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연구재단
보이기
(한국과학재단에서 넘어옴)
![]() 한국연구재단 대전 청사 연구관 전경 | |
결성 | 2009. 6. 26. |
---|---|
유형 | 재단법인 |
형태 | 정부기관 |
본부 | 대전광역시 유성구 가정로 201 |
웹사이트 | http://www.nrf.re.kr |
이사장 | 홍원화 |

한국연구재단(韓國硏究財團,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은 전 학문분야를 아우르는 국가 기초연구지원시스템의 효율화 및 선진화를 목적으로 2009년 6월 26일에 출범한 우리 나라를 대표하는 연구관리전문기관으로 기관 유형은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으로 구분된다. 대전광역시 유성구 가정로 201에 본원을 두고 있고, 서울특별시 서초구 헌릉로 25 서울청사를 두고 있다.
- 한국연구재단은 한국과학재단(1977년 설립), 한국학술진흥재단(1981년 설립), 국제과학기술협력재단(2004년 설립)을 통합하여 설립된 기관이다.
설립근거
[편집]- 한국연구재단법에 따라 설립(2009.3.25 공포, 법률 제9518호)
예산, 조직, 정원
[편집]- 예산: 9조 9,324억원(2024.기준)
- 과학기술분야 기초연구사업(25,911억원), 인문사회분야 학술연구사업(2,810억원), 국책연구사업(23,559억원), 연구진흥 및 인재양성사업(42,678억원), 국제협력연구사업(1,064억원), 기타(3,302억원)
- 조직: 8본부 3센터 19단 22실 50팀 2TF(2025.3.기준)
- 정원: 622명(2025.1, 정규직 기준)
주요 기능과 역할
[편집]- 학술·연구개발 활동 및 관련 인력의 양성·활용 등을 효율적이고 공정하게 지원
- 학술 및 연구개발 활동의 지원
- 학술 및 연구개발 인력의 양성과 활용의 지원
- 학술 및 연구개발 활동의 국제협력 촉진 지원
- 학술 및 연구개발 사업 수행에 필요한 자료 및 정보의 조사·수집·분석·평가·관리·활용과 정책 개발 지원
- 학술 및 연구개발 관련 기관·단체의 연구·운영 지원
- 국내외 학술 및 연구개발 관련 기관 · 단체 간의 교류협력 지원
- 기타 학술 및 연구개발에 필요한 사항
미션, 비전, 핵심가치, 전략목표
[편집]- 미션 : 창의적 연구와 미래인재 양성으로 지식·가치 창출과 인류 사회 발전에 기여
- 비전 : 학술•연구의 생태계 혁신을 이끄는 글로벌 리더
- 핵심가치(C.O.R.E.) : 창의성(Creativity), 개방성(Openness), 책무성(Responsibility), 탁월성(Excellence)
- 전략목표
- 학술·연구 혁신 플랫폼 고도화
- 국가 연구개발 패러다임 선도
- 미래 혁신 인재양성
- 국민공감 성과·가치 창출
- 지속가능한 ESG·책임경영
연혁
[편집]- 2009년 3월 25일: 한국연구재단법 제정(법률 제9518호)
- 2009년 3월 30일: 한국연구재단 설립위원회 구성
- 2009년 6월 26일: 한국연구재단 출범 및 초대 박찬모 이사장 취임
- 2009년 7월 28일: 한국연구재단 창립이사회 개최
- 2011년 1월 20일: 제2대 오세정 이사장 취임
- 2012년 1월 16일: 제3대 이승종 이사장 취임
- 2014년 1월 3일: 제4대 정민근 이사장 취임
- 2016년 8월 23일: 제5대 조무제 이사장 취임
- 2018년 7월 9일: 제6대 노정혜 이사장 취임[1]
- 2021년 9월 27일: 제7대 이광복 이사장 취임
- 2024년 12월 9일: 제8대 홍원화 이사장 취임
조직
[편집]이사장
[편집]- 이사회
- 정책자문위원회
- 연구윤리위원회
- 역대 이사장
감사
- 감사실
사무총장
[편집]기초연구본부
[편집]- 자연과학단
- 생명과학단
- 의약학단
- 공학단
- ICT·융합연구단
- 기초연구기획실
- 기초연구지원실
인문사회연구본부
[편집]- 인문학단
- 사회과학단
- 문화융복합단
- 인문사회연구기획실
- 인문사회연구지원실
국가전략연구본부
[편집]- 신약단
- 차세대바이오단
- 뇌·첨단의공학단
- 반도체·디스플레이단
- 나노·소재단
- 정보·융합기술단
- 에너지·환경단
- 원자력단
- 거대인프라·방사선단
- 공공기술단
