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검은머리베짜는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검은머리베짜는새
수컷
수컷
암컷
암컷
생물 분류ℹ️
역: 진핵생물역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조강
목: 참새목
과: 베짜는새과
속: 베짜는새속
종: 검은머리베짜는새
학명
Ploceus cucullatus
(Müller, 1776)

학명이명
  • Oriolus cucullatus Müller, 1776
향명
아종
하단 참조
{{{이름}}}의 분포

보전상태


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건 만족하지 않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1]

검은머리베짜는새(학명Ploceus cucullatus 플로케우스 쿠쿨라투스[*])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많은 지역에서 발견되는 베짜는새류에 속하는 새의 일종이다. 또한 포르투갈베네수엘라뿐만 아니라 히스파니올라섬, 마르티니크, 푸에르토리코, 모리셔스, 레위니옹에도 유입되었다.[1]

검은머리베짜는새는 삼림 지대와 민간 거주지를 포함한 광범위한 개방형 또는 반개방형 서식지에서 흔히 서식하며, 마을, 호텔 부지에 대규모의 시끄러운 군집을 형성하는 경우가 잦다. 이 새는 풀과 잎사귀로 크고 대충 짠 듯한 둥지를 지으며, 입구는 아래쪽을 향해 있고 나뭇가지에 매달려 있다. 알은 2~3개 낳는다. 검은머리베짜는새는 군체성 육아를 하는 새이므로 한 나무에 많은 둥지가 매달려 있을 수 있다.

검은머리베짜는새는 주로 씨앗과 곡식을 먹기 때문에 농작물에도 피해를 줄 수 있지만, 새끼에게 먹여줄 먹이로 곤충을 잡기도 하므로 농업에 대한 피해를 부분량 줄일 수 있다. 이 새의 울음소리에는 거친 윙윙거리는 소리와 재잘거리는 소리가 포함된다.

하위 아종

[편집]

여덟 아종이 인정받고 있다.[2]

  • P. c. cucullatus(Müller, 1776): 모리타니· 세네갈 · 감비아 · 차드카메룬 남부에 분포한다. 비오코섬에도 분포한다. 히스파니올라섬에 유입되었다.
  • P. c. abyssinicus(Gmelin, JF, 1789): 수단, 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에 분포한다.
  • P. c. bohndorffiReichenow, 1887: 남수단, 콩고민주공화국 북부, 케냐 서부, 탄자니아 북서부
  • P. c. collaris (mottled weaver) – Vieillot, 1819: 가봉, DRC 서부, 앙골라
  • P. c. graueriHartert, 1911: DRC 동부, 르완다, 탄자니아
  • P. c. frobeniiReichenow, 1923: DRC 남부 및 남동부
  • P. c. nigriceps (Layard's weaver) – (Layard, EL, 1867): 남소말리아와 케냐 동부에서 동부와 탄자니아 남부를 거쳐 콩고민주공화국 남동부 · 남앙골라 · 나미비아 북동부 · 짐바브웨 서부 · 잠비아 동부 및 모잠비크 중부까지 분포한다. 또한 상투메에도 유입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 P. c. spilonotus (spotted-backed weaver) – Vigors, 1831: 보츠와나 남동부, 남아프리카 동부, 모잠비크 남부에 분포한다. 또한 모리셔스, 레위니옹, 베네수엘라에도 유입되었다.

각주

[편집]
  1. BirdLife International. (2018). Ploceus cucullatus. 《IUCN 적색 목록》 (IUCN) 2018: e.T22718921A132122615. doi:10.2305/IUCN.UK.2018-2.RLTS.T22718921A132122615.en. 2021년 8월 21일에 확인함. 
  2. Gill, Frank; Donsker, David 편집 (2018). “Old World sparrows, snowfinches, weavers”. 《World Bird List Version 8.1》.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18년 12월 28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