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알브레히트 뒤러의 그림 목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TedBot (토론 | 기여)님의 2025년 11월 17일 (월) 07:29 판 (봇: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틀 추가)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다음은 독일의 화가이자 판화가인 알브레히트 뒤러의 미완성 그림 목록이다.

표의 범례

[편집]

작품의 복제품은 대부분, 작품을 소장하고 있는 기관의 온라인 카탈로그(또는 위키미디어 공용에서 구할 수 있는 최상의 복제품)에서 가져온 것이다. 더 나은 정렬을 위해 일부 제목 앞에 있는 관사는 생략되었다. 함께 속하는 그림이라해서 항상 결합되어 있지 않으며, 가끔 그림의 뒷면에 그려진 경우에는 결합되어 있다. 보조 사양은 작은 글꼴로 표시된다. 원본 매체는 먼저 언급되며, 매체가 실제로 유화로 입증되었다는 구체적인 언급이 없는 경우 단순히 "색"으로 표시된다.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수정 사항은 그 다음에 언급된다. 뒤러의 경우 작업 기간은, 그림 제작에 소요된 시간이 아니라, 주로 뒤러 자신이 (일반적으로 모노그램 "AD"와 함께) 기록한 것을 우선하고, 결정적인 출처에 의해 연도가 명시되지 않은 작품의 경우, 학자들이 (이상적으로는 가장 최근에) 추정한 날짜를 의미한다. 날짜 아래의 작은 글씨는 다음을 의미한다.

  • d : 작품 완성 시 뒤러의 손으로 직접 판에 새긴 원본 날짜
  • m : 뒤러의 손으로 직접 판에 새긴 원본 모노그램 "AD"
  • + : 전체 이름으로 날짜가 기입되고 서명됨 (모노그램 유무와 관계없이), 그리고 독일어 또는 라틴어로 된 추가 텍스트. 텍스트와 번역은 참조로 인용된다.
  • i : 날짜와 모노그램이 때때로 사실적으로 그림에 통합됨 (예: 뒤러 자신이 들고 있는 종이 조각이나 접시에 쓰여 있음)
  • p : 예비 드로잉이 남아 있음
  • w : 뒤러 자신의 글 또는 공동 기록 보관소, 동시대인들의 편지 또는 컬렉션 목록과 같이, 학자들이 보편적으로 동의하는 기타 신뢰할 수 있는 서면 증거를 통해 출처가 확인됨
  • l : 나중에 뒤러의 손으로 날짜가 기입되거나, 모노그램이 새겨지거나, 새겨짐 ("mlw"는 날짜 없음, 나중에 모노그램이 추가됨, 서면 출처에 의해 문서화됨을 의미한다.)
  • f : 뒤러의 손이 아닌 다른 사람의 손으로 기록된 것 (대부분 항상) 나중 날짜의 것 (예: "dfwf"는 나중 날짜와 다른 사람의 손으로 된 텍스트를 의미한다.)
  • c : 여러 학자들에 의해 진위가 의심되지만 아직 무효화되지 않은 것 (예: "mcw"는 작품의 출처는 잘 알려져 있지만 모노그램이 뒤러가 직접한 것이 아닌 학생들이 한것으로 보인다는 의미이다.)
  •  : 어디에도 서명되거나 참조되지 않았지만, 순전히 양식적 근거로 뒤러의 작품으로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짐 ("—c"는 이의가 제기된 경우)
  • c : 어디에도 서명되거나 참조되지 않았지만, 사본을 통해 알려짐

현재 위치는 도시가 먼저 언급되며, 이는 가장 명확하며 해당 도시의 여러 갤러리를 결합할 수 있다. 작품이 전시된 갤러리가 그 다음에 언급되며, 그 다음에 작품을 소유한 실제 상위 컬렉션의 이름이 따라온다 (목록에서 첫 등장 시에만). 대괄호 안의 객체 재고 번호는 (이상적으로는) 사용 가능한 경우 컬렉션의 온라인 카탈로그의 항목에 연결된다. 마지막 열은 베를린 판화실과 평생 제휴했던 페댜 안첼레프스키가 1971년에 편찬하고 출판했으며, 20년 후에 개정된 뒤러 회화의 카탈로그 레조네 번호이다. 연대순 번호 다음에 오는 네 가지 다른 대문자에 대한 범례는 다음과 같다.

