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브로모뷰테인
보이기
![]() | |
![]() | |
이름 | |
---|---|
우선명 (PIN)
1-Bromobutane[1] | |
별칭
Butyl bromide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1098260 | |
ChEMBL | |
ChemSpider | |
ECHA InfoCard | 100.003.357 |
EC 번호 |
|
MeSH | butyl+bromide |
PubChem CID
|
|
RTECS 번호 |
|
UNII | |
UN 번호 | 1126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성질 | |
C4H9Br | |
몰 질량 | 137.020 g·mol−1 |
겉보기 | 무색 액체 |
밀도 | 1.2676 g mL−1 |
녹는점 | −112.5 °C; −170.4 °F; 160.7 K |
끓는점 | 101.4–102.9 °C; 214.4–217.1 °F; 374.5–376.0 K |
log P | 2.828 |
증기 압력 | 5.3 kPa |
헨리 상수 (kH)
|
140 nmol Pa kg−1 |
굴절률 (nD)
|
1.439 |
열화학 | |
열용량 (C)
|
162.2 J K−1 mol−1 |
표준 몰 엔트로피 (S
|
327.02 J K−1 mol−1 |
표준 생성 엔탈피 (ΔfH⦵298)
|
−148 kJ mol−1 |
표준 연소 엔탈피 (ΔcH⦵298)
|
−2.7178–−2.7152 MJ mol−1 |
위험 | |
GHS 그림문자 | ![]() ![]() ![]() |
신호어 | 위험 |
H225, H315, H319, H335, H411 | |
P210, P261, P273, P305+351+338 | |
인화점 | 10 °C (50 °F; 283 K) |
265 °C (509 °F; 538 K) | |
폭발 한계 | 2.8–6.6% |
반수 치사량 또는 반수 치사농도 (LD, LC): | |
LD50 (median dose)
|
2.761 g kg−1 (oral, rat) |
관련 화합물 | |
관련 알케인
|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1-브로모뷰테인(영어: 1-bromobutane)은 화학식이 CH3(CH2)3Br인 유기 브로민 화합물이다. 불순한 샘플은 황색으로 보이지만, 1-브로모뷰테인은 무색의 액체이다. 1-브로모뷰테인은 물에는 녹지 않으나 유기 용매에는 녹는다. 1-브로모뷰테인은 주로 유기 합성에서 뷰틸기의 공급원으로 사용된다. 1-브로모뷰테인은 뷰틸 브로마이드의 여러 이성질체들 중 하나이다.
합성
[편집]대부분의 1-브로모알케인은 1-알켄에 브로민화 수소를 자유 라디칼로 첨가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조건은 1-브로모 유도체를 생성하는 안티-마르코프니코프 첨가로 이어진다.[2]
1-브로모뷰테인은 또한 브로민화 수소산으로 처리하여 뷰탄올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3]
- CH3(CH2)3OH + HBr → CH3(CH2)3Br + H2O
반응
[편집]1차 할로알케인으로서 SN2 반응을 일으키기 쉽다. 1-브로모뷰테인은 일반적으로 알킬화제로 사용된다. 건조 에터에서 금속 마그네슘과 결합하면 해당하는 그리냐르 시약이 생성된다. 이러한 시약은 뷰틸기를 다양한 기질에 부착하는 데 사용된다.
- 2 Li + C4H9X → C4H9Li + LiX
- 여기서 X = Cl, Br
이 반응을 위한 리튬은 1-3%의 나트륨을 포함한다. 브로모뷰테인이 전구체인 경우 생성물은 LiBr과 LiBu를 모두 포함하는 혼합 클러스터로 구성된 균질 용액이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butyl bromide - Compound Summary”. 《PubChem Compound》. USA: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2005년 3월 27일. Identification. 2012년 6월 17일에 확인함.
- ↑ Dagani, M. J.; Barda, H. J.; Benya, T. J.; Sanders, D. C., 〈Bromine Compounds〉, 《울만 공업화학 백과사전(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Weinheim: Wiley-VCH, doi:10.1002/14356007.a04_405
- ↑ Oliver Kamm, C. S. Marvel, R. H. Goshorn, Thomas Boyd, And E. F. Degering "Alkyl And Alkylene Bromides" Org. Synth. 1921, volume 1, p. 3. doi:10.15227/orgsyn.001.0003
- ↑ Brandsma, L.; Verkraijsse, H. D. (1987). 《Preparative Polar Organometallic Chemistry I》. Berlin: Springer-Verlag. ISBN 3-540-169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