- 양자기술단
- 국가전략사업총괄실
- 국가전략사업평가실
- 한계도전전략센터
학술진흥본부
[편집]- 학술총괄실
- 인재양성실
- 대학교육실
- 산학협력실
국제협력본부
[편집]- 국제협력총괄실
- 국제지역협력실
- 국제인재개발협력실
기획조정본부
[편집]- 경영기획실
- 혁신성장실
- 대외홍보실
경영지원본부
[편집]- 인사운영실
- 재정기금실
연구정책성과전략본부
[편집]- 연구정책전략실
- 연구성과전략실
- 연구윤리지원센터
중앙RISE센터
정보화관리실
부설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기관 주요 지원사업 소개
[편집]과학기술분야 기초연구사업
[편집]- 개인연구
- 리더연구
- 중견연구
- 신진연구(우수신진/ 세종과학펠로우십)
- 재도약연구
- 기본연구
- 생애첫연구
- 창의•도전 연구기반지원
- 보호연구
- 지역대학우수과학자
- 학제간융합연구
- 이공학개인기초 기본연구
- 박사과정생 연구장려금
- 박사후 국내•외연수
- 대통령 Post-Doc 펠로우십
- 의과학자육성지원사업
- 집단연구/기반구축
- 선도연구센터
- 기초연구실
- 대학중점연구소
- 기초과학연구역량강화
- 전문연구정보활용
- 기초연구실데이터 글로벌 허브구축
- 유럽핵입자물리연구소(CERN) 협력
인문사회분야 학술연구사업
[편집]- 인문사회기초연구
- 학술연구교수
-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 성과확산센터
- 신진연구
- 중견연구
- 우수학자
- 일반공동
- 명저번역
- 인문사회연구소
- 학제간융합연구
- 신흥지역연구
- 토대연구
- 인문학진흥
- 인문한국(HK)
- 인문한국플러스(HK+)
- 저출출판
- 인문학대중화
- 사회과학연구
- 사회과학연구(SSK) 지원
- 학술단체지원
- 글로벌연구 네트워크 지원
- 기초학문자료센터(KRM) 구축
국가전략연구사업
[편집]- 바이오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뇌과학 원천기술개발
- 포스트게놈 신산업육성을 위한 다부처 유전체
- 오믹스기반 정밀의료 기술개발사업
- 바이오빅데이터 구축 시범사업
- 혁신형 의사과학자 공동연구
- 미래 뇌융합 기술개발
- 뇌질환극복연구사업
-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
- 국가신약개발사업
- 범부처재생의료기술 개발사업
- 다부처 국가생명연구자원 선진화사업
- 바이오위해평가 원팀 리노베이션 사업
- 질병중심중개연구
- 신/변종감염병대응플랫폼 핵심기술개발
- 나노•소재
- 나소 및 소재기술개발
- 차세대 지능형반도체기술 개발
- 시스템반도체 융합 전문인력육성
- 반도체전공정 EUV광원 및 장비 기술개발
- 첨단융합기술
- STEAM연구
- 글로벌프론티어지원
- 휴먼플러스 융합연구개발 챌린지
- 무인이동체 미래선도핵심 기술개발
- 미래선도기술개발
- 미래국방혁신기술개발
- 무인이동체 원천기술개발
- 과학난제도전융합연구 개발사업
- DNA+드론 기술개발
- 불법드론 지능형 대응기술개발
- 정보•컴퓨팅
- 양자컴퓨팅 기술개발
- 양자정보과학연구개발 생태계조성
- 슈퍼컴퓨터 개발 선도
- 혁신성장 연계 지능형 반도체 선도 기술개발
- 기후•에너지
-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 탄소자원화기술고도화
- 해양극지기초원천기술개발
- 에너지클라우드기술개발
- 수소에너지혁신기술개발
- 기후기술협력기반조성(ODA)
- 유용물질 생산을 위한 Carbon to X 기술개발
- 기후변화영향 최소화 기술개발
- 미래수소원천기술개발
- 해양•육상•대기 탄소순환시스템 연구사업
- 국민생활연구
- 실종아동 등 신원확인을 위한 복합인지기술개발사업
- 치안현장 맞춤형 연구개발(폴리스랩)
- 재난안전플랫폼 기술개발
- 국민생활안전긴급대응연구
- 공공조달연계형 국민생활 연구성과 실증사업화
- 에너지환경 통합형 학교미세먼지 관리기술개발
- 공공수요 기반 혁신제품 개발•실증 지원사업
- 국민공감•국민참여 지역융합형 R&SD선도사업
- 동북아•지역연계 초미세먼지대응기술개발
- 관세행정현장 맞춤형 기술개발사업
- 공공기반 재활운동 빅데이터 플랫폼 기술개발 사업
- 우주
- 다목적실용위성개발
- 우주개발기반조성 및 성과확산