  • K ("Kopie") 사본으로만 남아 있음
  • V ("verschollen") 글을 통해 알려진 분실된 것
  • Z ("Zeichnung") 드로잉으로만 남아 있는 그림
  • W ("Werkstatt") 작업장 그림
그림 제목 연도 매체 크기
높이 × 너비 cm
위치, 갤러리,
컬렉션 (소장번호)
CR
번호
뒤러 아버지의 초상
이단화, 오른쪽 패널
뒷면:

뒤러와 홀퍼 가문의 문장 결합
1490
dmlwc[1]
유화 on 패널 47.5 × 39.5
47 × 39
피렌체, 우피치 (1086 (1890 post), 00286561) 2–3
[2]
바르바라 뒤러의 초상
이단화, 왼쪽 패널
뒷면:

"용과 바위 풍경",[3] 또는 "지옥 또는 연옥 장면"[4]
1490
—w
Oil on panel 47.2 × 35.7 뉘른베르크, 게르만족 국립박물관, 바이에른 주립 회화 컬렉션 (Gm1160) 4[5]
4.1[6]
브레겐츠의 익사한 소년의 기적적인 구원 1497/98
c[7]
패널에 색상
(가문비나무)
41.5 × 50 크로이츠링겐 (스위스), 하인츠 키스터스 컬렉션 (웹사이트 없음) 5
비탄의 그리스도
뒷면:
"마노 조각 또는 빛의 환영"[8]
 1493c.
패널에 유화, 템페라 및 도금
(소나무)
30 × 19 카를스루에, 카를스루에 국립 미술관[9] (2183) 9
자화상 (엉겅퀴를 쥐고 있는 예술가의 초상) 1493
d+c[10]
양피지에 유화 (캔버스로 전이)[11] 56.5 × 44.5 파리, 루브르 박물관 (RF 2382) 10
구세주 아기 예수 1493
dm[12]
과슈금박 (양피지) 11.8 × 9.3 빈, 알베르티나 ([1]) 11
사자 1494
dm[13]
과슈, 수채화 (양피지) 12.6 × 17.2 함부르크, 함부르크 미술관 (23005) 12
아치문 앞의 성모와 아기 예수 (바냐카발로의 마돈나)  1495c.
패널에 유화 47.8 × 36.5 파르마 근처 마미아노 디 트라베르세톨로, 마그나니-로카 재단 (?) 16
풍경 앞의 성모와 아기 예수  1494c./97
패널에 유화 89 × 74 슈바인푸르트, 개인 소장 게오르크 셰퍼[14] 17
칠고의 다단화  1495c./96
—wc
패널에 유화
(소나무)
63 × 44.5–46.5
각 측면 패널
110 × 43.6
중앙 패널
드레스덴, 알테 마이스터 회화관 (1875–1881)
(주변 7개 패널)
뮌헨, 알테 피나코테크, 바이에른 주립 회화 컬렉션 (709) (중앙 패널)
21–27
20
광야의 성 히에로니무스
뒷면:
천상의 장면
 1496c.
패널에 유화
(배나무)
23.1 × 17.4 런던, 내셔널 갤러리 (NG6563) 14–15
작센 선제후 프리드리히 현공의 초상 1496
mlf
캔버스에 템페라 76 × 57 베를린, 회화관, 베를린 국립 박물관 (557C)[15] 19
드레스덴 제단화 1496 캔버스에 템페라 114 × 45
각 날개
114 × 96.5
중앙 패널
드레스덴, 알테 마이스터 회화관 (1869) 39–40
[c][16]
할러 마돈나
뒷면:
롯과 그의 딸들
 1496c./99
+[17]
패널에 유화 52.4 × 42.2 워싱턴, 내셔널 갤러리 오브 아트, 새뮤얼 H. 크레스 컬렉션 (1952.2.16.a, b) 43–44
머리를 풀고 있는 젊은 여인의 초상
(이전에는 퓌를레거라고 여겨짐)
1497
—c[18]
캔버스에 수채화 (Tüchlein) 56.3 × 43.2 프랑크푸르트, 슈테델 (937) 45K
머리를 땋은 젊은 여인의 초상
(이전에는 퓌를레거라고 여겨짐)
1497
—c[19]
캔버스에 수채화 (Tüchlein) 56.5 × 43.1 베를린, 회화관 (77.1) 46
남자의 초상 1497/98
패널에 양피지에 색상
(떡갈나무)
25.7 × 20.5 크로이츠링겐 (스위스), 하인츠 키스터스 컬렉션 (웹사이트 없음) 47
70세의 뒤러 아버지의 초상
사본[20]
1497
dm+c[21]
패널에 유화
(피나무)
51 × 40.3 런던, 내셔널 갤러리 (NG1938) 48[22]
26세의 자화상 1498
dm+wc[23]
패널에 유화 52 × 41 마드리드, 프라도 미술관 (P021791) 49[24]
예수 탄식 (홀츠슈어 탄식) 1499/1500 패널에 색상 150 × 120.6 뉘른베르크, 게르만족 국립박물관 (Gm165) 55
오스볼트 크렐의 초상 1499
di[25]
패널에 색상
(피나무)
49.7 × 38.9
중앙 패널
49.4 × 15.7 (왼쪽)
49.8 × 15.6 (오른쪽)
뮌헨, 알테 피나코테크 (WAF 230, 230 A, 230 B) 56–58
붉은 가운을 입은 미지의 남자의 초상 ("성 세바스티안")[26]  1499c.
패널에 유화 52 × 40 베르가모, 카라라 아카데미 (469 not found) 59
한스 투허의 초상
이단화, 왼쪽 패널
뒷면:

