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거친껄껄이그물버섯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거친껄껄이그물버섯
생물 분류
종: 틀:분류군/LeccinumLeccinum scabrum
이명법
틀:분류군/LeccinumLeccinum scabrum
(Bull.) Gray (1821)
이명
  • Boletus scaber Bull. (1783)
  • Krombholzia scabra (Bull.) P.Karst. (1881)
Leccinum scabrum
View the Mycomorphbox template that generates the following list
pores on hymenium
cap is convex
hymenium is adnate
stipe is bare
spore print is olive
ecology is mycorrhizal
edibility: edible but not recommended

거친껄껄이그물버섯(학명Leccinum scabrum, 다른 이름: birch bolete[1] 또는 rough-stemmed bolete, scaber stalk)은 그물버섯목과에 속하는 균계의 한 종이다. 이전에 보레투스 스카버(Boletus scaber)로 분류되었다.

거친껄껄이그물버섯은 유럽, 아시아의 히말라야산맥북반구의 다른 지역에 널리 분포하며, 자작나무속과의 균근 공생을 통해서만 발생한다. 이 버섯은 호주와 뉴질랜드에서도 점점 더 흔해지고 있으며, 이는 외래종으로 도입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단단한 표본을 사용하고 충분히 익혔을 경우 식용 버섯으로 섭취할 수 있다.

특징

[편집]
다양한 연령대의 거친껄껄이그물버섯

은 너비가 4–10 cm (1 12–4 in)이며 편평해지기 전에는 볼록하다.[1] 갓 표피는 황갈색 또는 갈색빛을 띠며, 보통 가장자리는 더 밝은 색이다.[2] 부드럽고 털이 없으며 건조하거나 끈적거린다.[2]

어릴 때는 구멍이 희끄무레하다가[2] 나중에는 회색으로 변한다. 오래된 표본에서는 갓의 구멍이 부풀어 오를 수 있으며, 자루 주변에서는 강하게 움푹 들어간다. 구멍 덮개는 갓 표피에서 쉽게 제거된다. 포자흔은 갈색이다.[3]

자루는 길이가 5–15 cm (2–6 in)이고 너비가 1–3.5 cm (381 38 in)로 가늘고, 흰색과 어두운 색에서 검은색 반점이 있으며 위쪽으로 가늘어진다.[2] 기본적인 균사체는 흰색이다.

은 희끄무레하며, 노출 후 가끔 어두워진다.[2] 어린 표본에서는 육질이 비교적 단단하지만, 비가 오는 날씨에는 특히 빨리 스펀지처럼 되고 물을 머금는다. 익히면 육질이 검게 변한다.

유사종

[편집]

여러 다른 종의 그물버섯속(Leccinum) 버섯들은 자작나무와 균근을 형성하며, 아마추어는 물론 균학자들도 혼동할 수 있다. L. variicolor는 푸른빛이 도는 자루를 가지고 있다. L. oxydabile는 더 단단하고 분홍빛이 도는 살과 다른 갓 표피 구조를 가지고 있다. L. melaneum은 색이 더 어둡고 갓과 자루 표피 아래에 노란빛이 돈다. L. holopus는 모든 부분이 더 옅고 희끄무레하다.

서식지와 분포

[편집]

거친껄껄이그물버섯은 유럽 종으로, 전 세계 여러 지역, 주로 도시 지역에 도입되었다.[2] 뉴질랜드에서는 은자작나무와만 공생한다.[4] 북미에서는 6월부터 9월까지 발견될 수 있으며, 서해안에서는 9월부터 11월까지 나타난다.[3]

이 버섯은 자작나무속과 함께 자란다.[3] 캘리포니아주와 같이 자생지 이외의 지역에 심어진 관상용 자작나무와 함께 발견되기도 했다.[5]

식용 여부

[편집]

이 종은 단단할 때 식용 가능하지만[1], 일부 안내서에서는 가치가 없다고 평가한다.[6] 다양한 버섯 요리에 사용하거나[7] 고염수 또는 식초에 절여 먹을 수 있다. 핀란드와 러시아에서는 흔히 식용으로 채취된다.[8]

북미(특히 뉴잉글랜드로키산맥)에서 몇몇 보고서는 그물버섯속 종은 매우 주의해서 섭취해야 한다고 제안한다.[9][10] 북유럽 국가에서는 적어도 15~20분 동안 조리하지 않으면 독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11][12]

각주

[편집]
  1. Arora, David (1986). 《Mushrooms Demystified: A Comprehensive Guide to the Fleshy Fungi》 2판. Berkeley, CA: Ten Speed Press. 541–42쪽. ISBN 978-0-89815-170-1. 
  2. Trudell, Steve; Ammirati, Joe (2009). 《Mushrooms of the Pacific Northwest》. Timber Press Field Guides. Portland, OR: Timber Press. 227–228쪽. ISBN 978-0-88192-935-5. 
  3. 오듀본 (2023). 《Mushrooms of North America》. Knopf. 347쪽. ISBN 978-0-593-31998-7. 
  4. McNabb RFR. (1968). 《The Boletaceae of New Zealand》. 《New Zealand Journal of Botany》 6. 137–76 (see p. 169)쪽. doi:10.1080/0028825X.1968.10429056.  오픈 액세스로 게시된 글 - 무료로 읽을 수 있습니다
  5. “Leccinum scabrum”. California Fungi. 2009년 10월 18일에 확인함. 
  6. Phillips, Roger (2010). 《Mushrooms and Other Fungi of North America》. Buffalo, NY: Firefly Books. 276쪽. ISBN 978-1-55407-651-2. 
  7. Francis-Baker, Tiffany (2021). 《Concise Foraging Guide》. The Wildlife Trusts. London: Bloomsbury. 178쪽. ISBN 978-1-4729-8474-6. 
  8. Ohenoja, Esteri; Koistinen, Riitta (1984). 《Fruit body production of larger fungi in Finland. 2: Edible fungi in northern Finland 1976–1978》. 《Annales Botanici Fennici》 21. 357–66쪽. JSTOR 23726151. 
  9. Bakaitis, Bill. “Diagnosis at a Distance”. 《FungiKingdom.net》. 2011년 11월 28일에 확인함. 
  10. Bakaitis, Bill (2009년 7월 18일). “Wild Mushroom Warning: The Scaber Stalks (Leccinum species) May No Longer Be Considered Safe”. 《Leslie Land: In Kitchen and Garden》. 2025년 6월 18일에 확인함. 
  11. “Poisonous mushrooms in Norway”. 《Poisons Information Centre》. 2019년 4월 10일. 
  12. “Tegelsopp. Leccinum versipelle”. 《Svampguiden》. 

추가 문헌

[편집]
  • Kallenbach: Die Röhrlinge (Boletaceae), Leipzig, Klinkhardt, (1940–42)
  • Gerhardt, Ewald: Pilze. Band 2: Röhrlinge, Porlinge, Bauchpilze, Schlauchpilze und andere, (Spektrum der Natur BLV Intensiv), (1985)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