- 정지궤도 공공복합통신 위성개발
- 차세대 중형위성개발
- 한국형발사체 개발
- 우주중점기술개발
- 우주핵심기술개발
- 달 탐사
- 초소형위성군집시스템개발
- 국가위성통합운영시스템 개발
- 스페이스챌린지사업
- 스페이스파이오니어사업
- 우주국제협력기반조성
- 한미민간달착륙선탑재체 공동연구
- 우주분야 전문 인력양성
- 한국과학우주청소년단 지원사업
- 원자력
- 방사선기술개발
- 방사선 연구기반 확충
- 방사선기술사업화지원
- 방사선안전소재 및 의학기술개발
- 첨단방사선융합치료기술 개발
- 방사선고부가신소재개발
- 데이터과학기반 차세대 비파괴검사기술개발
- 방사선 이용 미래혁신 기반기술연구
- 방사성동위원소 산업육성 및 고도화기술지원사업
- 원자력기술개발
- 원자력연구기반확충
- 원자력안전연구 전문인력양성
- 원자력기초연구지원
- 원자력융복합기술개발
- ICT기반 원자력 안전혁신기술개발
- 미래선진원자로핵심요소 기술개발사업
- 연구로시스템수출지원기술 개발 및 고도화사업
- 미래원자력기술시설장비 구축활용사업
- 사용후핵연료 저장•처분 안전성 확보를 위한 핵심기술개발 사업
- 해외시장 맞춤형 미래선진 원자로 검증기술개발사업
- 고준위폐기물 관리 차세대 혁신기술개발사업
- 고리1호기 기기/설비활용 원전 안전기술 실증사업
- 연구로 판형핵연료 수출 핵심기술 개발 및 실증사업
- 원자력 국제협력기반조성
- 수출용 신형 연구로 개발 및 실증사업
- SMART 혁신기술개발사업
- 중입자가속기 구축지원
- 핵융합•가속기
- 핵융합기초연구
- 국제핵융합로(ITER) 공동개발
- 중이온가속기구축
- 방서광가속기공동이용 연구지원
- 방사광가속기 핵심장치 국산화 기술개발
- 다목적방사광가속기구축
- 가속기핵심기술개발사업
- 기초연구기반 구축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해외대형연구시설활용 연구지원)
연구진흥 및 인재양성사업
[편집]- 학술진흥
- 학술지평가 및 등재제도 관리
- 학술지 실태점검
- 인재양성
- 4단계 BK21사업
- 글로벌박사양성
- 여성과학기술인센터 설치운영
- 전문경력인사 초빙활용지원
- 혁신성장 선도 고급연구 인재육성(KIURI) 사업
- 대학교육
- 국립대학육성
- 대학혁신지원
- 전문대학혁신지원
- 지역선도대학 육성
-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
- 산학협력
- 산학협력 선도대학육성(LINC+)
- 대학창의적자산실용화지원(BRIDGE+)
- 산학협력 선도전문대학육성(전문대 LINC+)
- 대학 창업교육 및 창업문화 활성화 지원
- 실험실창업지원
국제협력사업
[편집]- 국제공동연구
- 전략형 국제공동연구
- 국가간협력기반 조성
- 해외우수 연구기관유치(GRDC)
- 해외우수 연구기관협력 구축
- 과학기술네트워크 지원
- 연구교류지원(일반)
- IIASA 협력
- 해외우수과학자 유치
- 미주/유럽
- 한-EU 교육협력
- 한독 특별협력
- 한스웨덴 특별협력
- 한미인문분야 특별협력
- 아시아/아프리카/개도국
- 개도국 과학기술지원
- 지식재산활용 과학기술지원
- 글로벌교육지원
- 국제협력 선도대학 육성지원
- WFK-TPC 파견
- 연구교류 지원(양자)
- 개도국지원(외국인과학기술자국내초청연수)
- 한중일 교류협력
해외협력기관 현황
[편집]52개 국가 85개 기관
제공 서비스
[편집]한국연구재단은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을 통한 방대한 DB를 운용하고있다. RISS와 연계된 양질의 검색서비스를 제공해오고있다. 한국연구재단(NRF)에 등재된 공인 학술지 및 후보지의 논문의 제1저자는 이를 논문의 연구결과를 공식적으로 발표하는 주요한 경로로 여긴다.[2]
같이 보기
[편집]참고 자료
[편집]- 한국연구재단 - 알리오(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각주
[편집]- ↑ 한국연구재단 노정혜 이사장 취임…임기 3년 <<연합뉴스>> 2018년 7월 9일 이재림 기자
- ↑ (잼스 JAMS2.0 PORTAL - JAMS매뉴얼)https://portal.jams.or.kr/portal/info/busiInfo.kci[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