투허와 리터 가문의 문장 결합
1499 패널에 유화 28 × 24 바이마르, 바이마르 성 박물관, 바이마르 고전주의 재단 (G 31) 60–61
펠리시타스 투허 (리터 가문)의 초상
이단화, 오른쪽 패널
1499 패널에 유화 28 × 24 바이마르, 바이마르 성 박물관 (G 32) 62
엘스베트 투허 (푸슈 가문)의 초상
이단화, 니콜라우스 투허의 초상이 분실된 왼쪽 패널
1499
dmf+[27]
패널에 색상
(피나무)
29.1 × 23.3 카셀, 알테 마이스터 회화관, 빌헬름스회헤 궁전, 헤센 카셀 유산 (GK 6) 63;
64/65V[28]
28세의 자화상 1500
dm+wc[29]
패널에 색상
(피나무)
67.1 × 48.9 뮌헨, 알테 피나코테크 (537) 66
헤라클레스와 스팀팔로스의 새 1500
f?
캔버스에 수채화 84.5 × 107.5
잘려짐[30]
뉘른베르크, 게르만족 국립박물관 (Gm 166) 67
파움가르트너 제단화
  • 예수 탄생
  • 성 게오르크로서의 게오르크 파움가르트너 (안쪽 왼쪽 날개)
  • 성 에우스타키우스로서의 루카스 파움가르트너 (안쪽 오른쪽 날개)
 1500c. 패널에 유화
(전나무)
155 × 126.1
중앙 패널, 157 × 60.4
각 날개
뮌헨, 알테 피나코테크 (702) 50–52
53W, 54K[31]
예수 탄식 (글림 탄식) 1500/03
—w
패널에 색상
(가문비나무)
151.9 × 121.6 뮌헨, 알테 피나코테크 (704) 70
젖을 먹이는 성모자
(마돈나 락탄스)
1503
dm
패널에 유화
(피나무)
24.1 × 18.3 빈, 빈 미술사 박물관 (GG 846) 71
야바흐 제단화
바깥 패널:
  • 똥더미 위의 욥 또는 아내에게 조롱당하는 욥
  • 피리 부는 사람과 북 치는 사람
 1503c./04
패널에 유화
(피나무)
94 × 51 (왼쪽)
94 x 57 (오른쪽)
둘 다 상단이 잘림
프랑크푸르트, 슈테델 (890) (왼쪽)
쾰른, 발라프 리하르츠 미술관 (WRM 0369) (오른쪽)
72–73[32]
야바흐 제단화
삼부작 날개 (중앙 패널 분실)
  • 성 요셉과 성 요아킴 (왼쪽)
  • 성 시메온과 성 라자로 (오른쪽)
 1503c./05
m
패널에 색상 96.6 × 54.5 (왼쪽)
97 × 55.1 (오른쪽)
둘 다 상단이 잘림
뮌헨, 알테 피나코테크 (WAF 228 and WAF 229) 74–75[33]
오른쪽으로 기울어진 소년의 머리 연구
왼쪽으로 기울어진 소년의 머리 연구
1506
종이에 덧댄 천에 먹 또는 목탄 위에 수채화 22.5 × 19.2
23.1 × 17.9
파리, 프랑스 국립도서관 (6, 7 (B-13 rés.)) 78–79
동방 박사의 경배 1504 패널에 유화 99 × 113.5 피렌체, 우피치
남자의 초상
(엔드레스 뒤러)
 1504c.
패널에 유화 43 × 29 부다페스트, 부다페스트 미술관 (142) excudedc[34]
베네치아 여인의 초상 1505
dmc
패널에 유화
(가문비나무)
33 × 24.5 빈, 빈 미술사 박물관 (GG 6440) 92
구세주
미완성
1505 패널에 유화 58.1 × 47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묵주 축제 1506
