10분(50분) | |
1980년 4월 20일 ~ 6월 15일 | 일요일 오후 6시 20분 ~ 오후 7시 10분(50분) | |
1980년 6월 29일 | ||
1980년 8월 24일 ~ 8월 31일 | ||
1980년 4월 6일 | 일요일 오후 6시 ~ 오후 6시 45분(45분) | |
1980년 4월 13일 | 일요일 오후 6시 ~ 오후 7시 10분(1시간 10분) | |
1980년 6월 22일 | 일요일 오후 6시 10분 ~ 오후 7시(50분) | |
1980년 8월 3일 ~ 8월 10일 | ||
1980년 7월 6일 | 일요일 오후 6시 10분 ~ 오후 7시 10분(1시간) | |
1980년 8월 17일 | ||
1981년 2월 7일 ~ 1981년 3월 28일 | 토요일 오후 6시 10분 ~ 오후 6시 50분 (40분) | |
1982년 5월 9일 ~ 1982년 11월 14일 | 일요일 오후 5시 30분 ~ 오후 6시 10분 (40분) | |
1982년 11월 21일 ~ 1982년 11월 28일 | 일요일 오후 4시 10분 ~ 오후 4시 50분 (40분) | |
1982년 12월 5일 ~ 1982년 12월 19일 | 일요일 오후 4시 50분 ~ 오후 5시 20분 (30분) | |
1983년 1월 9일 ~ 1983년 3월 27일 | 일요일 오후 5시 10분 ~ 오후 6시 (50분) | |
1983년 4월 3일 ~ 1983년 11월 27일 | 일요일 오후 7시 10분 ~ 오후 8시 (50분) | |
1983년 12월 4일 ~ 1983년 12월 11일 | 일요일 오후 7시 ~ 오후 8시 (1시간) | |
1984년 1월 8일 ~ 1984년 10월 28일 | ||
1985년 1월 27일 ~ 1985년 11월 3일 | ||
1983년 12월 18일 | 일요일 오후 5시 40분 ~ 오후 6시 (20분) | |
1983년 12월 25일 | 일요일 오후 5시 30분 ~ 오후 6시 (30분) | |
1984년 11월 18일 | 일요일 오후 5시 ~ 오후 6시 (1시간) | |
1984년 12월 23일 | ||
1984년 12월 9일 | 일요일 오후 4시 30분 ~ 오후 5시 30분 (1시간) | |
1985년 1월 20일 | 일요일 오후 5시 20분 ~ 오후 6시 20분 (1시간) |
내용
[편집]동서양의 고전을 토대로 현대적 요소를 가미하여 단막 코미디극으로 꾸몄으며, 조선 시대 한복 차림의 해설자가 처음과 중간에 등장하여 이야기를 해설하는 형식으로 진행되기도 하였다.
출연자
[편집]배일집, 배연정, 김영하, 서영춘, 송해, 곽규석, 심철호, 최용순, 임희춘, 이상해, 이순주, 김병조 등 동양방송의 코미디언들이 출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