dmw
패널에 유화 162 × 192 프라하, 국립 미술관 (O 1552) 93
방울새와 마돈나 1506
dm+i[35]
패널에 유화
(포플러)
93.5 × 78.9 베를린, 회화관 (557F) 94
젊은 베네치아 여인의 초상 1506/07
m
패널에 유화
(포플러)
28.5 × 21.5 베를린, 회화관 (557G) 95
젊은 남자의 초상 1506
dm+[36]
패널에 유화 46 × 35 제노바, 팔라초 로소 (PR 47) 96
부르카르트 폰 슈파이어의 초상 1506
dm
패널에 유화 31.7 × 26 버크셔, 윈저성, 영국 왕실 컬렉션 (RCIN 404418) 97
박사들 사이의 그리스도 1506
dmi[37]
패널에 유화
(포플러)
64.3 × 80.3 마드리드, 티센보르네미사 국립 미술관 (134 (1934.38)) 98
젊은 남자의 초상
뒷면:
탐욕의 알레고리
1507
dm
패널에 유화
(피나무)
35 × 29 빈, 빈 미술사 박물관 (GG 849) 99
젊은 소녀의 초상 (붉은 베레모를 쓴) 1507
dmw
양피지에 색상 (패널로 전이) 32.5 × 22.3 베를린, 회화관, (557l) 102
아담과 이브 1507
mi
dmi[38]
패널에 유화
(소나무)
209 × 81
209 × 80
마드리드, 프라도 미술관 (P02177, P02178) 103–104
만 명의 기독교인 순교 1508
dmiwc
패널에 유화 (캔버스로 전이됨) 99 × 87.5 빈, 빈 미술사 박물관 (GG 835) 105
헬러 제단화
사본
1508/09 패널에 유화 및 템페라 189 × 138
중앙 요소
프랑크푸르트, 역사 박물관
성가족 1509 패널에 유화 30.9 × 38.6 로테르담, 보이만스 판뵈닝언 미술관 (2447 (OK)) 116
삼위일체 숭배 (란다우어 제단화)
뒤러가 디자인한 프레임 포함
1511
dmi
패널에 유화
(피나무)
135 × 123.4
(피나무)
147,7 × 135.4
(프레임)
빈, 빈 미술사 박물관 (838) 118
배의 마돈나 1512
dm
패널에 유화
(피나무)
49.3 × 37.4 빈, 빈 미술사 박물관 (848) 120
카롤루스 대제와 지기스문트 황제  1512c.
패널에 유화 및 템페라 215 × 115
각각, 프레임 포함
뉘른베르크, 게르만족 국립박물관 (Gm167 and Gm168) 123–124
성모자와 아기 예수 1516 패널에 유화
(가문비나무)
27.9 × 18.7
(테두리 포함 22.2)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17.190.5) 127[39]
카네이션의 마돈나 1516 소나무 위에 덧댄 양피지에 색상
(가문비나무로 보강)
39.7 × 29.3 뮌헨, 알테 피나코테크 (4772) 130
미하엘 볼게무트의 초상 1516
dm+c
패널에 유화 및 템페라
(피나무)
29.8 × 28.1 뉘른베르크, 게르만족 국립박물관 (Gm885) 132[40]
성직자의 초상 (요한 도르시?) 1516
dm
양피지에 유화 (직물로 전이됨)[41] 41.7 × 32.7 워싱턴, 내셔널 갤러리 오브 아트, 새뮤얼 H. 크레스 컬렉션 (1952.2.17) 133
사도 필립과 야고보 1516 패널에 템페라 45 × 38
46 × 37
피렌체, 우피치 (1089, 1890, 1099) 128–129
루크레티아 (루크레티아의 자살) 1518
dmpw
패널에 색상
(피나무)
168 × 74 뮌헨, 알테 피나코테크 (705) 137
기도하는 성모 마리아 1518
dm
패널에 유화
(피나무)
54.9 × 45.3 베를린, 회화관 (557H) 138
성 안나와 성모자 1519 패널에 유화
(피나무)
60 × 49.8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14.40.633) 147
야코프 푸거의 초상  1520c.
—p[42]
캔버스에 템페라 (Tüchlein) 69.4 × 53 아우크스부르크, 슈타츠갈러리 알트도이체 마이스터, 바이에른 주립 회화 컬렉션 (717) 143
합스부르크 막시밀리안 1세 황제의 초상 1519
캔버스에 템페라 83 × 65 뉘른베르크, 게르만족 국립박물관 (Gm169) 145
막시밀리안 1세 황제의 초상 1519
dm
패널에 유화
(피나무)
74 × 62 빈, 빈 미술사 박물관 (825) 146
남자의 초상 1520
dm
종이에 덧댄 캔버스에 디스템퍼 40 × 30.3 파리, 루브르 박물관 (INV 18598, Recto) 148
성모 마리아 연구  1520c. 캔버스에 템페라 25.5 × 21.5 파리, 프랑스 국립도서관 (B-13 rés.) 77
베른하르트 폰 레젠의 초상 1521 패널에 유화
(떡갈나무)
45.5 × 31.5 드레스덴, 알테 마이스터 회화관 (1871)
모피 코트를 입은 남자의 초상 (로드리고 데 알마다?) 1521 패널에 유화 50.6 × 32.9 보스턴, 이저벨라 스튜어트 가드너 박물관 (P21n10)
서재의 성 히에로니무스 1521 패널에 유화
(떡갈나무)
59.5 × 48.5 리스본, 국립 고미술관 (828 Pint)
베레모와 두루마리를 든 남자의 초상 1521
dm
패널에 유화
(떡갈나무)
50 × 36 마드리드, 프라도 미술관 (P002180) 165
성 안나와 성모자 1523 패널에 유화 75 x 64.5 바르샤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컬렉션 박물관 (포르친스키 갤러리) (웹사이트 없음)
배를 든 성모자와 아기 예수 1526 패널에 유화 43 × 31 피렌체, 우피치 (1890, 1171)
야코프 무펠의 초상 1526
dm+[43]
패널에 유화
캔버스로 전이됨
49.7 × 37.2 베를린, 회화관 (557D) 178
히에로니무스 홀츠슈허의 초상
덮개 포함
1526
dm+[44]
패널에 유화
(피나무)
51 × 37.1 베를린, 회화관 (557E, 557E/1) 179–180
요한 클레베르거의 초상 1526
dmi
패널에 유화
(피나무)
36.5 × 36.5 빈, 빈 미술사 박물관 (850) 182
네 사도
  • 성 요한과 성 베드로
  • 성 마르코와 성 바울
1526 패널에 색상 212.8 × 76.2
(왼쪽)
212.4 × 76.3
(오른쪽)
뮌헨, 알테 피나코테크 (545, 540) 183–184
골고다 언덕으로 가는 길 1527 패널에 유화 32 × 47 베르가모, 카라라 아카데미

같이 보기

[편집]

출처

[편집]
  • Fedja Anzelewsky: Albrecht Dürer. Das malerische Werk. Deutscher Verlag für Kunstwissenschaft, Berlin 1971, ISBN 3-871-57-0400.
  • Norbert Wolf: Albrecht Dürer, Prestel, München 2010, ISBN 978-3-7913-4426-3.

각주

[편집]
  1. Attributed by Kemperdick to Dürer's father as a self-portrait on the basis of circumstantial arguments and great stylistic similarities to his self-portrait drawing that could have then functioned as a preparatory drawing. In addition, its differences in style to the Portrait of Barbara Dürer cannot be entirely explained by slightly different dates. Stephan Kemperdick (2013), 〈"Nach mir selbs kunterfet". Bildnisse und Selbstbildnisse〉 (독일어), Jochen Sander (편집), 《Dürer. Kunst – Künstler – Kontext》, Exhibition catalogue Städel, Frankfurt, München: Prestel, 93–99쪽, ISBN 978-3-7913-5318-0 .
  2. The original tif file of the owner, Germanisches National Museum (Photo: Georg Janßen), on 위키미디어 공용 (in 퍼블릭 도메인) has 91 MB.
  3. Städel catalogue 2013, p. 100.
  4. On the museum's website.
  5. Believed to be lost, but recovered in 1977.
  6. Included in 2. edition 1991 as the Devil fleeing into a crevice (Der Teufel flieht in eine Felsspalte), S. 119f.
  7. Firmly ascribed to Dürer again as a work of "shortly after 1490", particularly on the basis of similarities of its underdrawing and painting style with the Portrait of Barbara Dürer by Jochen Sander (2013), 〈Catalogue no. 2.18: Albrecht Dürer - Die Auffindung des ertrunkenen Knaben aus Bregenz〉 (독일어), Jochen Sander (편집), 《Dürer. Kunst – Künstler – Kontext》, Exhibition catalogue Städel, Frankfurt, München: Prestel, 60f쪽, ISBN 978-3-7913-5318-0 .
  8. Städel catalogue 2013, p. 70.
  9. While the Kunsthalle is being renovated the Dürer panel is displayed in the ZKM (as of June 2024).
  10. "1493 / Min Sach die gat / Als es oben schtat" (My affairs will go as it stands above)
  11. It was not unusual at the time to use parchment mounted on the panel instead of a primer as a simpler way to prepare the surface of the panel. It also allowed to copy the preparatory drawing before being mounted. Daniel Hess; Oliver Mack (2012). 〈Tradition und Vielfalt: Dürers Bildträger〉 (독일어) (exhibition catalogue). Daniel Hess; Thomas Eser (편집). 《Der frühe Dürer》. Nürnberg: Germanisches Nationalmuseum. 172ff쪽. ISBN 978-3-936688-59-7. 
  12. Monogram with a small "d", "৳ 1493 ৳ Ad ৳".
  13. Monogram with a small "d".
  14. As of 1971.
  15. Not to be found in the online catalogue of the SMB (as of June 17, 2024).
  16. The central panel is recognized only as copy by Master Jhan(?). Anzelewsky 1971, p. 134ff.
  17. The coat of arms in the lower corners are those of the 할러 가문 (l) and 코베르거 (r).
  18. See next entry (46).
  19. The copy at the Museum der bildenden Künste, Leipzig, shows a monogram in the open book of the statuette on the reveal; also missing in the supposedly original in Berlin the inscription on the sheet of paper on the wall at the top right reads: "Also pin ich gestalt / Jn achcehe Jor altt / .1.4.9.7." (I am 18 years old). The Fürleger insignia below is a later addition, also in the Portrait of a Young Woman with Her Hair Down.
  20. Unusual bright background color, and a thick layer of paint that produced cracks in the surface, uncommon for works by Dürer. See full description on the museum's website.
  21. German inscription on top: "1497 ALBRECHT THVRER DER ELTER VND 70 IOR" (Albrecht Thurer the Elder and 70 Years [old]).
  22. Anzelewsky understands the portrait of his father as a companion piece to the following Prado Self-Portrait (49). Anzelewsky, S. 150f.
  23. Inscription in German: "৳ 1498 ৳ Das malt Ich nach meiner gestalt / Ich war sex und zwanzig jar alt / Albrecht Dürer / AD" (I painted this after my likeness. I was 26 years old).
  24. Anzelewsky understands both paintings, the portraits of his father and of Dürer himself as a diptych. Anzelewsky, S. 150f.
  25. "∗OSWOLT KREL∗~ / ·1499·"
  26. The broken arrow in the sitter's hand was formerly believed to signify an identification with the Saint. The painting is heavily compromised, the head originally was covered with a contemporary hat, instead an inscripted halo was added ("Sanctus Sebastianus Martyr"), and the fur collar was considerably broadened. For Anzelewsky the landscape is undoubtedly by Dürer. Anzelewsky, p. 161, with an explanatory drawing.
  27. "ELSPET · NICLAS · TVCHERIN · 26 ALT / 1499" ("IN" and "ALT" contracted). The hardly recognisable monogram above the hand may be from another hand; on the clasp "NT", the initials of her husband Nikolaus Tucher; on the ribbon holding her haircloth "MHIMNSK", undecrypted, like the "WW" woven in her shirt.
  28. Lost portrait of her husband Nikolaus Tucher and a coat-of-arms on the reverse. Anzelewsky 1971, p. 63f.
  29. "Albertus Durerus Noricus / ipsum me propriis sic effin / gebam coloribus aetatis / anno XXVII."
  30. Anzelewsky proposed the original form to be an ogival or a round arched field of a wall; it would have shown all three "birds" in full. Anzelewsky 1971, p. 168–170.
  31. An Annunciation with the Virgin and Gabriel on the inner left and right wing respectivily.
  32. With reconstruction drawing, p. 179.
  33. With reconstruction drawing, p. 180.
  34. Alchewsky 1971, p. 38.
  35. "Alber[tu]s durer german(us) / faciebat post virginis / partum 1506 / AD"
  36. "Albertus Dürer germanus faciebat post virginis partum / · 1506 AD"
  37. "1506 / A.D. / Opus quinque dierum" (Work done in five days) written on a bookmarker sticking out of the folio at the bottom on the left.
  38. "Alberto dürer almano / faciebat post virginis / partum ৳ 1507 ৳ AD"
  39. Probably due to its "heavily overpainting" and otherwise compromised condition Gustav Glück, Hans Tietze and Erica Tietze-Conrat, and Erwin Panofsky doubted it. It was cleaned and restored by Alois Hauser the Younger in Berlin under the aegis of Max J. Friedländer in the 1930s, and again around 1945 by Murray Pease at MET. Catalogue entry.
  40. Nr. 131 is a copy on parchment glued on panel, 23 × 18.5 cm, with monogram attributed to Dürer (private collection). Anzelewsky, p. 241, plates 160–161.
  41. Probably 19th ct. as first suggested by Colin Eisler, Paintings from the Samuel H. Kress Collection: European Schools Excluding Italian, Oxford 1977, p. 16–19, fig. 17. See technical summary in the museum's catalogue.
  42. Overpainted in 1760 by Balthasar Augustin Albrecht. When the overpainting was removed 1928/29, the signature might have been lost. Anzelewsky, p. 249.
  43. "EFFIGIES · JACOBI · MVFFEL · / AETATIS · SVAE · ANNO · LV ·/ SALVTIS · VERO · M · D · XXVI"
  44. "HIERONIMI. HOLTZSCHVER. ANNO. DO(mi)NI · 1526 ·/ · ETATIS · SVE · 57 ·" on top left, "AD" on upper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